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사육 시 적정밀도 규명 = Investigation of the Proper Density for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0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density when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breeding box of the insects was filled with 2 L of fermented sawdust on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density when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breeding box of the insects was filled with 2 L of fermented sawdust on a 50 × 35 × 15 cm sheet of plastic, and the density of the treatments was 200, 300 and 400 P. 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Each treatmen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the sawdust medium was replaced three times (10 interval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30 days from March 1, 2020. Overall, 200 P.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reared in the breeding box had a higher average survival rate and lower average mortality rate,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producti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way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소연,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굼벵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8 (28): 827-834, 2018

      2 김철학, "쌍별귀뚜라미(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의 실내 대량사육 조건" 한국응용곤충학회 58 (58): 69-76, 2019

      3 최환석, "곤충생물공학의 현재와 전망" 한국생물공학회 30 (30): 257-267, 2015

      4 김시현, "갈색거저리 유충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사육조건 확립" 한국응용곤충학회 55 (55): 421-429, 2016

      5 유미희,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435-441, 2017

      6 Weaver, D. K., "The effect of larval densit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enebrio molitor" 36 : 531-536, 1990

      7 Yun, E. Y.,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s" 49 : 31-39, 2016

      8 Nam, S. H., "Collection of edible, medical insects and seek of medicinal effect, and development of rearing methods of major useful insec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1 심소연,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굼벵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8 (28): 827-834, 2018

      2 김철학, "쌍별귀뚜라미(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의 실내 대량사육 조건" 한국응용곤충학회 58 (58): 69-76, 2019

      3 최환석, "곤충생물공학의 현재와 전망" 한국생물공학회 30 (30): 257-267, 2015

      4 김시현, "갈색거저리 유충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사육조건 확립" 한국응용곤충학회 55 (55): 421-429, 2016

      5 유미희,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435-441, 2017

      6 Weaver, D. K., "The effect of larval densit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enebrio molitor" 36 : 531-536, 1990

      7 Yun, E. Y.,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s" 49 : 31-39, 2016

      8 Nam, S. H., "Collection of edible, medical insects and seek of medicinal effect, and development of rearing methods of major useful insec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2-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CI등재
      2011-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52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