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 개발과 타당화: 기독교인 성인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Christian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8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sub-domain that explains the sense of the faith community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sub-domain that explains the sense of the faith community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ith community sense. The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is equally measurable as a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The Delphi survey of the third phase resulted in 128 questions, and the last 60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test tool.
      The domain of faith community sense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relational factor, conscious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ur compon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good model for the faith community sense than other alternative structural mode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odel wa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faith.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gender and age groups can use the tools of sense test of faith community verified by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 identity, the measurement identity, the segment identity, the partial dispersion / covariance identity, and the similarity are verifi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developing a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system of sense test for the Christian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which was not established in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community sense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help the Christian adults to confirm their current spirit level and strengthen the sense of necessary communit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of sense of faith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accumulation of test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기독교인의 지역 교회내에서 신앙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30대 이상의 남녀 성인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

      본 연구는 현대 기독교인의 지역 교회내에서 신앙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30대 이상의 남녀 성인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12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최종 60개 문항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신앙공동체의식의 영역은 관계적 요인, 의식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정서충족적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구분된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검증 결과에서는 신앙공동체의식 검사가 다른 대안적 구조모형보다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나 이 모형이 신앙공동체의식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성별과 연령별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동동성을 검증한 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부분 분산/공분산동일성이 확보되어 구인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30대 이상의 기독교 성인남녀 모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한 의의로는 첫째, 이 검사 도구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립되지 못했던 신앙공동체의식을 독립적인 평가 영역으로 확립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초로 성도들이 현재 자신의 신앙공동체의식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신앙공동체의식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둘째, 주기적인 기독교인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지속적인 누적을 통해 교인들의 신앙공동체의식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성휘, "협력적 관계가 교회와 마을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4) : 331-376, 2018

      2 김영한, "탈성장 시대 교회의 새 패러다임: 영성 공동체 교회" 9 : 9-41, 2015

      3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양덕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5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6 서재호,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서울행정학회 24 (24): 437-459, 2013

      7 김영주,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219-226, 2012

      8 이종윤, "신약에 나타난 코이노니아" 한국신약학회 1 : 140-154, 1995

      9 예상권,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관광학회 18 (18): 1-26, 2011

      10 Snyder, H.,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생명의 말씀사 2006

      1 고성휘, "협력적 관계가 교회와 마을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4) : 331-376, 2018

      2 김영한, "탈성장 시대 교회의 새 패러다임: 영성 공동체 교회" 9 : 9-41, 2015

      3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양덕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5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6 서재호,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서울행정학회 24 (24): 437-459, 2013

      7 김영주,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219-226, 2012

      8 이종윤, "신약에 나타난 코이노니아" 한국신약학회 1 : 140-154, 1995

      9 예상권,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관광학회 18 (18): 1-26, 2011

      10 Snyder, H.,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생명의 말씀사 2006

      11 임영택, "단절과 소외 극복을 위한 교육목회의 방안: Parekr Palmer의 진리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4) : 1-28, 2015

      12 오은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소 탐색 : 학교체제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83-107, 2010

      13 성희자,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15-332, 2013

      14 조용훈, "기독교 도시빈민공동체운동의 현황과 미래적 과제에 대한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57) : 117-152, 2012

      15 박도순,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2003

      16 정태기, "공동체 신학, 공동체 목회" 46 : 113-118, 2001

      17 이라영,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223-234, 2009

      18 이라영,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9 이현영,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39-469, 2012

      20 이건남,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1 강성열, "고대 이스라엘의 신정 공동체와 마을목회" 세계선교연구원 (44) : 13-41, 2018

      22 Westerhoff III, J.,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Seabury Press 1976

      23 Nasar, J. L.,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61 : 178-184, 1995

      24 Hillery, G., "The Monastery: A study of freedom, love, and community" Praeger Publishing Co 1992

      25 Browne, M. W., "Testing 2). Testing structure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26 Cicognani, E., "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wellbeing: A study on American, Italian and Iranian university students" 89 (89): 97-112, 2008

      27 Mcmillan, D., "Sense of community: An attempt at definition"

      28 Mcmillan, D.,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29 Boomsma, A., "Reporting analyses of covariance structures" 7 : 461-481, 2000

      30 Glynn, T. J.,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34 : 780-818, 1981

      3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1

      32 McDonald, R. P.,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7 (7): 64-82, 2002

      33 Ciardi, F., "Koinonia: Spiritual and theological growth of the religious community" New City Press 2001

      34 Gable, Robert, K.,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Measuring attitudes and values incorporate and school setting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3

      35 Anderson, E. T., "Important distance education practices: A Delphi study of administrators and coordinators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 in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Idaho 1997

      36 Delbecq, A.L.,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Scott, Foresman & Co 1975

      37 Ziglio, E., "Gazing into the Oracle: The Delphi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polity and public health"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33, 1996

      38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 1-55, 1999

      39 Dalkey, N. C.,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1 (1): 408-426,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