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선비들이 추구한 유교적 이상사회 = Confucian Ideal Society Pursued by Seonbi during Early Chos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9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pic of this study is seonbi during early Chosun and is going to look into Confucian ideal society that they pursued then. The seonbi in Chosun generally refers to the sadaebu during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they were divided into Gwanhakpa and Sahakpa, and then, after the Sejojeongbyeon, they were separated into Hungupa and Sarimpa. The aspects of seonbi, the topic of this paper, are more distinctly found in Sarimpa as the force criticizing the hungu force that ruled in the 16th century.
      In this period, the sarim force exhibited sev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ly from the ruling power. The key points are that (1) they pursued Dohak politics to found a politically Confucian ideal state, and this was genuinely started from Jo Gwangjo. (2) In the point that the academic activities were done on the residing ground of hyangchon, they were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color of hangdang(鄕黨). Their major concern over the matters of hyangchon was to reorganize the previous Goryeo’s ijok(吏族)-centered hyangchon society that was based on Buddhism and eumsa(淫祀) into the Confucian system of hyangchon order centered around sajok(士族). For this, they developed the Yuhangso Restoration Movement and also Hyangyak·Seowon Distribution Movement in order to spread practical, new-Confucian ethics including 『Jujagarye (朱子家禮)』, 『Sohak(小學)』, Hyangsarye(鄕射禮), or Hyangeumjurye(鄕飮酒禮). (3) They transmitted and practiced the notion of Jeolui(節義) as the pretext of new-Confucianism. (4) They also promoted the Munmyojongsa Movement to solidify their academic legitimacy to justify their reign. This study has arranged the aspects of the sarim force in that period with the four characteristics above.
      번역하기

      The topic of this study is seonbi during early Chosun and is going to look into Confucian ideal society that they pursued then. The seonbi in Chosun generally refers to the sadaebu during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Chos...

      The topic of this study is seonbi during early Chosun and is going to look into Confucian ideal society that they pursued then. The seonbi in Chosun generally refers to the sadaebu during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they were divided into Gwanhakpa and Sahakpa, and then, after the Sejojeongbyeon, they were separated into Hungupa and Sarimpa. The aspects of seonbi, the topic of this paper, are more distinctly found in Sarimpa as the force criticizing the hungu force that ruled in the 16th century.
      In this period, the sarim force exhibited sev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ly from the ruling power. The key points are that (1) they pursued Dohak politics to found a politically Confucian ideal state, and this was genuinely started from Jo Gwangjo. (2) In the point that the academic activities were done on the residing ground of hyangchon, they were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color of hangdang(鄕黨). Their major concern over the matters of hyangchon was to reorganize the previous Goryeo’s ijok(吏族)-centered hyangchon society that was based on Buddhism and eumsa(淫祀) into the Confucian system of hyangchon order centered around sajok(士族). For this, they developed the Yuhangso Restoration Movement and also Hyangyak·Seowon Distribution Movement in order to spread practical, new-Confucian ethics including 『Jujagarye (朱子家禮)』, 『Sohak(小學)』, Hyangsarye(鄕射禮), or Hyangeumjurye(鄕飮酒禮). (3) They transmitted and practiced the notion of Jeolui(節義) as the pretext of new-Confucianism. (4) They also promoted the Munmyojongsa Movement to solidify their academic legitimacy to justify their reign. This study has arranged the aspects of the sarim force in that period with the four characteristics abo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전기 선비라는 주제로 그들이 추구한 유교적 이상사회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선비라고 하면 여말선초의 사대부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조선왕조 개국을 둘러싸고 관학파와 사학파로 이후 세조정변을 계기로 훈구파와 사림파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본고의 주제인 선비의 모습은 16세기 집권 훈구세력에 대한 비판세력으로서의 사림파에서 더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 사림세력은 집권세력과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그 핵심은 (1) 정치적으로는 유교적인 이상국가 건설을 위한 도학정치를 추구하였으며, 이것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조광조부터이다. (2) 향촌의 재지적 기반 위에서 학문활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鄕黨的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다. 이들의 향촌문제에 대한 관심은, 종래의 고려조적인 佛敎的이고 淫祀的인 吏族중심의 향촌사회를 士族 중심의 유교적인 향촌질서체제로 재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朱子家禮』․『小學』․鄕射禮․鄕飮酒禮 등 성리학적 실천윤리의 보급을 위한 유향소 복립운동, 나아가 향약·서원보급 운동을 전개하였다. (3) 성리학적 대의명분으로 節義사상을 계승 실천하였고 (4) 집권의 명분 강화를 위한 학문적 정통성 강화를 위한 문묘종사 운동을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 시기 사림세력을 특징지울 수 있는 위 4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전기 선비라는 주제로 그들이 추구한 유교적 이상사회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선비라고 하면 여말선초의 사대부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조선왕조 개국을 둘...

      본고는 조선전기 선비라는 주제로 그들이 추구한 유교적 이상사회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선비라고 하면 여말선초의 사대부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조선왕조 개국을 둘러싸고 관학파와 사학파로 이후 세조정변을 계기로 훈구파와 사림파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본고의 주제인 선비의 모습은 16세기 집권 훈구세력에 대한 비판세력으로서의 사림파에서 더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 사림세력은 집권세력과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그 핵심은 (1) 정치적으로는 유교적인 이상국가 건설을 위한 도학정치를 추구하였으며, 이것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조광조부터이다. (2) 향촌의 재지적 기반 위에서 학문활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鄕黨的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다. 이들의 향촌문제에 대한 관심은, 종래의 고려조적인 佛敎的이고 淫祀的인 吏族중심의 향촌사회를 士族 중심의 유교적인 향촌질서체제로 재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朱子家禮』․『小學』․鄕射禮․鄕飮酒禮 등 성리학적 실천윤리의 보급을 위한 유향소 복립운동, 나아가 향약·서원보급 운동을 전개하였다. (3) 성리학적 대의명분으로 節義사상을 계승 실천하였고 (4) 집권의 명분 강화를 위한 학문적 정통성 강화를 위한 문묘종사 운동을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 시기 사림세력을 특징지울 수 있는 위 4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일조각 1995

      2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영남대출판부 1979

      3 권시용, "퇴계문인의 서원건립활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진영, "조선후기 영남향약의 특성" 4 : 1992

      5 李泰鎭, "사림과 서원" 국사편찬위원회 12 : 1977

      6 이병휴, "도학정치의 추구" 국사편찬위원회 28 : 1996

      7 金鎔坤,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3

      8 정만조,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1981

      9 "靜庵先生文集"

      10 "退溪全書"

      1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일조각 1995

      2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영남대출판부 1979

      3 권시용, "퇴계문인의 서원건립활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진영, "조선후기 영남향약의 특성" 4 : 1992

      5 李泰鎭, "사림과 서원" 국사편찬위원회 12 : 1977

      6 이병휴, "도학정치의 추구" 국사편찬위원회 28 : 1996

      7 金鎔坤,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3

      8 정만조,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1981

      9 "靜庵先生文集"

      10 "退溪全書"

      11 "眉巖日記草"

      12 "燃藜室記述"

      13 李羲權, "東方五賢 文廟從祀 小考" 7 : 1983

      14 "朝鮮王朝實錄"

      15 薛錫圭, "朝鮮時代 儒生의 文廟從祀 運動과 그 性格" 3 : 1994

      16 鄭斗熙, "朝鮮時代 人物의 再發見" 일조각 1997

      17 李秉烋, "朝鮮前期 畿湖士林派硏究" 일조각 1984

      18 李秉烋, "朝鮮前期 士林派의 現實認識과 對應" 일조각 1999

      19 李泰鎭, "士林派의 留鄕所 復立運動-朝鮮初期 性理學 定着의 社會的 背景-(下)" 35 : 1973

      20 李泰鎭, "士林派의 鄕約普及運動" 4 : 1983

      21 이수환, "世祖의 王位簒奪과 敬庵家門의 對應, 敬庵 許稠硏究" 河陽許氏文敬公派宗親會 2003

      22 이수환, "16세기전반 영남사림파의 동향과 동방오현 문묘종사" 한국학연구원 (45) : 55-78, 2011

      23 정진영, "16세기 향촌문제와 재지사족의 대응 - ‘예안향약’을 중심으로 -" 7 :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01-23 통합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