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government facilities in Boryeong-hy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spatial structure of Boryeonghyeon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status of its Eupchi (Local administrative center:邑治) through an analysis of the location, tracing locations of governemnt offices including Dongheon(東軒) and Kaeksa(客舍) in the walled town, and checking the lot numbers of Sajikdan(社稷壇), Yeodan(厲壇), and Cheongyeonyeok(靑淵驛) outside it. Buildings of Boryeonghyeon in the walled town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most lost and now, part of the city wall and Haesanru(海山樓) just remains as relic.
      The walled town consisted of several buildings of government offices as well as Dongheon and Kaeksa which are government organs. Altar and shrine(壇廟) facilities including Shrine of Confucius(文廟), Altar of Land and Grain, and Preceptor's Shrine were placed outside the walled town and Cheongyeonyeok were operated as the facilities for transmission of royal orders.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 facilities in the walled town, altar and shrine facilities outside the fortress, and the location of the post station were required to trace and check each of them.
      For the checking method, the lot numbers could be checked by checking the original cadastral maps and the then land categories and owners, analyzing the records and circumstances of the relevant township annals(邑誌), and examining analyses on the locations by using a numerical map of one to 5 thousands.
      The study estimated the locations of government facilities including Dongheon and Kaesa placed in the walled town and was grasped to be the east and west gates with the south gate which remains now in the fortress. And the lot numbers of Sajikdan, Yeodan, Cheongyeonyeok.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spatial structure of Boryeonghyeon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status of its Eupchi (Local administrative center:邑治) through an analysis of the location, tracing locations of governemnt offices inclu...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spatial structure of Boryeonghyeon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status of its Eupchi (Local administrative center:邑治) through an analysis of the location, tracing locations of governemnt offices including Dongheon(東軒) and Kaeksa(客舍) in the walled town, and checking the lot numbers of Sajikdan(社稷壇), Yeodan(厲壇), and Cheongyeonyeok(靑淵驛) outside it. Buildings of Boryeonghyeon in the walled town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most lost and now, part of the city wall and Haesanru(海山樓) just remains as relic.
      The walled town consisted of several buildings of government offices as well as Dongheon and Kaeksa which are government organs. Altar and shrine(壇廟) facilities including Shrine of Confucius(文廟), Altar of Land and Grain, and Preceptor's Shrine were placed outside the walled town and Cheongyeonyeok were operated as the facilities for transmission of royal orders.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 facilities in the walled town, altar and shrine facilities outside the fortress, and the location of the post station were required to trace and check each of them.
      For the checking method, the lot numbers could be checked by checking the original cadastral maps and the then land categories and owners, analyzing the records and circumstances of the relevant township annals(邑誌), and examining analyses on the locations by using a numerical map of one to 5 thousands.
      The study estimated the locations of government facilities including Dongheon and Kaesa placed in the walled town and was grasped to be the east and west gates with the south gate which remains now in the fortress. And the lot numbers of Sajikdan, Yeodan, Cheongyeonye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보령현의 읍치시설로써 남아있는 것은 읍성의 성벽일부와 남문이었던 해산루가 전부이다. 보령읍성에 있었던 관아 건축물은 보령중학교와 주포초등학교가 건립되면서 모두 철훼되었다. 성 밖에 읍치 시설이었던 보령사직단과 보령여단도 조선의 멸망에 따라 멸실되면서 그 소재 위치마저 잊혀 진 상태로 묻혀 있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보령현의 읍치시설로서 중요한 동헌 영역과 객사 영역을 추정하여 읍성내의 관아 배치에 관하여 개략적인 파악을 강구하였다. 아울러 읍성 밖에 보령사직단과 보령여단의 소재를 추적하여 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의 전명시설로써 보령현에 설치되었던 청연역의 위치도 탐색하여 그 지번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이 연구를 통하여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와 배치 상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보령현의 읍치시설로써 남아있는 것은 읍성의 성벽일부와 남문이었던 해산루가 전부이다. 보령읍성에 있었던 관아 건축물은 보령중학교와 주포초등학교가 건립되면서 모두 철훼...

      조선시대 보령현의 읍치시설로써 남아있는 것은 읍성의 성벽일부와 남문이었던 해산루가 전부이다. 보령읍성에 있었던 관아 건축물은 보령중학교와 주포초등학교가 건립되면서 모두 철훼되었다. 성 밖에 읍치 시설이었던 보령사직단과 보령여단도 조선의 멸망에 따라 멸실되면서 그 소재 위치마저 잊혀 진 상태로 묻혀 있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보령현의 읍치시설로서 중요한 동헌 영역과 객사 영역을 추정하여 읍성내의 관아 배치에 관하여 개략적인 파악을 강구하였다. 아울러 읍성 밖에 보령사직단과 보령여단의 소재를 추적하여 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의 전명시설로써 보령현에 설치되었던 청연역의 위치도 탐색하여 그 지번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이 연구를 통하여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와 배치 상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各道客舍數調」"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72년 지방지도」외 고지도류"

      3 "호서읍지 「보령현읍지」"

      4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9

      5 김주홍, "한국 연변봉수의 형식분류고(Ⅰ)" 27 : 2004

      6 김기덕, "조선후기 충청도 전의현 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10 (10): 2001

      7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2 (32): 20-49, 2020

      8 임만택, "조선시대의 역 시스템에 관한 연구" 6 (6): 2004

      9 예명해,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연구(1)" 33 (33): 1998

      10 권선정,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50-72, 2010

      1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各道客舍數調」"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72년 지방지도」외 고지도류"

      3 "호서읍지 「보령현읍지」"

      4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9

      5 김주홍, "한국 연변봉수의 형식분류고(Ⅰ)" 27 : 2004

      6 김기덕, "조선후기 충청도 전의현 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10 (10): 2001

      7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2 (32): 20-49, 2020

      8 임만택, "조선시대의 역 시스템에 관한 연구" 6 (6): 2004

      9 예명해,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연구(1)" 33 (33): 1998

      10 권선정,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50-72, 2010

      11 이기봉 ; 홍금수,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고려말 이후 입지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321-340, 2007

      12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2013

      13 김문자, "정보통신과 임진왜란" 한일관계사학회 (22) : 1-45, 2005

      14 여창환, "역사공간 재생을 위한 지적원도의 유용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1 (31): 17-25, 2015

      15 "여지도서"

      16 "신증동국여지승람"

      17 "보령시지"

      18 "보령군지"

      19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68-83, 2008

      20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보령지역 수치지도"

      21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 연구(1)" 국립중앙도서관 2012

      22 정요근,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한국중세고고학회 (6) : 5-39, 2019

      23 고전종합DB, "『태종실록』;『국조오례의』"

      24 국립중앙도서관, "1911, 조선지지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