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동효, "중국의 무용교수법 및 고전무용“신운(身韻)” 교재의 동작 분석 -원소(元素), 단구(短句) 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19 (19): 119-154, 2015
2 이애순, "중국민족무용의 특징. 무용원 이론과 연구자료집" 42-51, 2001
3 엽랑, "중국미학사대강" 백선문화사 2000
4 손 흔, "중국고전무용의 특징에 관한 -신운(身韻)미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애순, "중국고전무용의 역사발전 및 특징에 대한 고찰" 1 (1): 172-189, 2002
6 심숙경, "중국 고전무용의 발전 현황 - 신중국 성립이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0 (70): 121-136, 2012
7 왕효천, "중국 고전무용 한삼무의 활용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8 맥정문, "중국 고전무용 '검무'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9 劉陽, "중국 고전무수수와 희곡수수무의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고경희, "신화의 제의적 상징과 한국춤의 현대적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20 (20): 211-229, 2012
1 김동효, "중국의 무용교수법 및 고전무용“신운(身韻)” 교재의 동작 분석 -원소(元素), 단구(短句) 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19 (19): 119-154, 2015
2 이애순, "중국민족무용의 특징. 무용원 이론과 연구자료집" 42-51, 2001
3 엽랑, "중국미학사대강" 백선문화사 2000
4 손 흔, "중국고전무용의 특징에 관한 -신운(身韻)미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애순, "중국고전무용의 역사발전 및 특징에 대한 고찰" 1 (1): 172-189, 2002
6 심숙경, "중국 고전무용의 발전 현황 - 신중국 성립이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0 (70): 121-136, 2012
7 왕효천, "중국 고전무용 한삼무의 활용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8 맥정문, "중국 고전무용 '검무'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9 劉陽, "중국 고전무수수와 희곡수수무의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고경희, "신화의 제의적 상징과 한국춤의 현대적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20 (20): 211-229, 2012
11 임태승, "소나무와 나비: 동아시아미학의 두 흐름" 심산문화출판사 2004
12 노희철, "기운생동과 예술정신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3 裘亚萍, "踏歌在少数民族舞蹈中的传承" 2007
14 张晗, "舞蹈《踏歌》队形浅析" 陕西师范大学音乐学院 2012
15 王克芬, "漫話中國‘古典舞’" (4) : 2002
16 王蕾, "浅谈踏歌的舞蹈特点与艺术表现形态" 21-22, 2009
17 刘少辉, "汉唐古典舞的古典文化传承与现代精神诉求" 浙江师范大学 (4) : 59-61, 2009
18 文英, "汉唐中國古典舞教学法" 上海音樂出版社 2011
19 向開明, "太極文化與東亞舞蹈文化" 民族出版社 2006
20 向開明, "太極文化與東亞舞蹈文化" 民族出版社 2006
21 于平, "以‘中國古典舞’的名義及其他: 論中國古典舞學科的文化建設" (4) : 15-, 1998
22 陈德礼, "人生境界与生命美学 -中国古代审美心理论纲-" 长春出版社 1998
23 刘稚雅, "为源头活水来——分析经典剧目《踏歌》的舞蹈形态和意象体会" 147-, 2015
24 羅斌, "中國古典舞蹈的品格" 吉林美術出本社 2005
25 邵未秋, "中國古典舞袖舞教程" 上海音樂出版社 2004
26 車延芬, "中國古典舞之發生研究" 中國藝術研究院 2006
27 袁禾, "中国宫廷舞蹈艺术" 文化艺术出版社 2007
28 陈德礼, "中国古代审美心理论纲" 长春出版社 1998
29 "wapbaike.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