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여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와 부부의 결혼안정성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v경기 지역과 제주도 지역의 265쌍의 부부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19689
2012
Korean
004
KCI등재
학술저널
105-122(1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여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와 부부의 결혼안정성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v경기 지역과 제주도 지역의 265쌍의 부부들...
이 연구에서는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여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와 부부의 결혼안정성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v경기 지역과 제주도 지역의 265쌍의 부부들이었으며, 남편의 평균 연령 39.16세(SD=7.39), 아내의 평균 연령은 36.45세(SD=7.36)였다. 분석은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내에 대한 시부의 수용-거부가 아내의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아내에 대해 시부가 수용적일수록 남편의 결혼안정성은 높아졌다. 둘째, 시부/장인 모형에서 남편의 행위자효과는 아내의 행위자 효과보다 유의하게 더 컸던 반면, 남편의 상대자 효과는 아내의 상대자 효과보다 유의하게 더 작았다. 셋째, 아내에 대해 시모가 수용적일수록 아내의 결혼안정성과 남편의 결혼안정성은 모두 높아졌다. 넷째, 시모/장모 모형에서 남편의 행위자효과 및 상대자효과와 아내의 행위자효과 및 상대자 효과는 동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law o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tability using actor-parter interdependence model. Participants were 265 married couples living in Seoul?KyungKi-do and JeJu Island, and the hu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law o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tability using actor-parter interdependence model. Participants were 265 married couples living in Seoul?KyungKi-do and JeJu Island, and the husbands mean age was 39.16 (SD=7.39), the wives, 36.45 (SD=7.36). Measurement of acceptance-rejection of mothers in law and fathers in law is ILARQ(In Law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hner in 2010, which includes four domains, sixty questionnaires. Measurement of marital stability is Marital Status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Weiss and Cerreto in 1980 and translated by Kim and Kim in 2010. It consists of three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influence of fathers in law acceptance-rejection for wives on wives marital stability was not significant, while fathers in law acception for wives positively influenced husbands marital stability, 2) in fathers in law model, husbands actor effects was more significant than wives actor effects, while wives partner effects was more significant than husbands partner effects, 3) mothers in law acception for wives positively influenced both wives and husbands marital stability, 4) in mothers in law model, husbands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the identical with wives actor and partner effe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영, "한국인 기혼남녀들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상담학회 6 (6): 601-619, 2005
2 김미령,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35-62, 2009
3 유연지,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433-451, 2008
4 김숙기, "부부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을 위한 부부관계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179-195, 2010
5 김남진,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197-225, 2010
6 황종귀,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 18 (18): 825-840, 2009
7 Kim, H. 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s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8 Sung, M. O., "The influences of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on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female elderly" 18 : 185-206, 2002
9 Kenny, D. A., "The analysis of data from two person relationships, In Handboo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ley 57-77, 1988
10 Kashy, D. A., "The analysis of data from dyads and groups, In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1-477, 2000
1 박태영, "한국인 기혼남녀들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상담학회 6 (6): 601-619, 2005
2 김미령,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35-62, 2009
3 유연지,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433-451, 2008
4 김숙기, "부부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을 위한 부부관계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179-195, 2010
5 김남진,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197-225, 2010
6 황종귀,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 18 (18): 825-840, 2009
7 Kim, H. 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s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8 Sung, M. O., "The influences of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on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female elderly" 18 : 185-206, 2002
9 Kenny, D. A., "The analysis of data from two person relationships, In Handboo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ley 57-77, 1988
10 Kashy, D. A., "The analysis of data from dyads and groups, In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1-477, 2000
11 Cook, W. L.,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29 : 101-109, 2005
12 Park, K. R., "Stress perceived by daughters-in-law and their coping" 22 : 79-104, 2003
13 Kenny, D. A., "Partner effects in relationship research: Conceptual issues, analytic difficulties, and illustrations" 6 : 433-448, 1999
14 Kenny, D. A., "Models of inter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13 : 279-294, 1996
15 Rohner, R. P.,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4th ed.)" Rohner Research Publications 2005
16 Weiss, R. L., "Development of a measure of dissolution potential" 8 : 80-85, 1980
17 Kenny, D. A., "Design issues in dyadic research, In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search methods in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Sage 164-184, 1990
18 Turner, M. J., "Daughters-in-law and mothers-in-law seeking their place within the family : A qualitative study of differing viewpoints" 55 : 588-600, 2006
19 Han, K. H., "Couple role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DanKook University 2010
20 Kim, T. Y.,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of conflict, the ways of coping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daughters-in-law" Ehaw Women's University 1994
Korean Names and Identity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America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5 | 1.46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