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츈흥가>·<김학사재생녹>의 作品 實相과 敎育的 價値 = Real Picture of the Works, Chunheungga & Kimhaksajaesaengrok and their Educational Val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9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유금강록》의 서지를 점검하고, 그에 수록된 <츈흥가>·<김학사재생녹>의 작품 실상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동유금강록》은 1923년에 필사된 책이다. 이 책에는 순 국문 가사인 <츈흥가>와<동유금강녹>, 그리고 국문 고전소설인 <김학생녹>이 차례로 편철되어 있고, 맨 뒤의 한 면에는 이 책의 주된 필사자인 김부인(김재한)의 발문적 성격의 글이 있다. <츈흥가>는 총 18구의 단형의 가사 작품이다. 봄의 흥취를 노래하되, 독자들에게 산수 놀음을 권유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경물에 의해 촉발되는 감흥을 열거·감탄의 수사, 청각적·시각적 이미지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매우 재치 있게 표현했다. 작자는 김재한의 아버지인 김홍진이다. <김학사재생녹>은 20세기 초엽에 산출된, 작자 미상의 전형적인 고전소설 작품이다. 지술에 능한 박진사와 친구 아들 김학사가 소설의 주요 인물이고, 명당과 관련해, 소설의 사건이 발단되어 절정을 맞고, 그의 해결을 통해 김학사가 죽음에서 다시 살아온 사연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이다.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거의 대부분이 선인형인물이고, 대호 정도를 악인형 인물로 꼽을 수 있다. <김학사재생녹>은 여느 고전소설과 대동소이한 문체와 표현을 활용했다. 그런데 작자가 작품의 적재적소에서 묘사의 기술방식을 활용하거나 대화체를 구사하거나 꿈의 액자를 삽입함으로써 작품 전개에 흥미를 배가하고자 노력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츈흥가>나 <김학사재생녹>은 모두 나름의 개성을 갖춘 뛰어난 작품들이다. 따라서 공히 문학 감상의 자료가 됨은 물론, <츈흥가>는 학생들로 하여금 가사 창작의 체험을 하게 하는 데에, <김학사재생녹>은 현대에서 요구되는 충·효·열 등의 윤리 의식을 고양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번역하기

      《동유금강록》의 서지를 점검하고, 그에 수록된 <츈흥가>·<김학사재생녹>의 작품 실상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동유금강록》�...

      《동유금강록》의 서지를 점검하고, 그에 수록된 <츈흥가>·<김학사재생녹>의 작품 실상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동유금강록》은 1923년에 필사된 책이다. 이 책에는 순 국문 가사인 <츈흥가>와<동유금강녹>, 그리고 국문 고전소설인 <김학생녹>이 차례로 편철되어 있고, 맨 뒤의 한 면에는 이 책의 주된 필사자인 김부인(김재한)의 발문적 성격의 글이 있다. <츈흥가>는 총 18구의 단형의 가사 작품이다. 봄의 흥취를 노래하되, 독자들에게 산수 놀음을 권유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경물에 의해 촉발되는 감흥을 열거·감탄의 수사, 청각적·시각적 이미지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매우 재치 있게 표현했다. 작자는 김재한의 아버지인 김홍진이다. <김학사재생녹>은 20세기 초엽에 산출된, 작자 미상의 전형적인 고전소설 작품이다. 지술에 능한 박진사와 친구 아들 김학사가 소설의 주요 인물이고, 명당과 관련해, 소설의 사건이 발단되어 절정을 맞고, 그의 해결을 통해 김학사가 죽음에서 다시 살아온 사연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이다.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거의 대부분이 선인형인물이고, 대호 정도를 악인형 인물로 꼽을 수 있다. <김학사재생녹>은 여느 고전소설과 대동소이한 문체와 표현을 활용했다. 그런데 작자가 작품의 적재적소에서 묘사의 기술방식을 활용하거나 대화체를 구사하거나 꿈의 액자를 삽입함으로써 작품 전개에 흥미를 배가하고자 노력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츈흥가>나 <김학사재생녹>은 모두 나름의 개성을 갖춘 뛰어난 작품들이다. 따라서 공히 문학 감상의 자료가 됨은 물론, <츈흥가>는 학생들로 하여금 가사 창작의 체험을 하게 하는 데에, <김학사재생녹>은 현대에서 요구되는 충·효·열 등의 윤리 의식을 고양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hecked the bibliography of Dongyugeumgamrok possessed by Muchung Ancestral Shrine in Daejeon up to the present, and considered the real picture &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s Chunheungga and Kimhaksajaesaengrok included in the bibliography. Dongyugeumgamrok contains in the order of Chunheungga & Dongyugeumgangrok which are the gasa in pure Korean language, and the classical novel in Korean language Kimhaksaengjaesaengrok which were bound with compilations. Although Chunheungga is a short-form gasa, it has nothing to be desired as a literary work whose literary value is fully perceived. This work displays a very sharp-witted expression through the listing up of the lyric in the springtime, or the titillation sparked by the scenery of the season and exclamatory rhetoric, and the proper use of audio-visual image. Kimhaksaengjaesaengrok is a typical classical novel with its solid story structure. The main characters in this novel are Jinsa, Park who is versed in geomancy, and his friend's son, Haksa, Kim ; its story goes to a climax with an event which originated in relation with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and through its solution, Haksa Kim came alive again from death.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the work Kimhaksaengjaesaengrok, it closes with a happy-ending, employes hyperbole a lot, and consists of prosaic style. On the contrary, it's possible to find a trace of the writer's efforts to add more interest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k by using the descriptive method of portrayal in the right place of the work, employing a conversational style, or inserting the frame of a dream. This researcher believes these two works are worth the data for literature appreciation, and also Chunheungga will be very useful for inducing students to get experience in creating gasa while Kimhaksaengjaesaengrok will be very usefully applied to boosting ethics such as loyalty, filial piety, and a woman of chaste reputation, etc.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making a part of a work like a tiger story, or the whole of a work into storytelling in the form of game or play will be a very meaningful thing, especially in case of Kimhaksaengjaesaengrok.
      번역하기

      This study checked the bibliography of Dongyugeumgamrok possessed by Muchung Ancestral Shrine in Daejeon up to the present, and considered the real picture &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s Chunheungga and Kimhaksajaesaengrok included in the bibliograp...

      This study checked the bibliography of Dongyugeumgamrok possessed by Muchung Ancestral Shrine in Daejeon up to the present, and considered the real picture &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s Chunheungga and Kimhaksajaesaengrok included in the bibliography. Dongyugeumgamrok contains in the order of Chunheungga & Dongyugeumgangrok which are the gasa in pure Korean language, and the classical novel in Korean language Kimhaksaengjaesaengrok which were bound with compilations. Although Chunheungga is a short-form gasa, it has nothing to be desired as a literary work whose literary value is fully perceived. This work displays a very sharp-witted expression through the listing up of the lyric in the springtime, or the titillation sparked by the scenery of the season and exclamatory rhetoric, and the proper use of audio-visual image. Kimhaksaengjaesaengrok is a typical classical novel with its solid story structure. The main characters in this novel are Jinsa, Park who is versed in geomancy, and his friend's son, Haksa, Kim ; its story goes to a climax with an event which originated in relation with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and through its solution, Haksa Kim came alive again from death.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the work Kimhaksaengjaesaengrok, it closes with a happy-ending, employes hyperbole a lot, and consists of prosaic style. On the contrary, it's possible to find a trace of the writer's efforts to add more interest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k by using the descriptive method of portrayal in the right place of the work, employing a conversational style, or inserting the frame of a dream. This researcher believes these two works are worth the data for literature appreciation, and also Chunheungga will be very useful for inducing students to get experience in creating gasa while Kimhaksaengjaesaengrok will be very usefully applied to boosting ethics such as loyalty, filial piety, and a woman of chaste reputation, etc.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making a part of a work like a tiger story, or the whole of a work into storytelling in the form of game or play will be a very meaningful thing, especially in case of Kimhaksaengjaesaengr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緖論
      • 2. 《東遊金剛錄》의 書誌
      • 3. <츈흥가>의 作品 實相
      • 4. <김학사재생녹>의 作品 實相
      • <국문초록>
      • 1. 緖論
      • 2. 《東遊金剛錄》의 書誌
      • 3. <츈흥가>의 作品 實相
      • 4. <김학사재생녹>의 作品 實相
      • 5. <츈흥가>·<김학사재생녹>의 敎育的 價値
      • 6.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