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고전무용 ‘踏歌’무용의 미적 탐색 = A Study on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11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cleary define the concept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and examined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d of Tage,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 dance. As a result, the Chinese classic dance could be defined as a recreated one with the help of the modern dance technique based on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dance.
      The Tage, one of the famous Chinese classic dance, names a dance originated from Handang era. In Tage, people stamp on the ground, dance on the rythm and sing together. This dance reminds the simple and natural beauty of Handang era. In the first part, the dance shows beauties of woman's elegance and circle and curve, and also JeongJungDong controls the rythm of the dance. And the rythm of footsteps reveal the endless beauty of flow. And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of Tage would be a naturalistic revealation of recurrence to nature with aesthetical emo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pointing a circle and curve.
      Through the reproduce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the emotion of movement and ethos could be successed.
      번역하기

      This study tried to cleary define the concept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and examined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d of Tage,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 dance. As a result, the Chinese classic dance could be defined as a recreated...

      This study tried to cleary define the concept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and examined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d of Tage,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 dance. As a result, the Chinese classic dance could be defined as a recreated one with the help of the modern dance technique based on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dance.
      The Tage, one of the famous Chinese classic dance, names a dance originated from Handang era. In Tage, people stamp on the ground, dance on the rythm and sing together. This dance reminds the simple and natural beauty of Handang era. In the first part, the dance shows beauties of woman's elegance and circle and curve, and also JeongJungDong controls the rythm of the dance. And the rythm of footsteps reveal the endless beauty of flow. And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of Tage would be a naturalistic revealation of recurrence to nature with aesthetical emo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pointing a circle and curve.
      Through the reproduce of the chinese classic dance, the emotion of movement and ethos could be succe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고전무용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대표적인 작품인‘답가’의 미적 특징과 심미의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중국고전무용이란 중국의 전통 무용을 계승한 바탕에 심미의식을 기반으로 현시대의 무용기법을 차용하여 재창작되어진 무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중국고전무용에 속하는 답가는 한당시대의‘발로 땅을 차며 리듬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을 뜻한다. 이 춤은 한당시대의 소박하고 자연의 미가 담겨진 춤이다. 춤의 전반에서 여성의 우아미와 원과 곡선의 미를 지향하면서 정중동의 미가 춤의 운율을 조절해 준다. 또한 발디딤의 리듬감은 무한대의 유동의 미로 나타난다. 그리고 답가의 심의의식은 신체의 기운(氣韻)을 수반하는 심미 감정과 원과 곡선을 지향하는 자연의 회귀와 결부된 자연주의적 심미의식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국고대무용의 재현을 통해 형과 신의 정감(情感)은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고전무용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대표적인 작품인‘답가’의 미적 특징과 심미의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중국고전무용이란 중국의 전통 무용을 계승한 ...

      본 연구는 중국고전무용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대표적인 작품인‘답가’의 미적 특징과 심미의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중국고전무용이란 중국의 전통 무용을 계승한 바탕에 심미의식을 기반으로 현시대의 무용기법을 차용하여 재창작되어진 무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중국고전무용에 속하는 답가는 한당시대의‘발로 땅을 차며 리듬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을 뜻한다. 이 춤은 한당시대의 소박하고 자연의 미가 담겨진 춤이다. 춤의 전반에서 여성의 우아미와 원과 곡선의 미를 지향하면서 정중동의 미가 춤의 운율을 조절해 준다. 또한 발디딤의 리듬감은 무한대의 유동의 미로 나타난다. 그리고 답가의 심의의식은 신체의 기운(氣韻)을 수반하는 심미 감정과 원과 곡선을 지향하는 자연의 회귀와 결부된 자연주의적 심미의식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국고대무용의 재현을 통해 형과 신의 정감(情感)은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효, "중국의 무용교수법 및 고전무용“신운(身韻)” 교재의 동작 분석 -원소(元素), 단구(短句) 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19 (19): 119-154, 2015

      2 이애순, "중국민족무용의 특징. 무용원 이론과 연구자료집" 42-51, 2001

      3 엽랑, "중국미학사대강" 백선문화사 2000

      4 손 흔, "중국고전무용의 특징에 관한 -신운(身韻)미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애순, "중국고전무용의 역사발전 및 특징에 대한 고찰" 1 (1): 172-189, 2002

      6 심숙경, "중국 고전무용의 발전 현황 - 신중국 성립이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0 (70): 121-136, 2012

      7 왕효천, "중국 고전무용 한삼무의 활용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8 맥정문, "중국 고전무용 '검무'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9 劉陽, "중국 고전무수수와 희곡수수무의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고경희, "신화의 제의적 상징과 한국춤의 현대적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20 (20): 211-229, 2012

      1 김동효, "중국의 무용교수법 및 고전무용“신운(身韻)” 교재의 동작 분석 -원소(元素), 단구(短句) 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19 (19): 119-154, 2015

      2 이애순, "중국민족무용의 특징. 무용원 이론과 연구자료집" 42-51, 2001

      3 엽랑, "중국미학사대강" 백선문화사 2000

      4 손 흔, "중국고전무용의 특징에 관한 -신운(身韻)미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애순, "중국고전무용의 역사발전 및 특징에 대한 고찰" 1 (1): 172-189, 2002

      6 심숙경, "중국 고전무용의 발전 현황 - 신중국 성립이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0 (70): 121-136, 2012

      7 왕효천, "중국 고전무용 한삼무의 활용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8 맥정문, "중국 고전무용 '검무'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9 劉陽, "중국 고전무수수와 희곡수수무의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고경희, "신화의 제의적 상징과 한국춤의 현대적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20 (20): 211-229, 2012

      11 임태승, "소나무와 나비: 동아시아미학의 두 흐름" 심산문화출판사 2004

      12 노희철, "기운생동과 예술정신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3 裘亚萍, "踏歌在少数民族舞蹈中的传承" 2007

      14 张晗, "舞蹈《踏歌》队形浅析" 陕西师范大学音乐学院 2012

      15 王克芬, "漫話中國‘古典舞’" (4) : 2002

      16 王蕾, "浅谈踏歌的舞蹈特点与艺术表现形态" 21-22, 2009

      17 刘少辉, "汉唐古典舞的古典文化传承与现代精神诉求" 浙江师范大学 (4) : 59-61, 2009

      18 文英, "汉唐中國古典舞教学法" 上海音樂出版社 2011

      19 向開明, "太極文化與東亞舞蹈文化" 民族出版社 2006

      20 向開明, "太極文化與東亞舞蹈文化" 民族出版社 2006

      21 于平, "以‘中國古典舞’的名義及其他: 論中國古典舞學科的文化建設" (4) : 15-, 1998

      22 陈德礼, "人生境界与生命美学 -中国古代审美心理论纲-" 长春出版社 1998

      23 刘稚雅, "为源头活水来——分析经典剧目《踏歌》的舞蹈形态和意象体会" 147-, 2015

      24 羅斌, "中國古典舞蹈的品格" 吉林美術出本社 2005

      25 邵未秋, "中國古典舞袖舞教程" 上海音樂出版社 2004

      26 車延芬, "中國古典舞之發生研究" 中國藝術研究院 2006

      27 袁禾, "中国宫廷舞蹈艺术" 文化艺术出版社 2007

      28 陈德礼, "中国古代审美心理论纲" 长春出版社 1998

      29 "wapbaike.baidu.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