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ㅇ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020년과 2022년에 각각 발의된 ?위생용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제1차 법안심사소위원회의 통합·조정안에 따라 위생용품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ㅇ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020년과 2022년에 각각 발의된 ?위생용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제1차 법안심사소위원회의 통합·조정안에 따라 위생용품 정...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ㅇ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020년과 2022년에 각각 발의된 ?위생용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제1차 법안심사소위원회의 통합·조정안에 따라 위생용품 정의를 변경하고 위생용품 종류에 구강관리용품과 문신용 염료를 신설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위생용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을 위원회안으로 제안하기로 2023년 5월에 의결하였으며, 2023년 6월 13일 개정·공포된 ?위생용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법률 제19474호, '23.6.13.)은 2025년 6월 14일부터 시행될 예정임
ㅇ “위생용품”에 대한 정의는 기존 “보건위생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별한 위생관리가 필요한” 용품 대신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용품으로서 보건위생 확보를 위하여 특별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용품으로 변경되었으며, 그 종류에 구강관리용품과 문신용 염료가 포함되었음
- (구강관리용품) 기존에는 보건복지부 소관의 ?구강보건법?에서 “구강질환 예방, 구강건강의 증진 및 유지 등의 목적으로 제조된 용품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었으나, 구강관리용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구체적인 목록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위생용품 관리법?에서는 구강관리용품을 “구강위생 확보, 구강건강의 증진 및 유지 등의 목적으로 제조된 칫솔, 치실, 설태제거기”로 정의함
- (문신용 염료) 기존에는 환경부 소관의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제3조 제4호)으로 분류·관리되었으며, ?위생용품 관리법?에서는 문신용 염료를 “인체의 피부에 무늬 등을 새기기 위한 피부 착색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정의함
ㅇ 한편, ?위생용품 관리법? 제11조(표시기준)에서는 “판매·대여를 목적으로 하는 위생용품의 제품명, 업체명 및 제조연월일 등 표시에 관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라고 규정,
- ?위생용품 관리법 시행규칙? 제18조(표시사항)에서는 “제품명”,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 등 위생용품에 공통적으로 표시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있음
ㅇ ?위생용품 관리법 시행규칙? 제18조제1항제7호에 따른 ?위생용품의 표시기준?은 “총칙”, “공통표시기준”, “개별표시사항 및 표시기준” 등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됨
ㅇ ?위생용품 관리법? 개정으로 구강관리용품과 문신용 염료가 위생용품의 종류에 포함됨에 따라 위생용품에 대한 개별표시사항 및 표시기준이 마련됨
ㅇ 본 연구에서는 ?위생용품 관리법? 개정내용에 따라 ?위생용품 표시기준?의 주요 규제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을 포함한 규제영향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새로운 규제의 타당성 및 적절성을 평가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