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텍스트’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Literary Texts’ in the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03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대 및 배경, 작가 및 주인공의 성차, 타문화 수용 양상을 분석하고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문학텍스트가 차지하는 역할 및 학습목표 대조를 통하여 양국의 사회 문화적 특징을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양국에서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3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3년분이다. 한국교과서는 양적으로 일본의 1.7배에 이르지만, ‘텍스트’ 보다는 ‘학습활동’에 할애한 비율이 높았고, 텍스트 중에는 ‘문학텍스트’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 일본은 그 반대였다. ‘문학텍스트’는 장르별(시·소설·극·수필)로 나누어 대조하였다.
      ⑴ 일본은 3종 공통으로 정전화(正典化)된 고전수필 등을 제외하고는 소설의 비율이 높은 반면, 한국은 3종 모두 극을 싣고 있으며, 구술성에 의존한 민담 및 신변잡기식 생활문 등의 수필이 많았다.
      ⑵ 시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18세기 이전의 고전작품이 많았는데, 『홍길동전』『양반전』은 현대어 역을 사용했고, 그 밖에 설화, 신화, 전래동화가 많아 구술적 작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일본은 고전작품이 적지만, 3종 모두 『平家物語』『竹取物語』등, 대표성을 띠는 고전작품이 정전화되어 있었고 원문과 현대어 역을 함께 싣고 있다.
      ⑶ 소설·극·수필 작가의 출생 시기를 보면 양국 모두 20세기 전반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한국이 고전(전래소설)이 많은데 반해, 일본은 19세기 작품이 뒤를 이어, 근대문학의 태동이 한국보다 한 세기 일찍 일어났음을 반증하고 있다.
      ⑷ 시의 경우, 한국은 현대시가 대부분이고 고전 시조가 거의 없는 반면, 일본은 와카(和歌)·하이카이(俳諧) 등 고전 시가가 많아 대조적이다. 일본의 경우, 정전화되어 있고, 작품 선정이 보수적인데 반해, 한국은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의 다양한 작품이 실려 있다.
      ⑸ 양국 모두 작가나 주인공에서 성차가 나타났으며, 특히, 후자의 경우는 작품 개발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⑹ 일본이 적극적으로 외국작품을 싣고 있고, 일본 국내작가의 작품의 경우에도 외국을 배경으로 한 경우가 많아 타문화수용에 있어서 적극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⑺ 학습목표 및 주제를 보면, 한국은 지나치게 사회 문화적 상황이나 인물간의 갈등에 치중되어 있고, 창의성이나 철학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고전 역시, 신분 등 사회 문화적 상황 및 갈등과 관련이 있었다. 일본은 여전히 반전(反戰)을 다룬 작품이 많으나 자국의 문제로써 보다는 국제적으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문학의 비율이 낮으며, ‘문학텍스트’의 학습목표가 ‘읽기’자체에 중점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대적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대 및 배경, 작가 및 주인공의 성차, 타문화 수용 양상을 분석하고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문학텍스트가 차지하는 ...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대 및 배경, 작가 및 주인공의 성차, 타문화 수용 양상을 분석하고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문학텍스트가 차지하는 역할 및 학습목표 대조를 통하여 양국의 사회 문화적 특징을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양국에서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3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3년분이다. 한국교과서는 양적으로 일본의 1.7배에 이르지만, ‘텍스트’ 보다는 ‘학습활동’에 할애한 비율이 높았고, 텍스트 중에는 ‘문학텍스트’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 일본은 그 반대였다. ‘문학텍스트’는 장르별(시·소설·극·수필)로 나누어 대조하였다.
      ⑴ 일본은 3종 공통으로 정전화(正典化)된 고전수필 등을 제외하고는 소설의 비율이 높은 반면, 한국은 3종 모두 극을 싣고 있으며, 구술성에 의존한 민담 및 신변잡기식 생활문 등의 수필이 많았다.
      ⑵ 시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18세기 이전의 고전작품이 많았는데, 『홍길동전』『양반전』은 현대어 역을 사용했고, 그 밖에 설화, 신화, 전래동화가 많아 구술적 작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일본은 고전작품이 적지만, 3종 모두 『平家物語』『竹取物語』등, 대표성을 띠는 고전작품이 정전화되어 있었고 원문과 현대어 역을 함께 싣고 있다.
      ⑶ 소설·극·수필 작가의 출생 시기를 보면 양국 모두 20세기 전반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한국이 고전(전래소설)이 많은데 반해, 일본은 19세기 작품이 뒤를 이어, 근대문학의 태동이 한국보다 한 세기 일찍 일어났음을 반증하고 있다.
      ⑷ 시의 경우, 한국은 현대시가 대부분이고 고전 시조가 거의 없는 반면, 일본은 와카(和歌)·하이카이(俳諧) 등 고전 시가가 많아 대조적이다. 일본의 경우, 정전화되어 있고, 작품 선정이 보수적인데 반해, 한국은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의 다양한 작품이 실려 있다.
      ⑸ 양국 모두 작가나 주인공에서 성차가 나타났으며, 특히, 후자의 경우는 작품 개발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⑹ 일본이 적극적으로 외국작품을 싣고 있고, 일본 국내작가의 작품의 경우에도 외국을 배경으로 한 경우가 많아 타문화수용에 있어서 적극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⑺ 학습목표 및 주제를 보면, 한국은 지나치게 사회 문화적 상황이나 인물간의 갈등에 치중되어 있고, 창의성이나 철학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고전 역시, 신분 등 사회 문화적 상황 및 갈등과 관련이 있었다. 일본은 여전히 반전(反戰)을 다룬 작품이 많으나 자국의 문제로써 보다는 국제적으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문학의 비율이 낮으며, ‘문학텍스트’의 학습목표가 ‘읽기’자체에 중점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대적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ages and themes,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authors and protagonists, and aspects relating to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in the ‘literary texts’ in the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o compare the rol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ree years currently used as of 2015 in both countries.
      (1) All three of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fiction, except canonized classical essays, whereas all three of the Korean textbooks included dramas and many essays on everyday life.
      (2) As for the age of the work listed in the textbooks, the Korean textbooks contained many classical works written before the 18thcentury, mostofwhichweresimilartoThe Story of Hong Gildong, and also many traditional fairy tales.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ed few classical works. All three kinds of textbooks canonized representative classical works such as Taketorimonogartari.
      (3) In the case of prose, most of the authors of work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ere born between 1900 and 1949. Furthermore,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Korean textbooks were classical works whereas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Japanese textbooks were written in the 19thcentury.
      (4) In the case of poetry, the Korean textbooks mostly contain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yet few traditional threestanza poems. This contrasted with the Japanese textbooks that included many Waka and Haikai. Although the Japanese textbooks are conservative as confirmed by their selection of canoniz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the Korean textbooks listed a variety of poems written by a comparatively young generation of writers.
      (5)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gender differences among authors and the protagonist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re is room for development of works to be included.
      (6) The Japanese textbooks were more likely to include foreign works, and the backgrounds to the works written by Japanese authors were also foreign in many cases. This indicates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7) Concerning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me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Korean textbooks were too much focused on the socialcultural circumstances or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while lacking in contents that would encourage creativity and philosophical thinking.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many works dealing with the antiwar. These issues were usually represented by foreign works, the interpretation of which was left to the read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ages and themes,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authors and protagonists, and aspects relating to the acceptance of other c...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ages and themes,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authors and protagonists, and aspects relating to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in the ‘literary texts’ in the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o compare the rol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ree years currently used as of 2015 in both countries.
      (1) All three of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fiction, except canonized classical essays, whereas all three of the Korean textbooks included dramas and many essays on everyday life.
      (2) As for the age of the work listed in the textbooks, the Korean textbooks contained many classical works written before the 18thcentury, mostofwhichweresimilartoThe Story of Hong Gildong, and also many traditional fairy tales.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ed few classical works. All three kinds of textbooks canonized representative classical works such as Taketorimonogartari.
      (3) In the case of prose, most of the authors of work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ere born between 1900 and 1949. Furthermore,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Korean textbooks were classical works whereas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Japanese textbooks were written in the 19thcentury.
      (4) In the case of poetry, the Korean textbooks mostly contain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yet few traditional threestanza poems. This contrasted with the Japanese textbooks that included many Waka and Haikai. Although the Japanese textbooks are conservative as confirmed by their selection of canoniz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the Korean textbooks listed a variety of poems written by a comparatively young generation of writers.
      (5)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gender differences among authors and the protagonist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re is room for development of works to be included.
      (6) The Japanese textbooks were more likely to include foreign works, and the backgrounds to the works written by Japanese authors were also foreign in many cases. This indicates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7) Concerning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me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Korean textbooks were too much focused on the socialcultural circumstances or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while lacking in contents that would encourage creativity and philosophical thinking.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many works dealing with the antiwar. These issues were usually represented by foreign works, the interpretation of which was left to the rea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연구 목적 및 배경
      • 2. 분석 기준 및 방법
      • 3. 선행연구
      • 4. 문학 및 비문학텍스트와 학습활동의 비율 대조
      • 〈ABSTRACT〉
      • 1. 연구 목적 및 배경
      • 2. 분석 기준 및 방법
      • 3. 선행연구
      • 4. 문학 및 비문학텍스트와 학습활동의 비율 대조
      • 6. 문학텍스트의 시대 및 작가의 세대 대조
      • 7. 문학텍스트의 작가 및 등장인물의 성차 대조
      • 8. 문학 텍스트의 타문화 수용 대조
      • 9. 문학텍스트의 학습목표 및 주제 대조
      • 10. 맺음말
      • 참고문헌(Reference)
      • 〈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숙,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상연구" 일본연구소 (63) : 417-438, 2015

      2 任曉禮, "한중 중학교 국어교과서 바탕글 비교 연구" 배달말학회 38 (38): 115-149, 2006

      3 이미숙, "한ㆍ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대조" 한국일본학회 (102) : 13-33, 2015

      4 강진호, "한・일 근대 국어 교과서와 ‘서사’의 수용 -『신정심상소학』(1896)을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39 : 1-38, 2014

      5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저․중․고학년의 변화에 주목하여 ―" 한국일본학회 95 (95): 31-45, 2013

      6 심은정, "한·일 전래동화 비교연구 -일본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줄지 않는 볏단(へらない稻束)]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55 (55): 83-100, 2005

      7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고시"

      8 김경남, "초등 국어 교과서의 서사 텍스트 분포와 변화 연구" 한국어문학회 117 (117): 129-151, 2012

      9 이윤정,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5 (85): 213-246, 2010

      10 하루오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8-10, 2002

      1 이미숙,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상연구" 일본연구소 (63) : 417-438, 2015

      2 任曉禮, "한중 중학교 국어교과서 바탕글 비교 연구" 배달말학회 38 (38): 115-149, 2006

      3 이미숙, "한ㆍ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대조" 한국일본학회 (102) : 13-33, 2015

      4 강진호, "한・일 근대 국어 교과서와 ‘서사’의 수용 -『신정심상소학』(1896)을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39 : 1-38, 2014

      5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저․중․고학년의 변화에 주목하여 ―" 한국일본학회 95 (95): 31-45, 2013

      6 심은정, "한·일 전래동화 비교연구 -일본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줄지 않는 볏단(へらない稻束)]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55 (55): 83-100, 2005

      7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고시"

      8 김경남, "초등 국어 교과서의 서사 텍스트 분포와 변화 연구" 한국어문학회 117 (117): 129-151, 2012

      9 이윤정,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5 (85): 213-246, 2010

      10 하루오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8-10, 2002

      11 박영목, "중학교 국어1~국어6" 천재교육 2013

      12 김태철, "중학교 국어1~국어6" 비상교육 2013

      13 노미숙, "중학교 국어1~국어6" 천재교육 2013

      14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9-41호"

      15 임성규, "아동문학 초등 국어 교과서 아동문학 정전에 대한 비판적 일고 -7차 교육과정기 동기 제재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00) : 411-432, 2008

      16 김정은,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국어/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44 (44): 103-128, 2010

      17 김예니, "국어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글누림 53-82, 2007

      18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19 차혜영,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상허학회 15 : 67-86, 2005

      20 강진호,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글누림 2006

      21 박기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현대소설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청람어문교육학회 44 (44): 455-492, 2011

      22 빈미영,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시와 소설에 나타난 문학적 상상력 분석" (169) : 15-, 2007

      23 김효미, "韓・日「国語」教科書における「キュリー夫人伝」の比較研究" 한국일어일문학회 72 (72): 85-102, 2010

      24 東京書籍, "新しい国語1~新しい国語3" 2012

      25 伊藤良徳他, "教科書の中の男女差別" 明石書店 13-43, 1995

      26 山住正己他, "小学校教科書を読む" 岩波ブックレック 2-28, 1991

      27 日本教師会, "小学校国語教科書の問題点" 1-21, 1980

      28 教育出版, "国語1~国語3" 2012

      29 石原千秋, "国語教科書の思想" ちくま新書 33-57, 2005

      30 福嶋隆史, "国語が子どもをダメにする" 中公新書ラクレ 7-12, 2012

      31 光村図書, "中学校国語1~中学校国語3" 2012

      32 今井康夫, "アメリカ人と日本人" 創流出版 25-34, 1990

      33 谷川俊太郎他, "こんな教科書あり?" 岩波書店 3-81, 1997

      34 二宮皓, "こんなに違う!世界の国語教科書" 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新書 7-12, 2010

      35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국어과 교과서 집필 기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4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