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역외권 여성이주민과 유럽시민권: 여성이주민들의 독일정착과정을 중심으로 = Immigrant Women from the Third Countries and European Citizenship: Naturalization of Immigrant Women in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8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immigrant women from the third countries in Germany, in particular their social and legal status. In half a century the European Community has gone through a fundamental change. Borders among its members have collapsed. The introduction of euro has strengthened relations of its members. Since then, the European citizen law and the status of non-EU citizens have become of common interest. The division of EU citizens and non-EU citizens has been outstanding. The status of immigrants from Northern and Southern Europe has improved due to the accession of their home countries into the EU, where the status of immigrants from its former colonies and non-EU member states had been unstable. Consequently, the concept of immigrants is related to non-Europeans. Two categories emerged: European citizens and nationals from the third countries.
      At the beginning they came to Germany with their fathers who had already worked with a limited work permit in Germany. The immigration of women became a new model, whereas immigrants from the third countries took the traditional works of German women.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70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the motives of immigrants to Germany were, what the dominant pictures of immigrants in the politics and society of the EU are, and what the legal status of immigrants in Germany looks like. It also analyzes whether the common citizenship can lead to a segmentation or even a split of the society and the tolerance of violent racism.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immigrant women from the third countries in Germany, in particular their social and legal status. In half a century the European Community has gone through a fundamental change. Borders among its members have collapsed. The intro...

      This study deals with immigrant women from the third countries in Germany, in particular their social and legal status. In half a century the European Community has gone through a fundamental change. Borders among its members have collapsed. The introduction of euro has strengthened relations of its members. Since then, the European citizen law and the status of non-EU citizens have become of common interest. The division of EU citizens and non-EU citizens has been outstanding. The status of immigrants from Northern and Southern Europe has improved due to the accession of their home countries into the EU, where the status of immigrants from its former colonies and non-EU member states had been unstable. Consequently, the concept of immigrants is related to non-Europeans. Two categories emerged: European citizens and nationals from the third countries.
      At the beginning they came to Germany with their fathers who had already worked with a limited work permit in Germany. The immigration of women became a new model, whereas immigrants from the third countries took the traditional works of German women.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70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the motives of immigrants to Germany were, what the dominant pictures of immigrants in the politics and society of the EU are, and what the legal status of immigrants in Germany looks like. It also analyzes whether the common citizenship can lead to a segmentation or even a split of the society and the tolerance of violent rac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연합 회원국에는 매년 많은 수의 제3국 국적자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유럽으로 이주하고 있다. 독일은 경제부흥을 위한 부족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를 불러들려 경제발전에 투입시켰다. 이들 중 일부는 독일의 이민자 귀환촉진정책에 의해 일부는 본국으로 돌아갔으나, 많은 수가 가족과 함께 독일에 정착하고 있다.정착하고 있는 가족들의 초청에 의한 이주도 늘어났지만, 최근에는 취업, 난민, 망명 등과 같은 여러 이유로 이주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에 여성이주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현대적 이주의 특징이다.여성 이주자들은 배우자나 부모를 따라 이주해서 독일에서 살고 있는 역외권 여성들, 그리고 좀더 질 좋은 삶을 위하여 스스로 기간제 노동허가를 받거나, 또는 불법으로 입국한 제3국 여성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였던 남편이나 아버지의 거주허가권에 의존해서 비독립적 거주권을 가지고 살아온 이주가정의 여성들은 가정 내에서는 전통적 여성의 역할을 강요당하면서, 외부세계와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이 다른데서 오는 갈등과 자신들을 가부장적 체계에 묶어두는 이주민법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여성 이주민들이 어떻게 독일로 유입되었는지, 이들이 독일 이주생활 동안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했는지 그리고 유럽통합의 시대에 이들의 사회적, 법적 위상은 어떠한지를 조명하여 현재 정립되고 있는 유럽시민권에 관한 법이 유럽통합에 속한 국민과 이주민들 모두를 위한 법인지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법적인 문제 외에도 여성이주에서 나타나는 반작용은 보수적 국수주의와 혈통주의에서 비롯된 사회계층화이다. 새로운 사회에 이주여성으로 유입된 여성은 엄격한 국수주의적 법률 아래에 그 국가의 하층계급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고, 그 사회의 여성들이 하기 꺼리는 일을 맡고 있다. 즉 유럽통합이란 이윤추구로 포장된 유럽연합은 또 다른 형태의 계급사회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 유럽연합회원국들에서 국가적 차원의 법개정과 차별철폐의 노력은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으나 민간 차원에서의 혈통주의, 외국인 배타주의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다.
      번역하기

      유럽연합 회원국에는 매년 많은 수의 제3국 국적자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유럽으로 이주하고 있다. 독일은 경제부흥을 위한 부족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를 불러들려 경...

      유럽연합 회원국에는 매년 많은 수의 제3국 국적자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유럽으로 이주하고 있다. 독일은 경제부흥을 위한 부족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를 불러들려 경제발전에 투입시켰다. 이들 중 일부는 독일의 이민자 귀환촉진정책에 의해 일부는 본국으로 돌아갔으나, 많은 수가 가족과 함께 독일에 정착하고 있다.정착하고 있는 가족들의 초청에 의한 이주도 늘어났지만, 최근에는 취업, 난민, 망명 등과 같은 여러 이유로 이주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에 여성이주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현대적 이주의 특징이다.여성 이주자들은 배우자나 부모를 따라 이주해서 독일에서 살고 있는 역외권 여성들, 그리고 좀더 질 좋은 삶을 위하여 스스로 기간제 노동허가를 받거나, 또는 불법으로 입국한 제3국 여성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였던 남편이나 아버지의 거주허가권에 의존해서 비독립적 거주권을 가지고 살아온 이주가정의 여성들은 가정 내에서는 전통적 여성의 역할을 강요당하면서, 외부세계와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이 다른데서 오는 갈등과 자신들을 가부장적 체계에 묶어두는 이주민법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여성 이주민들이 어떻게 독일로 유입되었는지, 이들이 독일 이주생활 동안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했는지 그리고 유럽통합의 시대에 이들의 사회적, 법적 위상은 어떠한지를 조명하여 현재 정립되고 있는 유럽시민권에 관한 법이 유럽통합에 속한 국민과 이주민들 모두를 위한 법인지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법적인 문제 외에도 여성이주에서 나타나는 반작용은 보수적 국수주의와 혈통주의에서 비롯된 사회계층화이다. 새로운 사회에 이주여성으로 유입된 여성은 엄격한 국수주의적 법률 아래에 그 국가의 하층계급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고, 그 사회의 여성들이 하기 꺼리는 일을 맡고 있다. 즉 유럽통합이란 이윤추구로 포장된 유럽연합은 또 다른 형태의 계급사회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 유럽연합회원국들에서 국가적 차원의 법개정과 차별철폐의 노력은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으나 민간 차원에서의 혈통주의, 외국인 배타주의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일"독일 노동시장 중심의 독일 외국인 정책의 지속성: 1873-현재" 2003년12월

      2 "Wandel und Kontinuität der Familie in der Bundesrepublik" 1988

      3 "Von der Massenauswanderung zur Festung Europa." 1996

      4 "Von Grenzen, Pässen, Rechten: Europäischen Szenarien" 2001

      5 "The Limits of European-ness Immigrant women in Fortress Europe" 1997

      6 "Subjektivitäten im Zeitalter von Globalisierung-Eine postkoloniale dekonstrutive Analyse von Biographien im Spannungsverhaltnis von" 1999

      7 "Rainer und Oswald 50 Jahre Bundesrepublik 50 Jahre Einwanderung?" 1999

      8 "Perspektiven- Vierteljahreszeitschrift für Migrationsfragen und Kultur" 1993

      9 "Migration in modernen Gesellschaften - Soziale Folgen von Einwanderung Gastarbeit und Flucht Weinheim und München" 1990

      10 "Migrantinnen auf dem Arbeitsmarkt" 1999

      1 "이용일"독일 노동시장 중심의 독일 외국인 정책의 지속성: 1873-현재" 2003년12월

      2 "Wandel und Kontinuität der Familie in der Bundesrepublik" 1988

      3 "Von der Massenauswanderung zur Festung Europa." 1996

      4 "Von Grenzen, Pässen, Rechten: Europäischen Szenarien" 2001

      5 "The Limits of European-ness Immigrant women in Fortress Europe" 1997

      6 "Subjektivitäten im Zeitalter von Globalisierung-Eine postkoloniale dekonstrutive Analyse von Biographien im Spannungsverhaltnis von" 1999

      7 "Rainer und Oswald 50 Jahre Bundesrepublik 50 Jahre Einwanderung?" 1999

      8 "Perspektiven- Vierteljahreszeitschrift für Migrationsfragen und Kultur" 1993

      9 "Migration in modernen Gesellschaften - Soziale Folgen von Einwanderung Gastarbeit und Flucht Weinheim und München" 1990

      10 "Migrantinnen auf dem Arbeitsmarkt" 1999

      11 "Migrant Workers and the Transformation of Western Societies" 1989

      12 "Measurements and Indikators of Integration" 1997

      13 "Maria do Mar Castro und Clazton Neue Beitrage zu Frauen und Globalisierung" 2003

      14 "Inke, Jensen. Frauen im Asyl- und Flüchtlingsrecht" Univ 2003

      15 "Heinz und Münz" 1945-19921994

      16 "Heide und Kuhs Frauen und Mädchen in der Migration-" 1999

      17 "Fremde in Deutschland Migrat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1993

      18 "Frauen und Migration?Strukturelle Bedingungen" 2003

      19 "Frauen in der europäischen Geschichte-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2000

      20 "Europas Tochter?Traditionen, Erwartungen und Strategien von Frauenbewegungen in Europa." 2003

      21 "Elcin Kür at und Waldhoff" 1999년

      22 "Dreifach diskriminiert-Ausländerinnen in Westdeutschland Gisela und Nickel Frauen in Deutschland" 1945-19921993

      23 "Das Bild von der Migrantin-Auf den Spuren eines" 2002

      24 "Christa und Muhl-Benninghaus, Wolfgang" 1999

      25 "Bildungspolitik in der Postmoderne" Opladen 1992

      26 "Bildungserfolg und Migration" 2002

      27 "Bericht der Ausländerbeauftragten der Bundesregierung"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