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순무 싹의 화학성분과 생리기능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56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순무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무 싹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무 싹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함량은 2.35%, 조단백질 22.51%, 조지방 21.60%, 조회분 4.35% 및 탄수화물 49.19%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glucose가 73.39 ㎎/L로 가장 많았고, fructose가 12.62 ㎎/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242.57 ㎎%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순이었다. 순무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tricosa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heneicosano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2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tartaric acid 함량이 2,962.74 ㎎/L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순이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9 ㎎%와 3.06 ㎎%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Ca, Na 순이었고 Fe,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 100 ㎍/mL 농도에서 35.24%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1,000 ㎍/mL일 때 아질산염 소거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각각 64.25% 및 69.29%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순무 싹 분말은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순무 싹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번역하기

      순무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무 싹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무 싹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

      순무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무 싹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무 싹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함량은 2.35%, 조단백질 22.51%, 조지방 21.60%, 조회분 4.35% 및 탄수화물 49.19%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glucose가 73.39 ㎎/L로 가장 많았고, fructose가 12.62 ㎎/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242.57 ㎎%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순이었다. 순무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tricosa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heneicosano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2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tartaric acid 함량이 2,962.74 ㎎/L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순이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9 ㎎%와 3.06 ㎎%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Ca, Na 순이었고 Fe,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 100 ㎍/mL 농도에서 35.24%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1,000 ㎍/mL일 때 아질산염 소거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각각 64.25% 및 69.29%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순무 싹 분말은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순무 싹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ried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BR) sprou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BR sprouts as dry matter basis were 2.35% of moisture content, 22.51% of crude protein, 21.60% of crude lipid, 4.35% of crude ash, and 49.19% of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glucose and fructose. Analyzing total amino acids, 18 kinds of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BR sprouts.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ained in BR sprouts accounted for 47.00% of total amino acid, while the non-essential amino acid accounted for 53.00%. The contents of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0.09 ㎎% and 3.06 ㎎%, respectively. Tartaric acid was the major organic acid. Among the minerals in dried BR sprouts, the content of potassium was the highest (882.50 ㎎%) and those of magnesium and calcium were comparatively high (342.85 ㎎%, 274.30 ㎎%). BR sprouts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mg-CoA reduct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vitro. Furthermor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BR sprouts were 64.25% and 69.29%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 sprouts possess potenti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H㎎-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ried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BR) sprou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BR sprouts as dry matter basis were 2.35% of moisture content, 22.51% of crude prote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ried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BR) sprou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BR sprouts as dry matter basis were 2.35% of moisture content, 22.51% of crude protein, 21.60% of crude lipid, 4.35% of crude ash, and 49.19% of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glucose and fructose. Analyzing total amino acids, 18 kinds of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BR sprouts.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ained in BR sprouts accounted for 47.00% of total amino acid, while the non-essential amino acid accounted for 53.00%. The contents of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0.09 ㎎% and 3.06 ㎎%, respectively. Tartaric acid was the major organic acid. Among the minerals in dried BR sprouts, the content of potassium was the highest (882.50 ㎎%) and those of magnesium and calcium were comparatively high (342.85 ㎎%, 274.30 ㎎%). BR sprouts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mg-CoA reduct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vitro. Furthermor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BR sprouts were 64.25% and 69.29%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 sprouts possess potenti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H㎎-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행란, "이천 게걸무, 강화 순무, 조선무의 화학적 특성 및 효소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55-259, 2007

      2 방면호,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XII.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로부터 인돌 화합물의분리 및 hACAT 저해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65-69, 2008

      3 최혁재, "순무의 d-galactosamine 유발 간장해 보호효과" 한국생약학회 37 (37): 258-265, 2006

      4 Lee YH, "순무와 β-sitosterol의 고지혈증 억제에 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 19 (19): 1528-1533, 2005

      5 방면호, "순무(Brassica rapa) 뿌리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6 (36): 64-67, 2009

      6 Kim SK,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의 화학성분" 한국생약학회 35 (35): 259-263, 2004

      7 한진희, "성장시기별 무순의 화학적 조성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596-602, 2003

      8 이재준, "브로콜리 싹의 이화학적 성분"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92-197, 2009

      9 이은혜, "발아중 메밀의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21-129, 2008

      10 우나리야, "발아 채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356-362, 2007

      1 김행란, "이천 게걸무, 강화 순무, 조선무의 화학적 특성 및 효소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55-259, 2007

      2 방면호,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XII.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로부터 인돌 화합물의분리 및 hACAT 저해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65-69, 2008

      3 최혁재, "순무의 d-galactosamine 유발 간장해 보호효과" 한국생약학회 37 (37): 258-265, 2006

      4 Lee YH, "순무와 β-sitosterol의 고지혈증 억제에 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 19 (19): 1528-1533, 2005

      5 방면호, "순무(Brassica rapa) 뿌리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6 (36): 64-67, 2009

      6 Kim SK,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의 화학성분" 한국생약학회 35 (35): 259-263, 2004

      7 한진희, "성장시기별 무순의 화학적 조성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596-602, 2003

      8 이재준, "브로콜리 싹의 이화학적 성분"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92-197, 2009

      9 이은혜, "발아중 메밀의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21-129, 2008

      10 우나리야, "발아 채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356-362, 2007

      11 황은주, "발아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항균활성 및 세포독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1-7, 2006

      12 Ju H, "Volatile isothiocyanates and nitriles from glucosinolates in rutabaga and turnip" 107 : 1050-1054, 1982

      13 Song MR,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14 : 20-27, 2001

      14 Jung GT,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32 : 928-935, 2000

      15 Itoh H, "Study on the contents of volatile isothiocyanate of cultivars of Brassica vegetables" 45 : 33-41, 1984

      16 Kim IS, "Study on the composition change of free sugars and glucosinolate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20 : 194-199, 1988

      17 Kim IS,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20 : 188-193, 1988

      18 Kim IS,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26 : 1058-1062, 1997

      19 Kleinsek DA, "Purification of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from rat liver" 74 : 1401-1435, 1977

      20 Park YK,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rnip" 28 : 333-341, 1999

      2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22 Gopalan C, "Nutritive values of indian foods" National Institute of Nutrition,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2004

      23 El-Adawy TA,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hickpears (Cicer arietinum L.)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germination" 57 : 83-97, 2002

      24 Wilkinson A, "Myrosinase activity of crucifer vegetables" 35 : 543-552, 1984

      25 Wungaarden DV, "Modified rapid preparation fatty acid esters from liquid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39 : 848-850, 1967

      26 조자용, "LED 광질이 브로콜리 새싹의 발아,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7 (17): 116-123, 2008

      27 Morita 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pickles" 39 : 183-193, 1990

      28 Kato H,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5 : 1333-1335, 1987

      29 Jung BS, "Hyang Yak Dae Sa Jun" Young Lim Sa 574-, 1990

      30 Gancedo M,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51 : 571-573, 1986

      31 Maher VM, "HMG-CoA reductase inhibitors as lipid-lowering agents: five years experience with lovastatin and an appraisal of simvastatin and pravastin" 274 : 165-170, 1990

      32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33 Collins J, "Flavor preference of selected food products from vegetables" 26 : 1012-1015, 1978

      34 Yamani M, "Fermentation of brined tunrnip roots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cultures" 9 : 176-179, 1993

      35 Mongeau R, "Enzymatic-gravimetric determination in foods of dietary fiber as sum of insoluble and soluble fiber fractions: summary of collaborative study" 76 : 923-925, 1993

      36 Vanderstoep J, "Effect of the nutritive value of legumes" 35 : 83-91, 1981

      37 Hertog MGL,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40 : 2379-2383, 1992

      38 Khalil AW, "Comparison of sprout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i and kabuli type chickpea cultivars (Cicer arietinum L.)" 40 : 937-945, 2007

      39 Theander O, "Carbohydrates, polyphenols and lignin in seed hulls of different colors from turnip rapeseed" 25 : 270-273, 1977

      40 Sattar A, "Biosynthesis of ascorbic acid in germinating rapeseed cultivars" 47 : 63-70, 1995

      4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2 Waters Associates, "Analysis of amino acid in waters.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41-46, 1990

      43 Sones K, "An estimate of the mean daily intake of glucosinolates from cruciferous vegetables in the UK" 35 : 712-720, 1984

      44 권은경, "9종의 허브류로부터ACE저해활성,HMG-CoA reductase저해활성 및혈전용해활성에 대한 검색" 한국식품과학회 38 (38): 691-69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