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형택, "흔들리는 언어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2 정우택, "황석우연구" 박이정 2008
3 김준오,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새미 2009
4 김삼수, "한국에스페란토운동사"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6
5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6 정우택, "한국 근대 초기시에서 '외래성'과 '근대성'의 문제" 한국시학회 (19) : 31-61, 2007
7 "학생계"
8 "태서문예신보"
9 앤서니 아노브, "촘스키 知의 향연" 시대의 창 2013
10 "조선일보"
1 임형택, "흔들리는 언어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2 정우택, "황석우연구" 박이정 2008
3 김준오,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새미 2009
4 김삼수, "한국에스페란토운동사"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6
5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6 정우택, "한국 근대 초기시에서 '외래성'과 '근대성'의 문제" 한국시학회 (19) : 31-61, 2007
7 "학생계"
8 "태서문예신보"
9 앤서니 아노브, "촘스키 知의 향연" 시대의 창 2013
10 "조선일보"
11 "조선문단"
12 구인모, "절대적 보편과 형상에 대한 신념 -김억의 언어 인식과 시학-" 한국문학연구학회 (45) : 243-273, 2011
13 "이광수전접 1"
14 김윤식, "에스페란토文學을 通해 본 金億의 譯詩攷" 한국교육학회 14 : 26-69, 1968
15 안종수, "에스페란토, 아나키즘 그리고 평화" 선인 2006
16 허발, "언어와 정신" 열린책들 2013
17 허재영, "안서 김억의 언어관과 한글 문법론" 인문과학연구소 (35) : 207-226, 2012
18 김우선, "선구자 김억" 한국에스페란토협회 2000
19 신지연, "민족어와 국제공통어 사이 - 김억을 바라보는 한 관점 -" 민족문화연구원 (51) : 377-417, 2009
20 레오 바이스게르버, "모국어와 정신형성" 문예출판사 2004
21 "동아일보"
22 박슬기,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한국현대문학회 (30) : 103-132, 2010
23 沈善玉, "근대시 형성과 번역의 상관성―金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321-351, 2008
24 "근대사조"
25 "개벽"
26 C. D. 루이스, "詩란 무엇인가" 탐구당 1984
27 조영복, "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미학" 소명출판 2004
28 김경미, "1920년대 에스페란토 보급 운동과 민족운동 세력의 인식" 역사학연구소 16 : 133-16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