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경의문대(經義問對)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1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s of this study :
      1. What was Gyung Ui Moon Dae(經義問對)
      2. And what was it's relation between Cannon Class of Grand School(成均館經學科)
      3. What w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two system
      4. What was the condition of those days to execute these two system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have found some important poin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Education in Chosen Dynasty(朝鮮敎育史)] properly with more wide and advanced view point than ever.
      For making and selecting available men suitable to that turbulent period of change. There have been several public efforts not only with the new type of school system after the days of open ports, but also with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before the days of open ports. These public efforts have been made on the foundation of so long maintained traditional school system, and continued to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i.e., coercive annexation by the japanese imperial power.
      Chosen Government repeatedly tried to adapt to those days' historical needs by making and selecting available men through the adjust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adding new contents in school curriculum. But all of these efforts frustrated by japanese imperial power. It was unforgettable tragedy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in this beautiful land.
      번역하기

      The objects of this study : 1. What was Gyung Ui Moon Dae(經義問對) 2. And what was it's relation between Cannon Class of Grand School(成均館經學科) 3. What w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two system 4. What was the condition of th...

      The objects of this study :
      1. What was Gyung Ui Moon Dae(經義問對)
      2. And what was it's relation between Cannon Class of Grand School(成均館經學科)
      3. What w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two system
      4. What was the condition of those days to execute these two system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have found some important poin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Education in Chosen Dynasty(朝鮮敎育史)] properly with more wide and advanced view point than ever.
      For making and selecting available men suitable to that turbulent period of change. There have been several public efforts not only with the new type of school system after the days of open ports, but also with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before the days of open ports. These public efforts have been made on the foundation of so long maintained traditional school system, and continued to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i.e., coercive annexation by the japanese imperial power.
      Chosen Government repeatedly tried to adapt to those days' historical needs by making and selecting available men through the adjust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adding new contents in school curriculum. But all of these efforts frustrated by japanese imperial power. It was unforgettable tragedy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in this beautiful l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의문대"라는 제도로부터 출발하여, 경장기 조선에 인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일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고, 그 일들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 또는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성급히 내리지 말아야 한다는 제안을 함으로써 출발하였다. 일단, 당시 있었던 일이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사실들을 조사하여 가급적 상세히 제시하려고 하였다.
      경의문대는 조정에서 국왕·학부대신·성균관장 등이 협의하여 전국에 훈령을 내림으로써 시작되었다. 이는 이전의 관성에 따라 이런 저런 모색을 하던 끝에 이루어진 것이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시내용의 변화 등 시의에 따른 변용을 도모하였다. 각 지역의 여항에까지 중앙에서 표준화된 문제로 고시하였으며, 중앙의 성균관에 입학한 인원과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유생들, 이 양 편에 대해 모두 선발과정을 열어 놓음으로써 조직적 養士와 자발적 修學을 통한 擇仕를 추구하였다.
      성균관경학과와 경의문대는 공히 갑오경장 이후(1895·1896년) 시작하여 일제강점 이전까지 지속되었다는 점, 성균관경학과의 교육과정과 경의문대 고시과목 양자의 변화가 서로 조응관계에 있었다는 점, 경의문대에 대한 규정이 성균관경학과 관련 법규에 속해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이 둘이 밀접한 관련성 아래 운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시행배경을 추적해 보면, 그 발단이 이미 고종조 초기에 마련되었으며(1869년 「태학별단」), 이후 일련의 조치들을(「향학조례」, 京學院·營學·官學院·面學, 「태학규제」, 「흥학장정」 등) 감안할 때, 주요 취지는 경학과 시무에 두루 밝은 인재를 전국 각지에서 차차(리→면→군→도→京) 천거후 시취 방식으로 뽑아 들이려는 데 있었다. 즉, 갑오경장 전후 등장한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서만 시무에 밝은 일물을 양성하려고 했던 게 아니라, 성균관을 대표로 하는 전통교육기관을 통해서도 경학·시무 양자를 겸비한 인물의 양성·발탁을 추구하였으며, 이런 움직임은 이미 개항 이전부터 시발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지역단위별 천거-시취-등용 방식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에 조선조 사회가 學政에 관한 나름대로의 체계적 얼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최소한 1700년도까지 연원이 소급되는 「면학-군학-영학」의 얼개를 갖추는 등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꼼꼼한 교육체제의 구성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전통교육체제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교육을 시행하는 데에도 기본적인 토대가 되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의문대"라는 제도로부터 출발하여, 경장기 조선에 인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일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고, 그 일들이 ...

      이 연구는 "경의문대"라는 제도로부터 출발하여, 경장기 조선에 인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일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고, 그 일들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 또는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성급히 내리지 말아야 한다는 제안을 함으로써 출발하였다. 일단, 당시 있었던 일이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사실들을 조사하여 가급적 상세히 제시하려고 하였다.
      경의문대는 조정에서 국왕·학부대신·성균관장 등이 협의하여 전국에 훈령을 내림으로써 시작되었다. 이는 이전의 관성에 따라 이런 저런 모색을 하던 끝에 이루어진 것이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시내용의 변화 등 시의에 따른 변용을 도모하였다. 각 지역의 여항에까지 중앙에서 표준화된 문제로 고시하였으며, 중앙의 성균관에 입학한 인원과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유생들, 이 양 편에 대해 모두 선발과정을 열어 놓음으로써 조직적 養士와 자발적 修學을 통한 擇仕를 추구하였다.
      성균관경학과와 경의문대는 공히 갑오경장 이후(1895·1896년) 시작하여 일제강점 이전까지 지속되었다는 점, 성균관경학과의 교육과정과 경의문대 고시과목 양자의 변화가 서로 조응관계에 있었다는 점, 경의문대에 대한 규정이 성균관경학과 관련 법규에 속해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이 둘이 밀접한 관련성 아래 운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시행배경을 추적해 보면, 그 발단이 이미 고종조 초기에 마련되었으며(1869년 「태학별단」), 이후 일련의 조치들을(「향학조례」, 京學院·營學·官學院·面學, 「태학규제」, 「흥학장정」 등) 감안할 때, 주요 취지는 경학과 시무에 두루 밝은 인재를 전국 각지에서 차차(리→면→군→도→京) 천거후 시취 방식으로 뽑아 들이려는 데 있었다. 즉, 갑오경장 전후 등장한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서만 시무에 밝은 일물을 양성하려고 했던 게 아니라, 성균관을 대표로 하는 전통교육기관을 통해서도 경학·시무 양자를 겸비한 인물의 양성·발탁을 추구하였으며, 이런 움직임은 이미 개항 이전부터 시발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지역단위별 천거-시취-등용 방식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에 조선조 사회가 學政에 관한 나름대로의 체계적 얼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최소한 1700년도까지 연원이 소급되는 「면학-군학-영학」의 얼개를 갖추는 등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꼼꼼한 교육체제의 구성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전통교육체제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교육을 시행하는 데에도 기본적인 토대가 되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