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urposes to compare the Proletarian children’s song at the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We found three similarities of the two Proletarian children’s song book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ly,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0794
2014
Korean
809
KCI등재
학술저널
197-233(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s to compare the Proletarian children’s song at the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We found three similarities of the two Proletarian children’s song book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ly, ...
This study purposes to compare the Proletarian children’s song at the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We found three similarities of the two Proletarian children’s song book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ly, the Class antagonism and Consciousness of resistance can be found in both of two books. Secondly, the allegory and satire was used in the both Proletarian children’s songs. Thirdly, Onomatopoeia and Imitative words were used in some Proletarian children’s songs both of two books.
Also three dissimilarities of Proletarian children’s songs can be found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ly, Many children’s funny play songs can be found in The Little Comrade. But we can not find so many children’s funny play songs in Bulbyeol. Secondly, Anti-war peace consciousness can be found in Japan Proletarian children’s songs. But there is no one in Bulbyeol. Thirdly, the material of leaving school and studying at night school was found in Bulbyeol. But we can not find this material in The Little Comrade.
The Class-consciousness is emphasized in both Proletarian children’s song books, but peculiarity of the children and peculiarity of literature was ignored in the works. This is the limit of two books. Also we can say it’s the limit of all Proletarian children’s songs in 1920s and 1930s between Korea and Jap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푸로레타리아동요집 불별"
2 이순욱, "카프의 매체 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 한국문학회 37 (37): 243-268, 2004
3 김태영, "조선에서 전개된 프로레타리아 음악 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예술종합학교 2003
4 원종찬,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 -한국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69-100, 2011
5 류종렬, "이주홍의 프로문학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4 : 2003
6 류종렬, "이주홍의 일제강점기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2004
7 류종렬, "이주홍과 부산지역문학" 한국현대소설학회 19 : 47-76, 2003
8 박경수, "아동문학의 도전과 지역 맥락—부산ㆍ경남지역 아동문학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9 원종찬, "계보에 비추어 본 이주홍 아동문학의 특질-카프 시기의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31-364, 2012
10 박경수, "계급주의 동시 이해의 밑거름-프롤레타리아동요집 『불별』에 대하여" 경남ㆍ부산지역문학회 (8) : 2003
1 "푸로레타리아동요집 불별"
2 이순욱, "카프의 매체 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 한국문학회 37 (37): 243-268, 2004
3 김태영, "조선에서 전개된 프로레타리아 음악 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예술종합학교 2003
4 원종찬,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 -한국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69-100, 2011
5 류종렬, "이주홍의 프로문학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4 : 2003
6 류종렬, "이주홍의 일제강점기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2004
7 류종렬, "이주홍과 부산지역문학" 한국현대소설학회 19 : 47-76, 2003
8 박경수, "아동문학의 도전과 지역 맥락—부산ㆍ경남지역 아동문학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9 원종찬, "계보에 비추어 본 이주홍 아동문학의 특질-카프 시기의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8) : 331-364, 2012
10 박경수, "계급주의 동시 이해의 밑거름-프롤레타리아동요집 『불별』에 대하여" 경남ㆍ부산지역문학회 (8) : 2003
11 윤주은, "槇本楠郎와 이주홍의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7
12 槇本楠郎, "プロレタリア童謠集 赤い旗" 紅玉堂書店 1930
13 槇本楠郎, "プロレタリア童謠集 小さい同志" 自由社 1931
14 김영순, "1930년대에 교차하는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7) : 55-86, 2010
1970년대 한국아동문학전집 편찬과 `해석정전`의 형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7 | 1.0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