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우 훈련 방법의 대안으로서 메이어홀드 ‘인체역학’의 효용성 = ‘인체역학’의 형성 배경과 이론적 원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5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주의 연극의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과 더불어 배우의 연기에 대해 구체적 접근을 시도했던 본격적인 연기 훈련법이다. 그러나 러시아 내에서 메이어홀드에 대한 연구가 금지되었던 정치적 이유로, 그리고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이 미국식 연기 방법론으로 변형되어 전 세계에 보편화된 이유로 인해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오늘날 배우 훈련의 실제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국 내 배우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체역학’은 단순히 신체 중심적 방법론으로 오인되어 이해되고 있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이를 통해 그것을 실제 배우 훈련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용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자연주의 연극의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과 더불어 배우의 연기에 대해 구체적 접근을 시도했던 본격적인 연기 훈련법이다. 그...

      자연주의 연극의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과 더불어 배우의 연기에 대해 구체적 접근을 시도했던 본격적인 연기 훈련법이다. 그러나 러시아 내에서 메이어홀드에 대한 연구가 금지되었던 정치적 이유로, 그리고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이 미국식 연기 방법론으로 변형되어 전 세계에 보편화된 이유로 인해서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은 오늘날 배우 훈련의 실제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국 내 배우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체역학’은 단순히 신체 중심적 방법론으로 오인되어 이해되고 있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이어홀드의 ‘인체역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이를 통해 그것을 실제 배우 훈련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용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yerhold’s ‘Biomechanics’, which germinat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naturalism theatre, is a primary acting method that attempted to approach to acting in a material way, along with Stanislavski’s ‘System’. However, not only for a reason of the political background that all study on Meyerhold were forbidden in Russia but also fora reason of universalization of Stanislavski’s ‘System’ through the world mutated into American acting method, it is a fact that Meyerhold’s ‘Biomechanics’ is not actively utilized in a field of actor training at the present day. Especially, in case of actor training in Korea, ‘Biomechanics’ is also misunderstood as a method only focused on an actor’s physical approach. Therefor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sefulness of ‘Biomechanics’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it to the actor training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번역하기

      Meyerhold’s ‘Biomechanics’, which germinat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naturalism theatre, is a primary acting method that attempted to approach to acting in a material way, along with Stanislavski’s ‘System’. However, not only...

      Meyerhold’s ‘Biomechanics’, which germinat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naturalism theatre, is a primary acting method that attempted to approach to acting in a material way, along with Stanislavski’s ‘System’. However, not only for a reason of the political background that all study on Meyerhold were forbidden in Russia but also fora reason of universalization of Stanislavski’s ‘System’ through the world mutated into American acting method, it is a fact that Meyerhold’s ‘Biomechanics’ is not actively utilized in a field of actor training at the present day. Especially, in case of actor training in Korea, ‘Biomechanics’ is also misunderstood as a method only focused on an actor’s physical approach. Therefor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sefulness of ‘Biomechanics’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it to the actor training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배우의 ‘새로운’ 역할
      • Ⅲ.‘인체역학’의 배경 이론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배우의 ‘새로운’ 역할
      • Ⅲ.‘인체역학’의 배경 이론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iderot,Denis, "배우에 관한 역설" 문학과 지성사 20-21, 2001

      2 Leach, Robert, "Vsevolod Meyerhold" CambridgeUniversityPress 48-, 1989

      3 Pitches, Jonathan, "Vsevolod Meyerhold" Routledge 48-, 2003

      4 S.D.Balukhaty, "TheSeagullProduced by Stanislavski" DennisDobson 90-, 1952

      5 Gordon,Robert, "ThePurposeofPlaying –ModernActingTheoriesinPerspective" The UniversityofMichiganPress 102-, 2006

      6 Moore, Sonia, "The Stanislavski System" PenguinBooks 10-, 1982

      7 Robert Leach, "StanislavskiandMeyerhold" PeterLang AG 33-, 2003

      8 Braun,Edward, "Meyerhold–A Revolutionin Theatre" MethuenDrama 248-, 1988

      9 Law,Alma, "Meyerhold, Eisenstein and Biomechanics – Actor Training in Revolutionary Russia" McF 2-, 1996

      10 Braun, Edward, "Meyerhold on Theatre" MethuenDrama 51-, 1998

      1 Diderot,Denis, "배우에 관한 역설" 문학과 지성사 20-21, 2001

      2 Leach, Robert, "Vsevolod Meyerhold" CambridgeUniversityPress 48-, 1989

      3 Pitches, Jonathan, "Vsevolod Meyerhold" Routledge 48-, 2003

      4 S.D.Balukhaty, "TheSeagullProduced by Stanislavski" DennisDobson 90-, 1952

      5 Gordon,Robert, "ThePurposeofPlaying –ModernActingTheoriesinPerspective" The UniversityofMichiganPress 102-, 2006

      6 Moore, Sonia, "The Stanislavski System" PenguinBooks 10-, 1982

      7 Robert Leach, "StanislavskiandMeyerhold" PeterLang AG 33-, 2003

      8 Braun,Edward, "Meyerhold–A Revolutionin Theatre" MethuenDrama 248-, 1988

      9 Law,Alma, "Meyerhold, Eisenstein and Biomechanics – Actor Training in Revolutionary Russia" McF 2-, 1996

      10 Braun, Edward, "Meyerhold on Theatre" MethuenDrama 51-, 1998

      11 Schmidt,Pauled, "Meyerhold at Work" ApplauseBooks 11-, 1996

      12 Leach, "Alison Hodge, Twentieth CenturyActorTraining" Routledge 37-, 2000

      13 김미혜, "20세기 연극 관객의 위상 재정립의 시발(始發)-V.E.메이어홀드(1874-1940)의 연극관과 작업을 중심으로" 14 : 288-,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