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계종단의 ‘한국불교 세계화’ 기획에 대한 비판적 논의 = A Critical Approach to the Projec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of the Jogye 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3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well as diverse Buddhist material cultures coexist. Even though this situation could produce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mainstream Korean Buddhism doesn’t show much concern about the situation. Rather, Korean Buddhism has a keen interest in the spread of Korean Buddhism abroad as the projec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hows which are promoted by the Jogye Order, the biggest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Consequently, the discourse on and polic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re not oriented to “inside” but to “outside”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this author attempts to reveal problems the projec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ntains which has been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by the Jogye Order. For the purpose, the infrastructure and undertakings are introduced and analyzed which were made to promote the proje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vice under which the project goes ahead. And some problematics of the project are identified as centered on monks/nones, hierarchical command structure, an entanglement of religion and state, commodification of Buddhist culture. Lastly, cultural nationalism is discussed as the world view or ideology which underlies the project,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or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where social exclusion of particular group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번역하기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well as diverse Buddhist material cultures coexist. Even though this situation could produce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mainstream Korean Buddhism doesn’t show much concern about the situation. Rather, Korean Buddhism has a keen interest in the spread of Korean Buddhism abroad as the projec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hows which are promoted by the Jogye Order, the biggest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Consequently, the discourse on and polic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re not oriented to “inside” but to “outside”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this author attempts to reveal problems the projec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ntains which has been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by the Jogye Order. For the purpose, the infrastructure and undertakings are introduced and analyzed which were made to promote the proje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vice under which the project goes ahead. And some problematics of the project are identified as centered on monks/nones, hierarchical command structure, an entanglement of religion and state, commodification of Buddhist culture. Lastly, cultural nationalism is discussed as the world view or ideology which underlies the project,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or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where social exclusion of particular group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한국불교 세계화’에 대한 불교계의 학문 적 담론 또한 조계종 총무원의 사회부와 국제교류위원회가 2004년부터 2009 년까지 개최한 일련의 관련 정책세미나를 비롯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회가 2016년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한 교수불자대회에 이르기까지 지 속해서 생산되고 있다. 이들 학문적 담론의 특징은 내부자의 시각과 도구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면서 ‘한국불교 세계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인 전략이나 방법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담 론에서는 승가교육의 개선, 국제포교를 위한 영어교육의 중요성, 해외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 지원과 관리방법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면서, 종 단의 ‘세계화’ 과제에 대한 제한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이들 담론 에서 ‘세계화’와 관련하여 인접학문 –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등 - 의 접근 방식이나 관련 이론은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고, 경험적 조사연구도 소 수를 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불교종단인 조계종단이 ‘한국불교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구축한 인프라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종단 주도의 ‘한국불교 세계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에서는 종단의 종책인 ‘한국불교 세계화’가 어떠한 조직구조 속에 서 추진되며, 그 기저에 깔린 세계관 및 이데올로기는 무엇이며, 현 한국사회 의 다문화 상황에서 ‘한국불교의 세계화’가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등을 논 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한국불교 세계화’에 대한 불교계의 학문 적 담론 또한 조계종 총무원의 사회부와 국제교류위원회가 2004년부터 2009 년까지 개최한 일련의 관련 정책세미나를 비롯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회가 2016년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한 교수불자대회에 이르기까지 지 속해서 생산되고 있다. 이들 학문적 담론의 특징은 내부자의 시각과 도구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면서 ‘한국불교 세계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인 전략이나 방법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담 론에서는 승가교육의 개선, 국제포교를 위한 영어교육의 중요성, 해외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 지원과 관리방법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면서, 종 단의 ‘세계화’ 과제에 대한 제한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이들 담론 에서 ‘세계화’와 관련하여 인접학문 –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등 - 의 접근 방식이나 관련 이론은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고, 경험적 조사연구도 소 수를 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불교종단인 조계종단이 ‘한국불교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구축한 인프라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종단 주도의 ‘한국불교 세계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에서는 종단의 종책인 ‘한국불교 세계화’가 어떠한 조직구조 속에 서 추진되며, 그 기저에 깔린 세계관 및 이데올로기는 무엇이며, 현 한국사회 의 다문화 상황에서 ‘한국불교의 세계화’가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등을 논 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득환, "한국의 종단조직 고찰" 한국종교교육학회 25 : 141-169, 2007

      2 김응철, "한국불교의 세계화 사례 : 주요 종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2 (22): 1-30, 2016

      3 명법,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6 (16): 165-196, 2010

      4 진월, "한국불교세계화 종책을 위한 제언" 2004

      5 김응철, "조계종단의 사원관리체계 연구" 천대불교문화연구원 13 : 2010

      6 조기룡, "조계종 종무행정 제도 변천 고찰" 불교평론사 (9) : 15-, 2001

      7 장은화, "일본계 미국선(禪)의 ‘여성참여’와 ‘사회참여’ 그리고 간화선 세계화의 담론에 대하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2) : 127-163, 2012

      8 신규탁, "세계화 이전에 자기부터 바로 알자"

      9 장은화, "미국불교의 동향 - 전통 간 통합, 혼합수행, 비종파적 경향"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5) : 299-339, 2013

      10 대한불교조계종 국제전법단, "미국 불교 전법의 현황과 포교 전략"

      1 구득환, "한국의 종단조직 고찰" 한국종교교육학회 25 : 141-169, 2007

      2 김응철, "한국불교의 세계화 사례 : 주요 종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2 (22): 1-30, 2016

      3 명법,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6 (16): 165-196, 2010

      4 진월, "한국불교세계화 종책을 위한 제언" 2004

      5 김응철, "조계종단의 사원관리체계 연구" 천대불교문화연구원 13 : 2010

      6 조기룡, "조계종 종무행정 제도 변천 고찰" 불교평론사 (9) : 15-, 2001

      7 장은화, "일본계 미국선(禪)의 ‘여성참여’와 ‘사회참여’ 그리고 간화선 세계화의 담론에 대하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2) : 127-163, 2012

      8 신규탁, "세계화 이전에 자기부터 바로 알자"

      9 장은화, "미국불교의 동향 - 전통 간 통합, 혼합수행, 비종파적 경향"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5) : 299-339, 2013

      10 대한불교조계종 국제전법단, "미국 불교 전법의 현황과 포교 전략"

      11 김용표, "대한불교조계종의 국제화 전략: 문제점과 방향"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2 (22): 56-85, 2016

      12 조기룡, "대한불교조계종, 교구자치의 저해요인과 개선과제" 불교학연구회 46 : 249-277, 2016

      13 아진, "국제포교의 현주소와 활성화 방안 연구 - 미주지역 동포들을 위한 포교실태를 중심으로"

      14 김응철, "국제포교 방법론 및 한국불교의 미주지역 포교실태 연구" 대각사상연구원 6 : 2003

      15 권대식, "국제팀의 역할과 사업 방향"

      16 대한불교조계종 국제전법단, "국제 전법의 현황과 포교 전략" 연수 교육자료집 2016

      17 정범, "‘해외사찰 지원 및 관리’ 논의를 위한 제언"

      18 Baumann, Martin, "Westward Dharma :Buddhism Beyond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19 Shin, Gi-Wook, "The Paradox of Korean Globalizatio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Stanford University

      20 Amstutz, "Introduction: Approaching Japanese Religions under Globalization" Brill Publishing Journal 3 : 2004

      21 Spickard, James V., "Globalization and Religious Organizations: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Culture, and Market" Human Sciences Press 18 (18): 2004

      22 Woo, Hairan, "Globalization and Changing Material Culture of South Korean Buddhism" 2018

      23 Nelson, John, "Global and Domestic Challenges Confronting Buddhist Institutions in Japa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2 : 2011

      24 Baumann, Martin, "Global Buddhism: Developmental Period, Regional Histories and A New Analytical Perspectiv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 : 2001

      25 Gauthier, François, "From nation-state to market: The transformations of religion in the global era, as illustrated by Islam" Routledge 48 (48): 2018

      26 Joo, Ryan Bongseok, "Countercurrents from the West-'Blue-Eyed' Zen Masters, Vipassanā Meditation, and Buddhist Psychotherapy in Contemporary Korea"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79 (79): 2011

      27 Adams, Eamon F, "Buddhism and Cultural Consumption in Contemporary Korea: From ‘Nation Protecting Buddhism’ to ‘Nation Globalising Buddhism" 신학과사상학회 79 : 2017

      28 Florence Galmiche, ""Upgrading" Buddhism? Methods from the Business World in South Korean Buddhism" 한국학중앙연구원 18 (18): 35-61,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2-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