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남해 해녀(海女)의 어로방식 변화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08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자가 연구의 주제로 삼은 것은 서남해 해녀이다. 서남해 지역 해녀에 관해서는 1791년 전남 완도의 평일도를 찾은 위백규(魏伯珪, 1727~1798)의 문집에 구체적인 모습이 등장하며, 우이도...

      본 연구자가 연구의 주제로 삼은 것은 서남해 해녀이다. 서남해 지역 해녀에 관해서는 1791년 전남 완도의 평일도를 찾은 위백규(魏伯珪, 1727~1798)의 문집에 구체적인 모습이 등장하며, 우이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김약행(金若行, 1718∼1788)의 기록에도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1700년대 당시에 서남해에 해녀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남해 지역 해녀들의 어로기술 습득은 제주지역 해녀들의 이주에 의한 습득과 자생적 어로기술 습득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제주 지역 해녀의 이주에 의한 어로 행위나 제주 해녀가 현지인에게 기술을 전파한 경우는 많은 지역에서 찾아지는 사례이다. 반면 지역에 존재하던 해녀의 자생적 어로기술 습득은 해녀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아울러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해녀의 어로 관행 변화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물질은 자신들의 공유 지역을 가지고 행하는 것과 선주에 의해 고용된 형태의 물질로 나눠볼 수 있다. 변모하는 해녀 어로 관행을 조사함으로서 지역 공동체 내의 해녀 위상이나, 해녀의 영향력 들을 살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해녀 연구는 연구 대상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제주도 해녀 연구와 제주도 외 지역 해녀 연구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제주 해녀에 대한 연구는 민속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경제학, 구비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같은 맥락에서 제주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진출한 출가 해녀에 관한 연구도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 본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서남해 해녀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미약한 단계이다. 해녀가 제주도에만 있는 것은 아니며, 전 해역에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 비춰 볼 때 연구지역의 확대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본 연구자는 문헌자료 조사와 현장 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고문헌 자료에는 일제강점기 신문 자료도 포함된다. 아울러 해녀의 조직이나 신앙, 채취물의 판매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지역의 사회, 문화적 상황 속에서 해녀가 차지하고 있는 의미를 심도 있게 살펴볼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