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핸드 워크 감각(感覺)의 패션 디자인 연구(硏究) =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imaged by Hand 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3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shion image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d work imaged design. The ``hand work`` has not only affected the contemporary life style but also the current fashion trend. The primary source of data has been a collection of recent books, news repots, and many articles from various kinds of mass media and fashion magazines since the year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hand work imaged fashion design can be divided the background into three parts : post-materialism, aesthetics of slowness, personalize trend. Second, hand work imaged fashion design can be identified with the following images : folklore & craft image, second hand image, high touch image. Thir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d work image reflects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and process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shion image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d work imaged design. The ``hand work`` has not only affected the contemporary life style but also the current fashion trend. The primary source of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shion image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d work imaged design. The ``hand work`` has not only affected the contemporary life style but also the current fashion trend. The primary source of data has been a collection of recent books, news repots, and many articles from various kinds of mass media and fashion magazines since the year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hand work imaged fashion design can be divided the background into three parts : post-materialism, aesthetics of slowness, personalize trend. Second, hand work imaged fashion design can be identified with the following images : folklore & craft image, second hand image, high touch image. Thir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d work image reflects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and process commun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윌리엄 코퍼스웨이트, "핸드메이드 라이프" 2004

      2 김지영, "표면장식에 의한 의상디자인 연구" 173-177, 2004

      3 김윤희, "최근 국내외 패션에 나타난 느리게 살기 운동의 영향" 한국복식학회 52 (52): 165-179, 2002

      4 "슬로푸드를 아시나요" 디지털 조선일보 2001

      5 김은정, "손뜨개 니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10 (10): 2006

      6 "새로운 소비군단, 싱글족을 잡아라" 주간조선 2006

      7 "自然にはじけて生まれるマルニコレクション" 2000

      8 海野 弘, "現代デザイン" 2004

      9 間田孝夫, "消費社のゆくえ" 2005

      10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 윌리엄 코퍼스웨이트, "핸드메이드 라이프" 2004

      2 김지영, "표면장식에 의한 의상디자인 연구" 173-177, 2004

      3 김윤희, "최근 국내외 패션에 나타난 느리게 살기 운동의 영향" 한국복식학회 52 (52): 165-179, 2002

      4 "슬로푸드를 아시나요" 디지털 조선일보 2001

      5 김은정, "손뜨개 니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10 (10): 2006

      6 "새로운 소비군단, 싱글족을 잡아라" 주간조선 2006

      7 "自然にはじけて生まれるマルニコレクション" 2000

      8 海野 弘, "現代デザイン" 2004

      9 間田孝夫, "消費社のゆくえ" 2005

      10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1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文化出版局 52-123, 2002

      12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3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4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5 "手仕事は、モドをえるか" 2002

      16 ジョンサべジ, "イギリス‘族’物語" 1999

      17 川島蓉子, "TOKYO消費トレンド" 99-100, 2002

      18 "Fashion Dictionary" 文化出版局 2005

      19 "Fashion Dictionary" 文化出版局 2005

      20 "Fashion Color No.70" 日本色硏事業株式會社 2004

      21 "Fashion Color No.67" 日本色硏事業株式會社 2002

      22 "Fashion Color No.66" 日本色硏事業株式會社 2002

      23 "Fashion & Entertainment" 삼성디자인넷 자료 검색실 2004

      24 "FBがわかる本3" モド園出版局 1995

      25 "Customize Your Look" 삼성디자인넷 자료 검색실 2005

      26 "Changing Values and Political Styles among Western Publ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tion : 1977

      27 "2005년 소비시장 키워드전망" 삼성디자인넷 자료 검색실 2005년소비시장키워드전망2005

      28 "2005년 소비시장 키워드전망" 2005

      29 염혜정, "1990年代以後日本의 스트리트 패션에 關한 硏究"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8 (8): 102-11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6 0.6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