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릎 슬리브 착용과 골지 건 기관 자극이 한 발 서기 동작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nee Sleeve with a Stimulation of Golgi Tendon Organ on One Leg Standing and Proprio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64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nee sleeve has been used for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as well as rehabilitation. To investigate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of knee sleev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balance associated with propriocep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knee sleeve with a pad that stimulate to golgi tendon organ (GTO_PAD)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Five healthy male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reenact target angle with Biodex and perform one leg standing with knee sleeve and knee sleeve with GTO_P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rget angle, but the value of %Target angle was higher in subjects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than only knee sleeve, except for one subject. During one leg standing, time duration was increased in subjects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The length of center of pressure in x-axis (COPx) and COP in y-axis (COPy) were decreased when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COPx : 162.06 ± 58.99 mm in knee sleeve vs. 149.03 ± 45.30 mm in knee sleeve with GTO_PAD, COPy : 310.79 ± 115.89 mm in knee sleeve, 291.57 ± 76.53 mm in knee sleeve with GTO_PA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_transition, steady, and LAT_transition phase (all, p < 0.05). These findings support that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might enhance proprioception and balance.
      번역하기

      Knee sleeve has been used for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as well as rehabilitation. To investigate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of knee sleev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balance associated with propriocep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Knee sleeve has been used for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as well as rehabilitation. To investigate prevention of sport injuries of knee sleev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balance associated with propriocep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knee sleeve with a pad that stimulate to golgi tendon organ (GTO_PAD)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Five healthy male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reenact target angle with Biodex and perform one leg standing with knee sleeve and knee sleeve with GTO_P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rget angle, but the value of %Target angle was higher in subjects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than only knee sleeve, except for one subject. During one leg standing, time duration was increased in subjects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The length of center of pressure in x-axis (COPx) and COP in y-axis (COPy) were decreased when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COPx : 162.06 ± 58.99 mm in knee sleeve vs. 149.03 ± 45.30 mm in knee sleeve with GTO_PAD, COPy : 310.79 ± 115.89 mm in knee sleeve, 291.57 ± 76.53 mm in knee sleeve with GTO_PA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_transition, steady, and LAT_transition phase (all, p < 0.05). These findings support that wearing knee sleeve with GTO_PAD might enhance proprioception and bal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릎 슬리브는 재활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시 손상 예방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무릎 슬리브의 스포츠 손상 예방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고유수용성감각으로부터 기인하는 균형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5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이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일반 무릎 슬리브와 자극 패드 슬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BIODEX에서 설정된 타겟(Target) 각도를 재연하였고, 한 발 서기 동작을 수행하였다. 각도 재연성 평가의 결과를 보면, 5명의 실험대상자 중 4명의 실험대상자는 무릎 슬리브를 착용했을 때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Target angle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 발 서기 동작 수행 시 무릎 슬리브 착용 시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유지 시간(duration time)이 증가했으며 x, y 방향에서 COP 길이가 모두 감소했다(COPx – 무릎 슬리브: 162.06 ± 58.99 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149.03 ± 45.30 mm; COPy – 무릎 슬리브: 310.79 ± 115.89 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291.57 ± 76.53 mm). 초기 전이구간, 정적 구간, 말기 전이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무릎 슬리브 착용 시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 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ll, p < 0.05).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이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무릎 슬리브는 재활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시 손상 예방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무릎 슬리브의 스포츠 손상 예방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고유수용성감각으로부터 기인하는 균형을 평...

      무릎 슬리브는 재활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시 손상 예방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무릎 슬리브의 스포츠 손상 예방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고유수용성감각으로부터 기인하는 균형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5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이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일반 무릎 슬리브와 자극 패드 슬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BIODEX에서 설정된 타겟(Target) 각도를 재연하였고, 한 발 서기 동작을 수행하였다. 각도 재연성 평가의 결과를 보면, 5명의 실험대상자 중 4명의 실험대상자는 무릎 슬리브를 착용했을 때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Target angle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 발 서기 동작 수행 시 무릎 슬리브 착용 시 보다 자극 패드 슬리브 착용 시 유지 시간(duration time)이 증가했으며 x, y 방향에서 COP 길이가 모두 감소했다(COPx – 무릎 슬리브: 162.06 ± 58.99 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149.03 ± 45.30 mm; COPy – 무릎 슬리브: 310.79 ± 115.89 mm,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291.57 ± 76.53 mm). 초기 전이구간, 정적 구간, 말기 전이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무릎 슬리브 착용 시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 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ll, p < 0.05).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골지 건 기관 자극 패드 무릎 슬리브 착용이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 Lephart,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treatment of sports injuries" 1 (1): 96-102, 1995

      2 N. Rishiraj, "The potential role of prophylactic/functional knee bracing in preventing knee ligament injury" 39 (39): 937-960, 2009

      3 I. Hanzlíková,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knee bracing on knee stability during three different sport related movement tasks in healthy subjects and the implications to the managemen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48 : 165-170, 2016

      4 G. Bottoni, "The effect of knee brace and knee sleeve on the proprioception of the knee in young non-professional healthy sportsmen" 20 (20): 490-492, 2013

      5 H. Sadeghi, "The effect of exergaming on knee proprioception in older me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69 : 144-150, 2017

      6 R. Perlau, "The effect of elastic bandages on human knee proprioception in the uninjured population" 23 (23): 251-255, 1995

      7 B. D. Beynnon, "The effect of bracing on proprioception of knee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32 (32): 11-15, 2002

      8 B. D. Beynnon, "The effec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rauma and bracing on knee proprioception" 27 (27): 150-155, 1999

      9 A. J. de Vries, "The effect of a patellar strap on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healthy participants and athletes with patellar tendinopathy" 19 (19): 278-282, 2016

      10 S. M. Lephart, "Proprioception of the ankle and knee" 25 (25): 149-155, 1998

      1 S. Lephart,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treatment of sports injuries" 1 (1): 96-102, 1995

      2 N. Rishiraj, "The potential role of prophylactic/functional knee bracing in preventing knee ligament injury" 39 (39): 937-960, 2009

      3 I. Hanzlíková,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knee bracing on knee stability during three different sport related movement tasks in healthy subjects and the implications to the managemen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48 : 165-170, 2016

      4 G. Bottoni, "The effect of knee brace and knee sleeve on the proprioception of the knee in young non-professional healthy sportsmen" 20 (20): 490-492, 2013

      5 H. Sadeghi, "The effect of exergaming on knee proprioception in older me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69 : 144-150, 2017

      6 R. Perlau, "The effect of elastic bandages on human knee proprioception in the uninjured population" 23 (23): 251-255, 1995

      7 B. D. Beynnon, "The effect of bracing on proprioception of knee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32 (32): 11-15, 2002

      8 B. D. Beynnon, "The effec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rauma and bracing on knee proprioception" 27 (27): 150-155, 1999

      9 A. J. de Vries, "The effect of a patellar strap on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healthy participants and athletes with patellar tendinopathy" 19 (19): 278-282, 2016

      10 S. M. Lephart, "Proprioception of the ankle and knee" 25 (25): 149-155, 1998

      11 E. Jonsson, "One-leg stance in healthy young and elderly adults : a measure of postural steadiness?" 19 (19): 688-694, 2004

      12 J. Jerosch,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normal volunteers and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taking special account of the effect of a knee bandage" 115 (115): 162-166, 1996

      13 P. J. McNair, "Knee bracing : effects on proprioception" 77 (77): 287-289, 1996

      14 R. Schween, "Immediate effects of an elastic knee sleeve on frontal plane gait biomechanics in knee osteoarthritis" 10 (10): e0115782-, 2015

      15 K. Krohn, "Footwear alterations and bracing as treatments for knee osteoarthritis" 17 (17): 653-656, 2005

      16 T. W. Kaminski, "Effect of prophylactic knee bracing on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e" 31 (31): 131-, 1996

      17 K. T. Chew, "Current evidence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therapeutic knee braces" 86 (86): 678-686, 2007

      18 J. Beaudreui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rest orthosis, knee sleeves, and unloading knee braces in knee osteoarthritis" 76 (76): 629-636, 2009

      19 A. Collins, "A kinetic and kinematic analysis of the effect of stochastic resonance electrical stimulation and knee sleeve during gait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30 (30): 104-11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6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