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풀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 형태에서 정량적인 1RM 측정이 가능한 국민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훈련 시 그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30815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62(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풀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 형태에서 정량적인 1RM 측정이 가능한 국민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훈련 시 그에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풀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 형태에서 정량적인 1RM 측정이 가능한 국민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훈련 시 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휴대용 근력 측정 장치, 블루투스 통신 기반 휴대폰 데이터 전송 및 회로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몸체로 구성된 디지털 풀리 기반 스마트 1RM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피험자는 신체건강한 20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15명씩 무작위로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그룹과 수행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뉘었다. 피험자는 스마트 1RM 시스템을 이용하여 팔꿈치, 요추, 무릎관절 신전/굴곡 운동을 10회씩 5세트를 수행하였고, 실험 기간은 주 3일, 총 8주간 진행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주관절, 요추관절, 슬관절의 최대근력을 BIODEX System 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운동 모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호흡가스분석을 평가하였다. 또한 개발된 1RM 시스템의 최대근력 평가 결과 값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기존 검증된 시스템인 등속성 근기능 측정 모듈인 Biodex system3 결과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훈련그룹에서 최대근력 증진 운동 전 후 주관절, 요추관절, 슬관절의 최대 근력이 유의하게 모두 증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1RM 운동모드 중 산소섭취량은 근력강화 운동이 근지구력강화 운동 보다 약 10.91% 더 많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냈다. 또한 개발된 스마트 1RM 최대근력 측정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Biodex system3 데이터와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도는 0.895(*p<0.00)로 매우 높은 신뢰 수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민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보다 정량적으로 활용하고 또한 고령자나 재활환자들의 조기 재활치료에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mart 1RM system for n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physical fitness, which enables quantitative 1RM measurement in various types of exercise using digital pulley technology, and to test the effect on training by using i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mart 1RM system for n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physical fitness, which enables quantitative 1RM measurement in various types of exercise using digital pulley technology, and to test the effect on training by using it. We developed the smart 1RM system, which is composed of portabl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Bluetooth communication based mobile phone data transmission and circuit diagram, and height adjustable system body. We recruited the 30 participants with 20th aged and divided into training and non-performing groups with 15 participants random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5 sets of elbow, lumbar, knee extension / flexion 10 times using smart 1RM system and the experimental period was 3 day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strength of the elbow, lumbar, and knee joi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efore and after maximal muscle strength training in the training group. Oxygen intakes during 1RM exercise mode showed 10.91% than enduranc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mart 1RM maximal strength data, the reliability was 0.895 (* p <0.00).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arly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more quantitatively using the national health ca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연희,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활동이 계층별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7 (17): 57-63, 2009
2 강승록, "청각 피드백이 적용된 좌우 불균형 개선을 위한 밸런스 인솔 개발 및 검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1 (11): 115-124, 2017
3 강승록, "요추강화 운동기기의 훈련을 통한 유연성 및 근력 특성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53-61, 2010
4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5 G. G. Malowsaaris, "Somatotype, Size and Body Composition of Competitive Female Volleyball Players" 11 (11): 337-344, 2008
6 A. A. Hedley, "Prevalence of Overceght and Obesity among US Children, Adolescent, and Adult, 1999-2002" 291 : 2847-2850, 2004
7 B. R. Carlson, "Physique and Mot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US National Rugby National Rugby Players" 12 (12): 403-412, 1994
8 R. M. Malina, "Physical Activity: Relationship to Growth, Naturation, and Physical Fitness" 918-930, 1994
9 C. Bouchard,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Health : The Model and Key Concepts" Human Kinetics Publisher 1994
10 S. J. 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the Health-Related Fitness Test" Graduate School of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jor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06
1 손연희,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활동이 계층별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7 (17): 57-63, 2009
2 강승록, "청각 피드백이 적용된 좌우 불균형 개선을 위한 밸런스 인솔 개발 및 검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1 (11): 115-124, 2017
3 강승록, "요추강화 운동기기의 훈련을 통한 유연성 및 근력 특성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53-61, 2010
4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5 G. G. Malowsaaris, "Somatotype, Size and Body Composition of Competitive Female Volleyball Players" 11 (11): 337-344, 2008
6 A. A. Hedley, "Prevalence of Overceght and Obesity among US Children, Adolescent, and Adult, 1999-2002" 291 : 2847-2850, 2004
7 B. R. Carlson, "Physique and Mot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US National Rugby National Rugby Players" 12 (12): 403-412, 1994
8 R. M. Malina, "Physical Activity: Relationship to Growth, Naturation, and Physical Fitness" 918-930, 1994
9 C. Bouchard,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Health : The Model and Key Concepts" Human Kinetics Publisher 1994
10 S. J. 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the Health-Related Fitness Test" Graduate School of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jor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06
11 C. R. Garrido,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and Body Composition in Elite Athletes" 49 (49): 278-284, 2009
12 D. Gu,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China" 295 (295): 776-783, 2006
13 J. M. Yuhan, "Body Weight and Mortality : A Prospective Evaluation in a Cohort of Middle- Aged Men in Shanghai, China" 27 : 824-832, 1998
14 W. H. Felts, "Adolescents Relative Weight and Self-Reported Weight-Loss Activities : Analysis of 1990 YRBS National Data" 18 : 20-26, 1996
1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9 Technology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2009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7 Physical Fitness"
17 윤성덕, "12주간의 근력트레이닝이 대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 1RM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8 (18): 179-185, 2010
텔레프레젠스 로봇을 이용한 자기결정 경험의 증대가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독거노인의 생활활동능력과, 신체통증과 정서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6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