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생활 노인의 낙상요인 예측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30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5세 이상 도시거주 노인 10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만성질환 상태, 낙상 관련 의학적 변수, 균형 관련 자신감, 신체적 능력, 우울감을 평가하는 도구를 통해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주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이 중 낙상을 유발하는 데 높은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도출하여 예측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낙상군에서 요실금, 발의 통증, 하지근력약화, 만성 질환수 및 복용 약물수 빈도수가 비낙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ABC(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총점, BBS (Berg Balance Scale) 총점,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총점, FRT(Functional Reach Test) 값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은 ABC 총점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낙상 위험이 높아짐으로써 균형능력에 대한 자기 확신감이 낮을수록 낙상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C, SDGS, BBS 척도가 결합하여 적용될 경우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구분하는 예측력은 70.1%로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65세 이상 도시거주 노인 10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만성질환 상태, 낙상 관련 의학적 변수, 균형 관련 자신감, 신체적 능력, 우울감을 평가하는 도구를 통해 낙상에 영향을 미...

      본 연구는 65세 이상 도시거주 노인 10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만성질환 상태, 낙상 관련 의학적 변수, 균형 관련 자신감, 신체적 능력, 우울감을 평가하는 도구를 통해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주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이 중 낙상을 유발하는 데 높은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도출하여 예측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낙상군에서 요실금, 발의 통증, 하지근력약화, 만성 질환수 및 복용 약물수 빈도수가 비낙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ABC(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총점, BBS (Berg Balance Scale) 총점,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총점, FRT(Functional Reach Test) 값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은 ABC 총점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낙상 위험이 높아짐으로써 균형능력에 대한 자기 확신감이 낮을수록 낙상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C, SDGS, BBS 척도가 결합하여 적용될 경우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구분하는 예측력은 70.1%로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alls in 107 elderly living in the city aged 65 or older by evaluating general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 status, medical variables related to falls, balance-related confidence, physical ability and depression.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the prediction power was determined by deriving the variables with high influence to induce the fall. In the faller group, urinary incontinence, foot pain, lower extremity weakness, number of chronic disease and medication u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faller group.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aluated in ABC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ore, BBS (Berg Balance Scale) score,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FRT (Functional Reach Test) value. The main correlated factor for fall was ABC score, the lower the ABC score, fall risk is increased which i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When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combining those scales, the hit ratio to classify whether faller or nonfaller is increased to 70.01% which is quite higher valu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alls in 107 elderly living in the city aged 65 or older by evaluating general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 status, medical variables related to falls, balance-related confide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alls in 107 elderly living in the city aged 65 or older by evaluating general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 status, medical variables related to falls, balance-related confidence, physical ability and depression.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the prediction power was determined by deriving the variables with high influence to induce the fall. In the faller group, urinary incontinence, foot pain, lower extremity weakness, number of chronic disease and medication u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faller group.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aluated in ABC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ore, BBS (Berg Balance Scale) score,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FRT (Functional Reach Test) value. The main correlated factor for fall was ABC score, the lower the ABC score, fall risk is increased which i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When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combining those scales, the hit ratio to classify whether faller or nonfaller is increased to 70.01% which is quite higher val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과
      • 4. 고찰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재영, "한국 노인의 낙상 실태와 위험요인: 일부 지역의 인구비례 할당 표본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8-17, 2010

      2 최경원,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 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539-551, 2011

      3 전미양,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낙상 재발 위험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6353-6363, 2013

      4 최희정,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17 (17): 149-155, 2011

      5 전민재, "노인 낙상군과 노인 비낙상군의 비교: 균형능력과 우울감 및 삶의 질"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1 (21): 45-54, 2014

      6 Sujung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in individuals with stroke"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7 S. N. Jang, "Time Since Falling and Fear of Fallin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19 : 1072-1083, 2007

      8 L. E. Powell,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50 (50): 28-34, 1995

      9 Daejeon Metropolitan City, "Social Indicators of Daejeon"

      10 S. R. Lord, "Simple Physiological and Clinical Tests for the Accurate Prediction of Falling in Older People" 42 (42): 199-203, 1996

      1 임재영, "한국 노인의 낙상 실태와 위험요인: 일부 지역의 인구비례 할당 표본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8-17, 2010

      2 최경원,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 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539-551, 2011

      3 전미양,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낙상 재발 위험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6353-6363, 2013

      4 최희정,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17 (17): 149-155, 2011

      5 전민재, "노인 낙상군과 노인 비낙상군의 비교: 균형능력과 우울감 및 삶의 질"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1 (21): 45-54, 2014

      6 Sujung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in individuals with stroke"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7 S. N. Jang, "Time Since Falling and Fear of Fallin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19 : 1072-1083, 2007

      8 L. E. Powell,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50 (50): 28-34, 1995

      9 Daejeon Metropolitan City, "Social Indicators of Daejeon"

      10 S. R. Lord, "Simple Physiological and Clinical Tests for the Accurate Prediction of Falling in Older People" 42 (42): 199-203, 1996

      11 "Seoul Statistics"

      12 유인영, "RAI-HC를 이용한 노인의 다면적 재낙상 위험요인 분석-1회 낙상자와 재낙상자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41 (41): 119-128, 2011

      13 K. O. Berg,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41 (41): 304-311, 1989

      14 A. A. Guccione, "Geriatric Physical Therapy, 3rd ed" Mosby 2011

      15 J. I. Sheikh,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5 : 165-173, 1986

      16 A. C. Scheffer, "Fear of Falling: Measurement Strateg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Among Older Persons" 37 (37): 19-24, 2008

      17 L. Z. Rubenstein,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90 (90): 807-824, 2006

      18 S. Y. Kim, "Factors Related to the Awfulness of Fall Among the Elderly In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Ch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9

      19 "CDC"

      20 J. M. Kim, "An Analysis of Falls in the Elderly: A PRECEDE Model Approach" Ewha Womans University 2008

      21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s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35 : 298-307,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6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