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재즈댄스를 활용한 예술 활동 참여 경험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기혼 여성이 겪는 삶의 무게와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5901
한아람 (THE UZBEKISTAN STATE INSTITUTE OF ARTS AND CULTURE)
2023
Korean
재즈댄스 ; 예술 활동 ; 기혼 여성 ; 내러티브 탐구 ; Jazz dance ; art activity ; married women ; Narrative Inquiry
KCI등재
학술저널
148-162(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재즈댄스를 활용한 예술 활동 참여 경험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기혼 여성이 겪는 삶의 무게와 사회...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재즈댄스를 활용한 예술 활동 참여 경험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기혼 여성이 겪는 삶의 무게와 사회적 단절이라는 연구자의 현실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기혼 여성이라는 개별적인 인간으로 그들이 살아가고 있는 삶을 하나의 유의미한 이야기로 받아들이고 어떻게 그리고 무엇을 통해 진실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가에 대한 의미를 찾을 절실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직접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본능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만족감,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인 재즈댄스 예술 활동의 참여는 개인 삶에 있어 어떠한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결혼과 출산 이후 자녀 양육 과정에 있는 기혼 여성의 신체 움직임 참여 활동이 그들의 몸과 마음 그리고 실질적인 생활에서 어떤 변화를 통해, 그들의 삶에 무엇이 중요한 의미로 다가가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하고자 이에 따른 접근방법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이 재즈댄스 예술 활동을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신체 움직임과 본능적 표현의 욕구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있어 삶의 만족을 높여 그 의미를 찾는 데 기여 하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experience of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artistic activities using jazz dance means in their individual live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researchers realistic experience of the diffic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experience of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artistic activities using jazz dance means in their individual live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researchers realistic experience of the difficulty of life and social disconnections experienced by married women. As individual human beings, married women accept their lives as a meaningful narrative. They experience an urgent need to find a meaningful life. Participation in jazz dance art activities can lead to satisfaction by expressing instinctive emotions through direct physical activity. Moreover, it is a way to express oneself and find meaning in personal lif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an approach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in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Using this method, married women with children tried to understand the need for body movement and instinctive expres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jazz dance art activities. Moreover, it is a way to find meaning by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in real life.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민주, "추석 특선영화 '82년생 김지영', 그녀는 왜 '맘충'이 돼야했나"
2 마가렛 두블러, "창조적 예술경험으로서의 춤" 현대미학사 1994
3 김미숙 ; 한아람, "재즈댄스의 대중 예술성 : 톨스토이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31 (31): 55-69, 2023
4 한아람, "재즈댄스를 통한 감성의 의미와 창조적 표현" 고려대학교 2020
5 와타나베 마모루, "예술학" 현대미학사 1994
6 강대석, "예술철학에의 초대" 동녘 1993
7 바실리 칸딘스키,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2020
8 데이비드 베일즈, "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 루비박스 2017
9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회 34 (34): 53-72, 2011
10 이정연, "쉴러의 ‘미적교육론’으로 본 대중교육으로서의 생활무용이 갖는 의의" 대한무용학회 54 (54): 137-154, 2008
1 강민주, "추석 특선영화 '82년생 김지영', 그녀는 왜 '맘충'이 돼야했나"
2 마가렛 두블러, "창조적 예술경험으로서의 춤" 현대미학사 1994
3 김미숙 ; 한아람, "재즈댄스의 대중 예술성 : 톨스토이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31 (31): 55-69, 2023
4 한아람, "재즈댄스를 통한 감성의 의미와 창조적 표현" 고려대학교 2020
5 와타나베 마모루, "예술학" 현대미학사 1994
6 강대석, "예술철학에의 초대" 동녘 1993
7 바실리 칸딘스키,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2020
8 데이비드 베일즈, "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 루비박스 2017
9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회 34 (34): 53-72, 2011
10 이정연, "쉴러의 ‘미적교육론’으로 본 대중교육으로서의 생활무용이 갖는 의의" 대한무용학회 54 (54): 137-154, 2008
11 한윤희 ; 이형일, "성인여성의 스포츠참여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 사회적 젠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84) : 405-416, 2021
12 김미숙 ; 한아람, "생명감을 가지는 재즈댄스: Susanne k. Langer의 예술론을 바탕으로" 한국체육철학회 30 (30): 45-55, 2022
13 김미숙,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예술론 연구 : 오이리트미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4 김병극,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28, 2012
15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3 (3): 5-21, 2015
16 홍영숙,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7-28, 2020
17 정수경 ; 강현석, "내러티브 개념의 다양성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3 (3): 23-45, 2015
18 박찬국, "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21세기북스 2023
19 서상문,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가치와 성격에 대한 철학적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1 (1): 97-115, 2013
20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21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 Toward understanding life’s artistry" 32 (32): 161-169, 2002
22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 A methodology for studying lived experience" 27 (27): 44-54, 2006
23 Eisner, E., "Art in science?" 32 (32): 131-159, 2002
24 최순화, "3050 기혼 여성 직장인의 여가소비 연구" 한국여성경제학회 17 (17): 1-18, 2020
대학입시제도를 통해 본 태권도계의 멍에와 윤리적 위기 구조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축구팀 논란: Suits 스포츠 철학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