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康津 白蓮社 관련 조선시대 기록자료 연구 = A Study of the Records of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during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6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d the records relevant to Hyoryeongdaegun,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Bulbokjang(佛腹藏) and many other topics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a historical viewpoint, it is known that Baekryeonsa Temple was named after Baekryeongyeulsa(白蓮結社) during the Goryeo Dynasty. Another name for the temple was Mandeuksa(萬德社) which originated from Mandeuksan(萬德山) where the temple was located. During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temple was reaffirmed as Mandeuksa(晩德寺) by the Confucian scholar Song Si-Yeol. This study analy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of the Baeknyeonsa Templ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this field of study yet. Moreover, it acknowledged “Mandeuksasiseungmoon (萬德寺施僧文)”, a land document related to Prince Hyoryeong, and the records of the collection of Daejanggyeong from Haeinsa 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addition, it recogni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was closely linked to the newly identified records of the Samsaebul in 1641. Along with the recent discovery, there is another Samsaebul’s bulbokjang documents, which were moved from Baekryeon Temple to Okcheonsa Temple in Wando. They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in 1678 with the Amitabha Buddha records included. Other records of Samsaebul were known to have been enshrined in the Daeungjeon Hall after the fire in 1760. The following temple of Samsaebul is suggested to have been built around 1762. Consequently, there are total three different Samsaebul records from 1641, 1678, and 1760 as of now.
      번역하기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d the records relevant to Hyoryeongdaegun, reco...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d the records relevant to Hyoryeongdaegun,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Bulbokjang(佛腹藏) and many other topics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a historical viewpoint, it is known that Baekryeonsa Temple was named after Baekryeongyeulsa(白蓮結社) during the Goryeo Dynasty. Another name for the temple was Mandeuksa(萬德社) which originated from Mandeuksan(萬德山) where the temple was located. During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temple was reaffirmed as Mandeuksa(晩德寺) by the Confucian scholar Song Si-Yeol. This study analy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of the Baeknyeonsa Templ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this field of study yet. Moreover, it acknowledged “Mandeuksasiseungmoon (萬德寺施僧文)”, a land document related to Prince Hyoryeong, and the records of the collection of Daejanggyeong from Haeinsa 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addition, it recogni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was closely linked to the newly identified records of the Samsaebul in 1641. Along with the recent discovery, there is another Samsaebul’s bulbokjang documents, which were moved from Baekryeon Temple to Okcheonsa Temple in Wando. They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in 1678 with the Amitabha Buddha records included. Other records of Samsaebul were known to have been enshrined in the Daeungjeon Hall after the fire in 1760. The following temple of Samsaebul is suggested to have been built around 1762. Consequently, there are total three different Samsaebul records from 1641, 1678, and 1760 as of n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현존 기록자료 중에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시 기별로 孝寧大君 관련기록, 重創, 佛腹藏 등의 기록들에 대하여 서지적인 관점에서 살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자료룰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조선 전기인 세종년간에 行乎에 의하여 중창되었고 孝寧大君의 지원을 받았으며 그 와 관련한 인근 지역의 토지제공 문서인 ‘萬德社施僧文’와 구한말의 반환하는 문서 등을 살펴보았다. 또 백련사는 조선 세조 때 海印寺 大藏經을 인출하여 전국의 주요 사찰에 보관시킬 때의 중요한 사찰 중의 한 곳이었다. 중창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고려 때 왜구 침입으로 훼손되었던 것을 조선 세종때 行乎 에 의하여 중창하었고 이후 休靜의 중창을 위한 모연문과 翠微守初의 ‘萬景樓勸化䟽’ 등에서 지속적으로 중수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17-18세기에는 趙宗著의 ‘白蓮寺碑文(1681)’과 李毅敬의 ‘康津萬德山白蓮寺重修記(1765)’ ‘萬德山白蓮寺大法 堂重修記(1765)’ 등 사찰의 중수에 관련된 기록과 그 과정에서 참여한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확인된 佛腹藏 관련 문서인 1641년에 조성된 三世佛 관련문서와 기존에 알려 진 1678년의 조성의 阿彌陀三尊佛 중 觀音菩薩腹藏 發願文 등을 1760년의 화재후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대웅전 현존의 불상과의 관련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현존 기록자료 중에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시 기별로 孝寧大君 관련기록, 重創, 佛腹藏 등의 기록들에 대하여 서지적인 관점에서 살펴 보고자 다음과 ...

      본 연구에서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현존 기록자료 중에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시 기별로 孝寧大君 관련기록, 重創, 佛腹藏 등의 기록들에 대하여 서지적인 관점에서 살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자료룰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조선 전기인 세종년간에 行乎에 의하여 중창되었고 孝寧大君의 지원을 받았으며 그 와 관련한 인근 지역의 토지제공 문서인 ‘萬德社施僧文’와 구한말의 반환하는 문서 등을 살펴보았다. 또 백련사는 조선 세조 때 海印寺 大藏經을 인출하여 전국의 주요 사찰에 보관시킬 때의 중요한 사찰 중의 한 곳이었다. 중창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고려 때 왜구 침입으로 훼손되었던 것을 조선 세종때 行乎 에 의하여 중창하었고 이후 休靜의 중창을 위한 모연문과 翠微守初의 ‘萬景樓勸化䟽’ 등에서 지속적으로 중수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17-18세기에는 趙宗著의 ‘白蓮寺碑文(1681)’과 李毅敬의 ‘康津萬德山白蓮寺重修記(1765)’ ‘萬德山白蓮寺大法 堂重修記(1765)’ 등 사찰의 중수에 관련된 기록과 그 과정에서 참여한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확인된 佛腹藏 관련 문서인 1641년에 조성된 三世佛 관련문서와 기존에 알려 진 1678년의 조성의 阿彌陀三尊佛 중 觀音菩薩腹藏 發願文 등을 1760년의 화재후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대웅전 현존의 불상과의 관련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욱, "천태사상" 태학사 2005

      2 이영자, "천태불교학" 해조음 2006

      3 리영자, "천책스님의 호산록" 해조음 2009

      4 박용진, "의천 그의 생애와 사상" 혜안 2011

      5 최동순, "원묘 요세의 백련결사 연구" 정우서적 2014

      6 윤기엽, "고려후기의 불교 -사원의 불교사적 고찰-" 일조각 2012

      7 김승룡, "고려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8 황인규, "고려후기 조선초 강진 백련사의 고승과 사세" 한국사상사학회 (46) : 57-82, 2014

      9 김두진,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6

      10 황인규, "고려시대 불교계와 불교문화" 국학자료원 2011

      1 이병욱, "천태사상" 태학사 2005

      2 이영자, "천태불교학" 해조음 2006

      3 리영자, "천책스님의 호산록" 해조음 2009

      4 박용진, "의천 그의 생애와 사상" 혜안 2011

      5 최동순, "원묘 요세의 백련결사 연구" 정우서적 2014

      6 윤기엽, "고려후기의 불교 -사원의 불교사적 고찰-" 일조각 2012

      7 김승룡, "고려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8 황인규, "고려후기 조선초 강진 백련사의 고승과 사세" 한국사상사학회 (46) : 57-82, 2014

      9 김두진,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6

      10 황인규, "고려시대 불교계와 불교문화" 국학자료원 2011

      11 千惠鳳, "고려대장경과 교장의 연구" 범우 2004

      12 박윤진, "고려 천태종의 종파 문제-조선초 천태종의 선종 귀속의 역사적 배경-" 고려사학회 (40) : 413-445, 2010

      13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1991

      14 황인규, "高麗後期 敎宗僧의 中國遊歷과 佛敎界의 動向" 한국불교연구원 (27) : 89-120, 2007

      15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16 李永子, "韓國天台思想의 展開" 民族社 1988

      17 李載昌, "韓國佛敎史의 諸問題" 우리출판사 1993

      18 許興植, "韓國中世佛敎史硏究" 一潮閣 1994

      19 許興植, "萬德寺志" 아세사문화사 1977

      20 許興植, "眞靜國師와 湖山錄" 民族社 1995

      21 고익진, "白蓮社의 思想傳統과 天頙의 著述問題" 16 : 1979

      22 康津文獻硏究會, "白蓮社志" 康津文獻硏究會 1998

      23 許興植, "湖山錄의 새로운 寫本과 補完" 36 : 1989

      24 李永子, "法華·天台思想硏究"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25 김정희, "孝寧大君과 朝鮮 初期 佛敎美術: 後援者를 통해 본 朝鮮 初期 王室의 佛事" 한국미술연구소 (25) : 107-150, 2007

      26 大蓮 李永子博士 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天台思想과 東洋文化" 佛地社 1997

      27 고익진, "圓妙了世의 白蓮結社와 그 思想的 動機" 15 :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