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즉흥무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그룹(즉흥무용을 실시한 집단, 즉흥무용 미실시 집단)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을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38352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10. 8
2010
한국어
경상북도
viii, 59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즉흥무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그룹(즉흥무용을 실시한 집단, 즉흥무용 미실시 집단)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을 시...
본 연구는 즉흥무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그룹(즉흥무용을 실시한 집단, 즉흥무용 미실시 집단)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을 시기(실시 전, 13주 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4세 유아로 실험집단37명, 통제집단37명으로 구성하였다.
창의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전경원(1999)의 ‘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으며, 학습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McDermott, Green, Francis와 Stott(2000)에 의해서 개발된 유아학습행동척도(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PLBS)를 정선교(2006)가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위해 사용한 주요 분석 방법은 Paired t-test, 독립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사후검증은 Repeated Method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 패키지는 SPSS 11.5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창의성과 학습행동 변화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무용 프로그램의 실시 유무에 따른 창의성 하위변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과 창의성 영역인 언어, 도형, 신체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융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즉흥무용 프로그램을 실시 한 실험집단 내에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창의성 하위변인 가운데 유창, 독창, 융통 순으로 창의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 영역에서는 신체, 도형, 언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즉흥무용 프로그램의 실시 유무에 따른 창의성 하위변인인 학습동기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학습행동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즉흥무용 프로그램 실시 유무에 따른 학습행동 하위변인에서 학습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부여이며 다음은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6차 교육과정의 생활주제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한 즉흥무용이 유아의 창의성(유창, 융통, 독창, 신체, 언어, 도형)과 학습행동(학습동기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impromptu dance on an infant's creativity and a learning action. we analyzed two groups, the group A that carried out the impromptu dance and the other group B that didn't carry out it and we also analyzed th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impromptu dance on an infant's creativity and a learning action.
we analyzed two groups, the group A that carried out the impromptu dance and the other group B that didn't carry out it and we also analyzed the change of infant's creative by experiment during 13weeks for the study.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4-year-old 37children who are attending S kindergarten for each group.
we referred to a book named ‘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Jeon kyung Won (1999) to examine the change of creativity. and we also used a questionnaire that Jeong Seon Gyo(2006) used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PLBS) written by McDermott, Green, Francis와 Stott(2000) to examine the change of learning action.
The main analytical methods for this study's result analysis are composed of Paired t-test, Independenc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d we applied Repeated Method for post review. The statistical system for this investigation was SPSS 11.5 and the significance level is p<.05
The conclusion of the change of creativity and learning action which is derived from the study process is as follows.
Frist, the children of the group A that carried out the impromptu dance showed up high grades in all of tests o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n low-ranking creativity site and language, figure, physical examination in the creativity site.
we could se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 but in the flexibility we couldn't see the differences that much.
Second,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imprompt program on the creativity, we found the imprompt program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creativity. The ranking on the result is follows.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flexibility.
Third, the group A also showed up good grade in all of tests on 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 continue and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he group B that didn't carry out the impromptu dance and we could fin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urth, in the learning attitude part of tests, the result showed up the part that has most effect on the learning action was learning motivation. The second rank was attention. The third one was continue and forth one was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is meaningful we provide useful and helpful information for related studies later on by proving the impromptu dance can help children's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physical, language, figure) and learning action(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continue and learning attitude) get improv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