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 소견과 급성 충수돌기염과의 감별 인자 = Clinical Features of 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d Facto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cute Appendicit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72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Although 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 is probably common cause of abdominal pain in children, which can be severe enough to be an abdominal emergency, the clinical features of mesenteric lymphadenitis are not clear. Also,...

      Purpose: Although 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 is probably common cause of abdominal pain in children, which can be severe enough to be an abdominal emergency, the clinical features of mesenteric lymphadenitis are not clear. Also, a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cute appendicitis (APPE) is indispensable to avoid serious complications. The clinical features of ANML were determined, and the risk facto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PPE were analyzed. Methods: Between November 2000 and May 2001, data from 26 patients (aged 1 to 11 years) with ANML and 21 patients (aged 2 to 13 years) with APPE were reviewed. ANML was defined as a cluster of five or more lymph nodes measuring 10 mm or greater in their longitudinal diameter in the right lower quadrant (RLQ) without an identifiable specific inflammatory process on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risk factors on patient's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examination; the location of abdominal pain, abdominal rigidity, rebound tenderness, fever, nocturnal pain, the vomiting intensity, the diarrhea intensity, the symptom duration, and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Results: Of the 26 ANML patients and 21 APPE patients, abdominal pain was noted on periumbilical (76.9% vs 14.2%), on RLQ (11.5% vs 71.4%), with abdomen rigidity (7.6% vs 80.9%), with rebound tenderness (0.0% vs 76.1%)(p<0.05), in the lower abdomen (11.5% vs 14.2%), and at night (80.8% vs 100.0%) (p>0.05). The clinical symptoms were vomiting (38.4% vs 90.4%), the vomiting intensity ($1.5{\pm}0.7$ [1~3]/day vs $4.5{\pm}2.9$ [1~10]/day), diarrhea (65.3% vs 28.5%) (p<0.05), and fever (61.5% vs 76.2%)(p>0.05). The period to the subsidence of abdominal pain in the ANMA patients was $2.5{\pm}0.5$ (2~3) days. The laboratory dat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8,403{\pm}1,737[5,900{\sim}12,300]/mm^3\;vs\;15,471{\pm}3,749[5,400{\sim}20,800]/mm^3$)(p<0.05). Discriminant analysis between ANML and APPE showed that the independent discriminant factors were a vomiting intensity and th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ount and the discriminant power was 95.7%. Conclusi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ML were abrupt onset of periumbilical pain without rigidity or rebound tenderness, a mild vomiting intensity, normal peripheral leukocytes count, and relatively short clinical course. If the abdominal pain persist for more than 3 days, and/or the vomiting intensity is more than 3 times/day, and/or the peripheral leukocytes count is over $13,500/mm^3$, abdominal ultrasonography is recommended to rule out AP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은 타 질환이 적절히 배제되었을 때 임상적 추정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 그 실체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

      목 적: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은 타 질환이 적절히 배제되었을 때 임상적 추정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 그 실체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급성 충수 돌기염(acute appendicitis, APPE)과의 감별에 혼란을 주어 복막염 등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ANML의 임상 소견을 보고하고, 특히 APPE와의 감별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접근 방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 법: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대구시 한영한마음연합소아과의원으로 급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ANML로 진단된 26명(남녀비 13:13)을, APPE 환자는 같은 기간 대구가톨릭대학병원을 방문하여 수술받은 21명(남녀비 12:9)을 대상으로 하였다. ANML 환자들은 복부 초음파 검사상 10 mm 이상, 5개 이상의 장간막 림프절이 관찰되면서 회장, 대장의 장벽 비후 소견이 5 mm를 넘지 않고 염증성 충수돌기가 관찰되지 않으며, 말초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대변 검사상 타 질환을 의심할 소견이 없는 등을 진단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결 과: 1) ANML군의 진단 당시 연령은 1~11세, $5.2{\pm}2.3$세였다. 2) ANML군의 복통 양상은 21례(80%)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위치는 배꼽 주위부 20례(76%), 우하복부 3례(11%), 하복부 3례(11%)였다. 2례(7%)에서 복부 강직이 있었고, 반발 압통은 전례에서 없었다. APPE군에서는 전례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17례(80%)에서 복부 강직이, 16례(76%)에서 반발 압통이 관찰되어 ANML군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ANML군에서 복통의 회복까지 걸린 시간은 2~4일, $2.5{\pm}0.5$일이었다. 4) ANML군 10례(38%)에서 구토를 보였고 1~3회/일, $1.5{\pm}0.7$회/일이었다. 설사는 17례(65%)에서 있었고 1~4회/일, $1.6{\pm}0.8$회였다. APPE군 19례(90%)에서 구토가 있었으며 1~10회/일, $4.5{\pm}2.9$회로 ANML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PPE군의 설사는 6례(28%)에서 있었으며 1~5회/일, $2.1{\pm}1.6$회이었다. 5) ANML군에서 열은 19례(73%)에서 있었고, 말초혈액 백혈구 수는 $5,900{\sim}12,300/mm^3$이었으며 평균 $8,403{\pm}1,737/mm^3$이었다. APPE군에서는 열은 16례(76%)에서 관찰되었으며 백혈구 수는 $5,400{\sim}20,800/mm^3$으로 평균 $15,471{\pm}3,749/mm^3$이었으며 ANML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하루 구토의 강도와 백혈구 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ANML과 APPE는 95.7%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결 론: ANML과 APPE의 감별 시 복부강직, 반동압통 등 급성복증의 소견이 의심될 때 뿐만 아니라, 복통이 3일을 초과하여 지속되거나, 하루 구토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말초혈액검사상 백혈구 수가 $13,500/mm^3$ 이상을 보일 때에도 반드시 복부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APPE를 확인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한,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과학회 47 (47): 31-35, 2004

      2 황진복, "소아 급성 복통의 원인 질환군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과학회 118 : 2002

      3 정권율,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임파선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 30 : 732-6, 1986

      4 Siegel MJ, "Ultrasonography of acute abdominal pain in children" 266 : 1987-9, 1991

      5 Ang A,, "Pediatric appendicitis in "real-time": the value of sonography in diagnosis and treatment." 17 : 334-340, 2001

      6 Carty HML, "Paediatric emergencies:non-traumatic abdominal emergencies" 12 : 2835-2848, 2002

      7 Puylaert JB, "Mesenteric adenitis and acute terminal ileitis:US evaluation using graded compression" 161 : 691-5, 1986

      8 Horwitz JR, "Importance of diarrhea as a presenting symptom of appendicitis in very young children" 173 : 80-82, 1997

      9 Gracia BM, "Effect of computed tomography on patient management and costs in children with suspected appendicitis" 104 : 440-446, 1999

      10 Rao PM, "Effect of computed tomography of the appendix on treatment of patients and use of hospital resources" 338 : 141-146, 1998

      1 박철한,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과학회 47 (47): 31-35, 2004

      2 황진복, "소아 급성 복통의 원인 질환군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과학회 118 : 2002

      3 정권율,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임파선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 30 : 732-6, 1986

      4 Siegel MJ, "Ultrasonography of acute abdominal pain in children" 266 : 1987-9, 1991

      5 Ang A,, "Pediatric appendicitis in "real-time": the value of sonography in diagnosis and treatment." 17 : 334-340, 2001

      6 Carty HML, "Paediatric emergencies:non-traumatic abdominal emergencies" 12 : 2835-2848, 2002

      7 Puylaert JB, "Mesenteric adenitis and acute terminal ileitis:US evaluation using graded compression" 161 : 691-5, 1986

      8 Horwitz JR, "Importance of diarrhea as a presenting symptom of appendicitis in very young children" 173 : 80-82, 1997

      9 Gracia BM, "Effect of computed tomography on patient management and costs in children with suspected appendicitis" 104 : 440-446, 1999

      10 Rao PM, "Effect of computed tomography of the appendix on treatment of patients and use of hospital resources" 338 : 141-146, 1998

      11 Scholer SJ, "Clinical outcomes of children with acute abdominal pain" 98 : 680-685, 1996

      12 Nance ML, "Appendicitis in the young child:a continuing diagnostic challenge" 16 : 160-162, 2000

      13 Rothrock SG,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Emergency department diagnosis and management" 36 : 39-51, 2000

      14 Moir CR, "Abdominal pain in infants and children" 71 : 984-989, 1996

      15 Swischuk LE, "Abdominal pain for 3 days,but now the patient is feeling better" 18 : 105-10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4-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외국어명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1 0.367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