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논리적 텍스트 읽기 지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논리적 텍스트는 자아의 성숙과 학문적, 사회적 소통에 사용되는 자료이다. 이것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28908
2012
-
373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9-184(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논리적 텍스트 읽기 지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논리적 텍스트는 자아의 성숙과 학문적, 사회적 소통에 사용되는 자료이다. 이것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이 연구의 목적은 논리적 텍스트 읽기 지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논리적 텍스트는 자아의 성숙과 학문적, 사회적 소통에 사용되는 자료이다. 이것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가벼운 잡지를 읽는 것보다 복잡하고 어려워서 저절로 발달될 것이라 기대하기 어렵다. 때문에 학생들이 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논리적 텍스트 읽기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다.
논리적 텍스트를 바르게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조를 분석하여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요약과 논증 분석 활동을 중심으로 읽기 수업을 설계하였다.
지도 방안을 적용한 결과, 요약과 분석 활동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관념들의 관계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텍스트 해석에 도움이 되었다. 그런데 요약하며 읽기는 텍스트의 논증 과정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전제-결론 관계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논증 분석하며 읽기는 텍스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 논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포함하고 있어 논증을 실제 의사소통에 활용하는 경험으로 가치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 for reading a expository text. Expository text is using to self-growth and academic communication, social communication. Interpreting and evaluating correctly that is more complex and difficult than readi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 for reading a expository text.
Expository text is using to self-growth and academic communication, social communication. Interpreting and evaluating correctly that is more complex and difficult than reading a magazine. So, it is difficult to hope development the ability of that by itself. Because, method for developing the expository text reading ability that essential to live as mature community member is needed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expository text correctl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ing logical relation through analyze text structure. So design reading lesson that mainly summarizing and analyzing.
Result of applying that teaching method, summarizing and analyzing are given a clear idea relation that compose the text, so, effective to understanding the expository text. But, reading method of summarizing is limited for understanding argumentation. By comparison, reading method of analyzing argumentation is helping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logical text correctly. Moreover, that method contain exercising of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argumentation, so, it is valuable for experience that using argumentation in actual commun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혁,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3 (43): 433-460, 2011
2 이찬규, "언어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화사 2003
3 서영진, "쓰기 교육 내용 조직의 위계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5 (5): 59-84, 2011
4 이대규, "수사학 : 독서와 작문의 이론" 신구문화사 1996
5 한연희, "분석질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54 (54): 549-584, 2012
6 이대규, "독서교육의 내용과 방법"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16 : 15-37, 1988
7 김대희, "독서 수준과 텍스트 수준의 위계화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14 (14): 147-168, 2011
8 Linda Flower, "글쓰기의 문제해결전략" 동문선 1998
9 이대규, "국어 교육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8
10 Grant Wiggins,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학지사 2008
1 서혁,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3 (43): 433-460, 2011
2 이찬규, "언어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화사 2003
3 서영진, "쓰기 교육 내용 조직의 위계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5 (5): 59-84, 2011
4 이대규, "수사학 : 독서와 작문의 이론" 신구문화사 1996
5 한연희, "분석질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54 (54): 549-584, 2012
6 이대규, "독서교육의 내용과 방법"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16 : 15-37, 1988
7 김대희, "독서 수준과 텍스트 수준의 위계화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14 (14): 147-168, 2011
8 Linda Flower, "글쓰기의 문제해결전략" 동문선 1998
9 이대규, "국어 교육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8
10 Grant Wiggins,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학지사 2008
11 김대행, "國語敎育의 位階化" 국어교육연구소 (19) : 7-44, 2007
12 한연희, "2011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 수직적 조직 분석 -‘국어’ 과목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38 (38): 389-423, 2011
1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4 | 1.141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