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하여 생활활동능력, 신체통증 그리고 정서상태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그룹간에 차이를 비교하고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관여하는 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30818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37(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하여 생활활동능력, 신체통증 그리고 정서상태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그룹간에 차이를 비교하고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관여하는 요...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하여 생활활동능력, 신체통증 그리고 정서상태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그룹간에 차이를 비교하고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해 보았다. 연구에는 총 88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비독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의 경우 생활활동능력이 낮고, 신체적통증이 높으며, 정서상태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요소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세부 분석 결과 이는 거주형태(독거/비독거)이외에도 생활활동패턴 (실내/실외 활동)이 동시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독거노인 돌봄서비스와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생리학적 지표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one’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body pain, and emotional states of elders who live alone and elders who live with other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affect senior’s health state. The data was c...
In this research, one’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body pain, and emotional states of elders who live alone and elders who live with other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affect senior’s health stat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8 seniors and analyzed for the comparison. Compared to seniors who live with others, elders who live alone had lower activity of daily livings, stronger body pain, and instability in emotional states. These 3 aspec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orrelation.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not only residential types(living alone or living with others), but also life pattern(indoor or outdoor) is affected on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physiological index to evaluate senior’s health state and care service for seniors who live alon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오지연, "한국어판 단문형 국제신처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가정의학회 28 (28): 532-541, 2007
3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5, 2002
4 김명희, "저소득층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와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의 관계" 기초간호학회 11 (11): 149-156, 2009
5 배숙경,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6 채현탁,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방안: 일본 시오야마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225-256, 2006
7 김정연,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471-484, 2010
8 최종환, "노인들의 성별과 신체활동 수준이 신체적 기능, 심리적 기능, 그리고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975-983, 2004
9 장재원, "노인돌보미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31-54, 2013
10 이정숙,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7) : 231-253, 2005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오지연, "한국어판 단문형 국제신처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가정의학회 28 (28): 532-541, 2007
3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5, 2002
4 김명희, "저소득층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와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의 관계" 기초간호학회 11 (11): 149-156, 2009
5 배숙경,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6 채현탁,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방안: 일본 시오야마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225-256, 2006
7 김정연,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471-484, 2010
8 최종환, "노인들의 성별과 신체활동 수준이 신체적 기능, 심리적 기능, 그리고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975-983, 2004
9 장재원, "노인돌보미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31-54, 2013
10 이정숙,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7) : 231-253, 2005
11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 16 (16): 333-344, 2009
12 신영석, "고령자 생활활동패턴에 따른 신체, 인지 및 정서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7-29, 2017
13 김귀분, "가족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765-777, 2008
14 R. D. Kerns, "The West Haven-Yale Multidimensional Pain Inventory (WHYMPI)" 23 (23): 345-356, 1985
1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opulation Projection and households datas"
16 S. N. Cho, "The Family Support and Health of the Elderly" 5 (5): 31-76, 1999
17 Mihallko, "Strength Training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4 (4): 56-68, 1996
18 N. Bellamy, "Pain Assessment in Osteoarthritis: Experience with the WOMAC Osteoarthritis Index" 18 (18): 14-17, 1989
19 C. R. Maura, "Loneliness in Eldery" 13 (13): 6-9, 1987
20 K. T. Kim, "Life Satisfaction and Soc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20 (20): 153-168, 2000
21 D. Wars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54 (54): 1063-1070, 1988
22 G. S. Alexopoulos, "Depression in the Elderly" 365 (365): 1961-1970, 2005
23 G. S. Yu,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23 (23): 163-179, 2003
24 S. H. Yoo, "Analysis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Frequency and Duration" 21 (21): 191-208, 1997
25 S. Y. Lee,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30 (30): 181-202, 2011
26 S, N. Jeon, "A Study on Welfare Service Needs Based on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85-103, 2010
27 J. S. Kim, "A Study on Self-Esteem, IAD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28 (28): 148-158, 1998
28 M. R. Song,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5 (5): 171-181, 2003
29 S. D. Go, "(An)Analyt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996
국민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 개발 및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텔레프레젠스 로봇을 이용한 자기결정 경험의 증대가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6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