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조선조 후기 추사 김정희의 다양한 면모 중에서, 그의 학문과 예술이 지닌 양명심학적 성취인 性靈論을 분석함으로써 추사의 핵심 성령론을 이해하고 아울러 그 실제적 의의를 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9867
2015
Korean
추사 ; 추사미학 ; 성령 ; 양지 ; 문도상수 ; Chu-sa ; Esthetics of Chu-sa ; Etherial Nature ; Main Body of Mind ; Mun-do-sang-su
KCI등재
학술저널
35-73(3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조 후기 추사 김정희의 다양한 면모 중에서, 그의 학문과 예술이 지닌 양명심학적 성취인 性靈論을 분석함으로써 추사의 핵심 성령론을 이해하고 아울러 그 실제적 의의를 탐...
본 논문은 조선조 후기 추사 김정희의 다양한 면모 중에서, 그의 학문과 예술이 지닌 양명심학적 성취인 性靈論을 분석함으로써 추사의 핵심 성령론을 이해하고 아울러 그 실제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령론의 양명심학적 경학 배경과, 추사 성령론의 중심개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추사의 미학사상은 주자학적인 ‘文以載道論’으로부터 진일보한, 우주론적 道에 입각한 ‘文道相須論’으로 인식의 전환을 볼 수 있었다. 또 완당전집의 〈사폐변〉을 통해 그의 정욕관에 대해 살펴본바, 인간의 욕망과 본능의 존재를 긍정하나 반드시 이들을 의와 예로써 천리 준칙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王陽明의 정욕관과 일치하였다. 이런 점들은 모두 秋史書畵가 創作主體精神의 발현으로 가는 일련의 과정이라 해도 무방하며, 그 중심에 秋史의 性靈論이 자리한다. 그러나 秋史는 당시 性靈論의 폐해가 淫放과 鬼怪로 흐를 수 있음을 경계하여 性靈과 格調의 조화와 합일을 강조한다. 秋史의 性靈과 格調의 조화와 합일활동은 陽明心學상의 致良知的창작활동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곧, 天命之性의 自得機發精神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는 개체와 자아를 강조하는 陽明心學의 사유체계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이러한 秋史의 다양하고 창조적인 학문·예술적 성과는 단편적인 학습에 머묾으로써 浮薄하고 편면적인 오늘날의 서화계에 전범이 되기에 충분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of various aspects of Chu-sa, Kim Joeng-he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understand Theory of Etherial Nature(性靈論) which was an achievement of his study and art from the view of Yangmingism Mind Learning and to estimate its prac...
In this study, of various aspects of Chu-sa, Kim Joeng-he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understand Theory of Etherial Nature(性靈論) which was an achievement of his study and art from the view of Yangmingism Mind Learning and to estimate its practical meaning is focussed. To put it concretely,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background of Theory of Etherial Nature within Ying & Yang Mind Learning and the key concept of Chu-sa’s Theory of Etherial Nature is focussed. Thus Chu-sa’s esthetics was developed from Mun-yi-jae-do(文以載道) Theory that was a kind of the doctrines of Chu-tzu, and developed to Mun-do-sang-su(文道相須) Theory by changing his recognition that was a kind of oriental cosmology. Also, through Sa-pae-byeon(私蔽辨) part of the collected works of Wan-dang(阮堂), he acknowledged and affirmed human desire and instinct, but this must be dealt according to heavenly rules. This point of view about desire coincides with viewpoint of Wang Yang-ming (王陽明). It may safely be said that these all were steps to express creativity of Chu-sa’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hu-sa’s Theory of Etherial Nature played a key role among the steps. However, Chu-sa took precautions against lustfulness and fiendishness that might be caused as negative effect from the Theory of Etherial Nature. And he stressed harmony and union of etherial nature and nobleness. Chu-sa’s activities to harmonize and unify the two resulted in creative activity derived from Chi-Ryang-Ji(致良知) of Yangmingism Mind Learning, which was a self-learning and self-expressing spirit from disposition of Providence. Th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peculation system of Yangmingism Mind Learning that emphasizes entity and ego. Chu-sa various and creative academic and artistic achievements are good enough to regard as a model to today’s fie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at is superficial and flippa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형대,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2 전해종, "청대학술과 완당, -완원의 經學에 대한 試論的검토-" 불함문화사 1 : 1963
3 장지훈, "조선조후기 서예미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우성, "실시학사산고" 창작과 비평사 1995
5 宋河璟, "서예미학과 신서예정신" 도서출판 다운샘 2003
6 과천문화원, "붓 천 자루와 벼루 열 개를 모두 닳아 없애고" 학고재 2005
7 신호열, "국역완당전집" 솔 1998
8 鄭齊斗, "霞谷集" 民族文化推進會 1995
9 王陽明, "陽明全書"
10 呂德申, "鍾嶸詩品校釋" 북경대학출판사 1986
1 전형대,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2 전해종, "청대학술과 완당, -완원의 經學에 대한 試論的검토-" 불함문화사 1 : 1963
3 장지훈, "조선조후기 서예미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우성, "실시학사산고" 창작과 비평사 1995
5 宋河璟, "서예미학과 신서예정신" 도서출판 다운샘 2003
6 과천문화원, "붓 천 자루와 벼루 열 개를 모두 닳아 없애고" 학고재 2005
7 신호열, "국역완당전집" 솔 1998
8 鄭齊斗, "霞谷集" 民族文化推進會 1995
9 王陽明, "陽明全書"
10 呂德申, "鍾嶸詩品校釋" 북경대학출판사 1986
11 張維, "谿谷集" 民族文化推進會 1992
12 "論語"
13 박순철, "袁枚 ‘性靈說’에 대한 小考 - 性靈說과 理學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중국학회 (58) : 131-148, 2008
14 袁宏道, "袁中郞全集"
15 袁中道, "袁中道全集"
16 "莊子"
17 이필숙, "秋史金正喜書畵美學의 心學化過程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18 정혜린, "秋史의 예술을 다시 본다 : 서예론에 대한 재검토" 秋史연구회 (3) : 2006
19 박철상, "秋史의 삶과 교유Ⅱ" 秋史박물관 2013
20 심현섭, "秋史金正喜의 서화비평의식 고찰" 한국서예비평학회 (7) : 2010
21 石濤, "石濤畫論"
22 李逸安, "歐陽脩全集, 中國古典文學基本叢書" 中國書局 2001
23 張之琬, "枕雨堂集"
24 "朱子語類"
25 劉勰, "文心雕龍" 민음사 2002
26 戴震, "孟子義疏證 卷上"
27 "孟子"
28 "大學"
29 王陽明, "傳習錄 (1-2)" 청계출판사 2001
30 王陽明, "傳習錄"
31 鄭壽銅, "作詩有感"
32 "中庸"
33 葉朗, "中國美術史大綱 (上ㆍ下)" 百選文化史 2000
34 宋河璟, "『石濤畫論』『一畫章第一』번역상의 몇 가지 의견-김용옥과 조남권ㆍ김대원의 譯書에 대한 陽明心學的입장에서-" 한국비평학회 (7) : 2013
35 이철희, "19세기 시학에 대한 산천 김명희의 인식" 추사연구회 (7) : 2009
36 임유경, "18세기 천기론의 특징" 한국한문학회 19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