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세계화와 사회갈등구조의 변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는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두 개의 거시적 변화의 충격이 한국사회의 갈등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제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쟁점과 경험적 사례들을 통해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두 개의 맥락적 변수를 구분하고, 그리고 이 두 개의 계기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기존의 갈등을 변형시키고 새로운 갈등을 창출하는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과제는 ‘세계화와 사회갈등구조의 변화"라는 주제 하에 세계화를 한국사회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는 독립적인 외생변수로서만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구성적 변수, 즉 시민사회와 국가의 상호작용 그리고 국가의 역할과 정책적 선택에 의해 영향 받는 내생적 변수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세계화로 인해 새롭게 창출된 갈등의 문제 혹은 기존 갈등구조의 변형의 문제를 밝히는 동시에,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세계화의 내용을 변화시키면서 한국사회의 내생변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요약하면, 본 과제는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외생적인 변수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내생적 변수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정책영역에 걸쳐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번역하기

      본 과제는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두 개의 거시적 변화의 충격이 한국사회의 갈등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제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쟁점과 경험적 사례들을 통해 분...

      본 과제는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두 개의 거시적 변화의 충격이 한국사회의 갈등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제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쟁점과 경험적 사례들을 통해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두 개의 맥락적 변수를 구분하고, 그리고 이 두 개의 계기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기존의 갈등을 변형시키고 새로운 갈등을 창출하는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과제는 ‘세계화와 사회갈등구조의 변화"라는 주제 하에 세계화를 한국사회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는 독립적인 외생변수로서만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구성적 변수, 즉 시민사회와 국가의 상호작용 그리고 국가의 역할과 정책적 선택에 의해 영향 받는 내생적 변수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세계화로 인해 새롭게 창출된 갈등의 문제 혹은 기존 갈등구조의 변형의 문제를 밝히는 동시에,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세계화의 내용을 변화시키면서 한국사회의 내생변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요약하면, 본 과제는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외생적인 변수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내생적 변수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정책영역에 걸쳐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roject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as two macro-political and socioeconomic changes on the reformation, chang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in Korean society, providing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evidences. In doing so, this project organizes all individual studies into two sub-projects based on the distinction of two contextual variables, namely,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Each study in the project is designed to examine how the old conflict structures have been changed by each of two contextual variables and how two variables did generate new conflicts in Korean society.
      The Project, "Globalization and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Social Conflicts"
      is to analyze the reformation of the old conflicts or development of the new conflicts driven b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Korean society. In the project, we conceptualize globalization as an internal variable to be reconstructed by some contextual variables within the Korean society such as the interaction between civil society and the state, the role of the state and its strategic choices as well as an external variable to have independent impacts on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project explores how the Korean society attempts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and how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redefines the core content of globalization, and therefore, how it internalize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sum, this Project conduct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society and the internalization of globalization to transform globalization from an external variable forc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to an internal variable encouraging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state and society in Korea.
      번역하기

      This project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as two macro-political and socioeconomic changes on the reformation, chang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in Korean society, providing various t...

      This project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as two macro-political and socioeconomic changes on the reformation, chang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in Korean society, providing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evidences. In doing so, this project organizes all individual studies into two sub-projects based on the distinction of two contextual variables, namely,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Each study in the project is designed to examine how the old conflict structures have been changed by each of two contextual variables and how two variables did generate new conflicts in Korean society.
      The Project, "Globalization and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Social Conflicts"
      is to analyze the reformation of the old conflicts or development of the new conflicts driven b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Korean society. In the project, we conceptualize globalization as an internal variable to be reconstructed by some contextual variables within the Korean society such as the interaction between civil society and the state, the role of the state and its strategic choices as well as an external variable to have independent impacts on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project explores how the Korean society attempts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and how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redefines the core content of globalization, and therefore, how it internalize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sum, this Project conduct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society and the internalization of globalization to transform globalization from an external variable forc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to an internal variable encouraging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state and society in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