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과서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초등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 Exploring improvements in curricul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 case study from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9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편찬 과정을 분석하여 현행 초등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주어진 교...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편찬 과정을 분석하여 현행 초등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이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 및 성취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의 교육과정 편성은 분책계획 단계에서 대주제를 기준으로 16책을 개발하였다. 이에 현 8개의 대주제가 적절한지, 16개로 확장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논증하고 실증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각 책의 단원은 교육과정 소주제를 기준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이에 각 대주제를 구성하는 4개의 소주제 조직의 원리를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주제별 교과서 차시의 내용 및 활동 선정의 기준은 교과별 활동주제와 성취기준이었다. 이에 총 99개(바른 생활, 33개, 슬기로운 생활 33개, 즐거운 생활33개)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을 교과서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광범위하거나, 협소하여 개선이 필요한것이 13개였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potential improvements or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for Grade 1 (G1) and Grade 2 (G2), by examining approaches to compiling national textbooks. The ...

      This study investigates potential improvements or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for Grade 1 (G1) and Grade 2 (G2), by examining approaches to compiling national textbook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textbooks organize the given curriculum, providing suggestions for main-themes, sub-themes, and activity-them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sixteen national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the main-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themes have been bound into plans, represented by fascicl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research be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hemes should be expanded from eight to sixteen. Secondly, each lesson in the textbooks has been organized according to sub-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principle of organizing each main theme into four sub-themes should be investigated. Finally, the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activity-selection lessons focus on activity-theme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a result, all ninety-nine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were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thirteen of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inordinately abstract, lacking in comprehensiveness, or are exceedingly narrow. Improvement plans for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춘일,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 운영을 위한 과제" 12 (12): 17-37, 1993

      2 민용성,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의 가능성과 한계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137-158,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별책 2]"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통합교과①" 지학사 2013

      5 김재춘, "집중이수제 정책의 등장과 퇴장: 정책 실패가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3-140, 2012

      6 신헌재, "제7차 초등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과 대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63-187, 2007

      7 김재춘,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47-68, 2011

      8 김대현, "미래형 교육과정 구조 및 실효화 방안에 대한 논의" 19 (19): 109-125, 2009

      9 이승미,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자율성 규정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83-112, 2009

      10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1 김춘일,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 운영을 위한 과제" 12 (12): 17-37, 1993

      2 민용성,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의 가능성과 한계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137-158,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별책 2]"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통합교과①" 지학사 2013

      5 김재춘, "집중이수제 정책의 등장과 퇴장: 정책 실패가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3-140, 2012

      6 신헌재, "제7차 초등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과 대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63-187, 2007

      7 김재춘,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47-68, 2011

      8 김대현, "미래형 교육과정 구조 및 실효화 방안에 대한 논의" 19 (19): 109-125, 2009

      9 이승미,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자율성 규정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83-112, 2009

      10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11 박채형, "교육과정 지역화의 성격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6-132, 2003

      12 강충열, "7차 교육과정의 지역화ㆍ개별화 실천 방안 연구" 교육부 2000

      13 김종건, "2011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14 박채형, "2009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18, 2013

      15 김재춘,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7-83, 2010

      16 이경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상세화 원리 체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33) : 525-55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