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各道客舍數調」"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72년 지방지도」외 고지도류"
3 "호서읍지 「보령현읍지」"
4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9
5 김주홍, "한국 연변봉수의 형식분류고(Ⅰ)" 27 : 2004
6 김기덕, "조선후기 충청도 전의현 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10 (10): 2001
7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2 (32): 20-49, 2020
8 임만택, "조선시대의 역 시스템에 관한 연구" 6 (6): 2004
9 예명해,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연구(1)" 33 (33): 1998
10 권선정,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50-72, 2010
1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各道客舍數調」"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872년 지방지도」외 고지도류"
3 "호서읍지 「보령현읍지」"
4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9
5 김주홍, "한국 연변봉수의 형식분류고(Ⅰ)" 27 : 2004
6 김기덕, "조선후기 충청도 전의현 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10 (10): 2001
7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2 (32): 20-49, 2020
8 임만택, "조선시대의 역 시스템에 관한 연구" 6 (6): 2004
9 예명해,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연구(1)" 33 (33): 1998
10 권선정,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50-72, 2010
11 이기봉 ; 홍금수,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고려말 이후 입지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321-340, 2007
12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2013
13 김문자, "정보통신과 임진왜란" 한일관계사학회 (22) : 1-45, 2005
14 여창환, "역사공간 재생을 위한 지적원도의 유용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1 (31): 17-25, 2015
15 "여지도서"
16 "신증동국여지승람"
17 "보령시지"
18 "보령군지"
19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68-83, 2008
20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보령지역 수치지도"
21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 연구(1)" 국립중앙도서관 2012
22 정요근,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한국중세고고학회 (6) : 5-39, 2019
23 고전종합DB, "『태종실록』;『국조오례의』"
24 국립중앙도서관, "1911, 조선지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