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팅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과 관련하여 KEPA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첫째, 학습컨설팅의 운영에 있어 KEPA의 역할이 출범, 관리, 평가, 그리고 가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공식적으로는 2011년 하반기에야 출범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KEPA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KEPA는 향후 학습컨설턴트 자격증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효과를 질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책임을 진다. 학습컨설팅의 질관리를 위해서는 학습컨설턴트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EPA가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과 단체들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KEPA의 과제가 발전, 심화, 연계, 창출 등 네 가지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KEPA는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KEPA의 근본은 학술단체이므로 이에 걸맞게 학습컨설팅 관련 학술연구를 심화시켜야 한다. 학술단체로서의 KEPA와 교육기관으로서의 각 대학(원)은 교육과정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컨설팅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습컨설턴트의 자격증은 그의 생계와 연결되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므로, KEPA는 자격증에 적합한 직업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 글의 말미에는 KEPA가 지향하는 학습컨설팅의 모습이 학습문제를 보는 두 가지의 관점, 즉 복합성과 메타문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the roles and tasks of KEPA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First, the roles were overlooked in view of beginning,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bridging. Although the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formally began in late 2011, the KEPA had shown a consistent interest in it for several years. KEPA should administer the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ith quality control. For the quality control, evaluations are needed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nsultants. For the success of learning consultation movement, KEPA should act as a bridge connecting all the persons and institutes interested in learning problems. Second, the tasks of KEPA were overlooked in terms of development, enrichment, connection, and creation, KEPA is needed to incessantly develop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KEPA should actively study about learning consultation in academic ways. KEPA should search a reasonable way to connect tracks of learning consultation with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KEPA should pay a great effort to create the earning jobs appropriate for the certificate of learning consultant.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was filled with the feature of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hich KEPA ought to purs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세호, "한국교육의 종합이해와 미래구상(Ⅲ): 총괄편" 한국교육개발원 1992

      2 박병기, "한국 교육심리학의 초상"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13, 2012

      3 배천웅, "한국 교육문제의 종합진단" 한국교육개발원 1984

      4 한종하, "한국 교육문제의 재조명" 한국교육개발원 1993

      5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 1 (1): 19-33, 2009

      6 윤초희, "학습컨설팅의 모형과 현장 적용 가능성 고찰" 1 (1): 1-18, 2009

      7 Kampwirth, T. J., "학습과 행동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컨설팅" 학지사 2006

      8 박병기,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15 (15): 49-81, 2001

      9 하대현, "교육심리학의 전문성과 학문 후속세대 양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207-233, 2010

      10 김정섭, "교육심리학 연구와 실천의 만남: 학교심리학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235-253, 2010

      1 신세호, "한국교육의 종합이해와 미래구상(Ⅲ): 총괄편" 한국교육개발원 1992

      2 박병기, "한국 교육심리학의 초상"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13, 2012

      3 배천웅, "한국 교육문제의 종합진단" 한국교육개발원 1984

      4 한종하, "한국 교육문제의 재조명" 한국교육개발원 1993

      5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 1 (1): 19-33, 2009

      6 윤초희, "학습컨설팅의 모형과 현장 적용 가능성 고찰" 1 (1): 1-18, 2009

      7 Kampwirth, T. J., "학습과 행동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컨설팅" 학지사 2006

      8 박병기,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15 (15): 49-81, 2001

      9 하대현, "교육심리학의 전문성과 학문 후속세대 양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207-233, 2010

      10 김정섭, "교육심리학 연구와 실천의 만남: 학교심리학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235-253, 2010

      11 Kurpius, D. D., "Why collaborative consultation fails: A matrix for consideration" 2 : 193-195, 1991

      12 Nevin, A. I., "Why are parent partnerships a puzzlement? A commentary" 18 : 259-268, 2008

      13 Zins, J. E., "The scientific base link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o school success" 17 : 191-210, 2006

      14 Leadbetter, J., "The role of mediating artefacts in the work of educational psychologists during consultative conversations in schools" 56 : 133-145, 2004

      15 Patrick, H., "The role of educational psychology in teacher education: Three challenges for educational psychologists" 46 : 71-83, 2011

      16 Gutkin, T. B, "The relationship of consultant, consulte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 consultee resistance to school-based consultation: An empirical analysis" 1 : 111-122, 1990

      17 Doll, B., "The dilemma of pragmatics: Why schools don’t use quality team consultation practices" 16 : 127-155, 2005

      18 Idol, L., "The collaborative consultation model" 6 : 347-361, 1995

      19 Speight, S. L, "The challenge of social justice for school psychology" 19 : 82-92, 2009

      20 Cummings, J. A., "The 2002 conference on the future of school psychology: Implications for consultation, intervention, and prevention services" 15 : 239-256, 2004

      21 Harris, A. M, "Teachers as volunteer consultees: enthusiastic, willing, or resistant participants?" 2 : 217-238, 1991

      22 Zins, J. 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ll students" 17 : 233-255, 2006

      23 Roach, A. T., "School-based consultants as change facilitators: Adaptation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research-based practices" 19 : 300-320, 2009

      24 Bramlett, R. K, "School psychology perspectives on consultation: Key contributions to the field" 9 : 29-55, 1998

      25 Li, C, "School consultants as agents of social justice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families" 19 : 26-44, 2009

      26 Gelzheiser, L. M., "Preparing for the future of school psychology: A special educator’s view" 19 : 259-266, 2009

      27 D’Agostino, J. V., "Increasing the role of educational psychology theory i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46 : 127-132, 2011

      28 Zins, J. E., "Has consultation achieved its primary prevention potential?" 17 : 133-150, 2007

      29 Anderson, L. M., "Educational psychology for teachers: Reforming our courses, rethinking our roles" 30 : 143-157, 1995

      30 Todd A, "Educating practitioners as consultant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 consortium" 13 : 113-132, 2002

      31 Clare, M. M., "Diversity as a dependent variable: Consider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consultation" 13 : 251-263, 2002

      32 Leenaars, A., "Current issues in dealing with suicide prevention in schools: perspectives from some countries" 12 : 365-384, 2001

      33 Behring, S. T, "Culture as a central components of consultation: A call to the field" 9 : 57-72, 1998

      34 Alpert, J. L, "Consultation training: A field in need of review, revision, and research" 13 : 7-11, 2002

      35 Cancelli, A. A,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based consultation" 1 : 87-98, 1990

      36 Love, K. B., "Close but no cigar (yet): A commentary on “Has consultation achieved its primary prevention potential?,” an article by Joseph E. Zins" 17 : 165-169, 2007

      37 Zins, J. E., "Building a strong future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3 : 5-6, 2002

      38 Ysseldyke, J., "Blueprints on the future of training and practice in school psychology: what do they say abou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9 : 177-196, 2009

      39 Hughes, J. N., "Back to basics: Does consultation work?" 5 : 77-84, 1994

      40 Randolph, D. L, "A survey of consultation articles in key counseling journals" 6 : 83-94, 1995

      41 Meyers, J., "A 30 year perspective on best practices for consultation training" 13 : 35-50, 2002

      42 Merell, K. W., "21세기를 위한 학교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