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HAS data에 기초한 종단연구 =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in Korean Elderly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Hallym Aging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3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itudinal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the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 elderly. Here,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ffspring, expectation from offspring, and social-support, personal factors consist of satisfaction of self-respect nee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drinking). Consistently integr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836 elderly men and women (mean age = 68.16yrs/base on 2003 year) residing in the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s via interviews(Time 1). They were then re-interviewed two years later (Time 2, Time 3, Time 4). In the result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repeated measure), the eight factors, including illness history,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or a downward tendency by linear type. The five factors, including social-support,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U) or a downward tendency (reverse U) by quadratic typ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nly the five predictable factors of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during the short term (2 yrs), middle term (4 yrs) and long term (6 yrs) periods. Also, in physical health, only the four predictable factors of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short term, middle term and long term perio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itudinal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the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 el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itudinal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the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 elderly. Here,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ffspring, expectation from offspring, and social-support, personal factors consist of satisfaction of self-respect nee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drinking). Consistently integr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836 elderly men and women (mean age = 68.16yrs/base on 2003 year) residing in the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s via interviews(Time 1). They were then re-interviewed two years later (Time 2, Time 3, Time 4). In the result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repeated measure), the eight factors, including illness history,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or a downward tendency by linear type. The five factors, including social-support,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U) or a downward tendency (reverse U) by quadratic typ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nly the five predictable factors of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during the short term (2 yrs), middle term (4 yrs) and long term (6 yrs) periods. Also, in physical health, only the four predictable factors of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short term, middle term and long term perio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영향을 미치는 11개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알아보았다. 총 11개 요인들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와 더불어 4개의 사회관계 요인 및 5개의 개인요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매 2년 간격으로 2009년까지 4차가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은 4회기에 모두 참여한 836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료이다. 그 결과 과거질병을 포함한 8개 요인이 1차 함수 형태로 연도가 지날 수록 상승 또는 하강하였고, 사회지원을 포함한 5개 요인이 2차 함수 형태로 상승 또는 하강곡선을 나타냈다. 한편, 주관안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들은 경제상태, 결혼만족, 부적정서 및 신체건강 요인이었다. 신체건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은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정적정서 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시간의 변화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환경적 특징의 변화가 한국 노인들의 평가에 반영되었음에도 여전히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의학이나 경제학 요인들과 함께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각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영향을 미치는 11개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알아보...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영향을 미치는 11개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알아보았다. 총 11개 요인들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와 더불어 4개의 사회관계 요인 및 5개의 개인요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매 2년 간격으로 2009년까지 4차가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은 4회기에 모두 참여한 836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료이다. 그 결과 과거질병을 포함한 8개 요인이 1차 함수 형태로 연도가 지날 수록 상승 또는 하강하였고, 사회지원을 포함한 5개 요인이 2차 함수 형태로 상승 또는 하강곡선을 나타냈다. 한편, 주관안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들은 경제상태, 결혼만족, 부적정서 및 신체건강 요인이었다. 신체건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은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정적정서 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시간의 변화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환경적 특징의 변화가 한국 노인들의 평가에 반영되었음에도 여전히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의학이나 경제학 요인들과 함께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각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군석, "한국의 장년과 노년에서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연령대별 비교" 2004

      2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4 박군석,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441-470, 2004

      5 박군석,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념 및 기준, In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박학사 45-78, 2008

      6 박군석, "한국 노인의 생존 및 사망집단의 판별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345-362, 2009

      7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한국 노인의 삶" 소화 2009

      8 유경,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8, 2005

      9 박군석,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291-318, 2009

      10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1 박군석, "한국의 장년과 노년에서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연령대별 비교" 2004

      2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4 박군석,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441-470, 2004

      5 박군석,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념 및 기준, In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박학사 45-78, 2008

      6 박군석, "한국 노인의 생존 및 사망집단의 판별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345-362, 2009

      7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한국 노인의 삶" 소화 2009

      8 유경,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8, 2005

      9 박군석,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291-318, 2009

      10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11 이주일, "성공적 노년을 보낸다는 것의 의미, In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박학사 1-20, 2008

      12 김영범, "부양책임감의 변화: 세대효과와 연령효과" 26-30, 2009

      13 "데이터정보"

      14 이주일, "노인심리 연구 실습"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2005

      15 유경,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종단 연구 분석" 한국노년학회 29 (29): 729-742, 2009

      16 신현구, "고령자 패널 조사 소개" 4 : 58-69, 2005

      17 "‘한국노동패널’, ‘소개’"

      18 Carstensen, L. L., "talking time seriously : A theory ofsocioemotional selectivity" 54 : 165-181, 1999

      19 Zimet, G. 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52 : 30-41, 1988

      20 Diener, E., "Su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 Press 63-73, 2002

      21 Somerfield, M. R., "Stress and coping research : Methodological challenges, theoretical advances, and clinical applications" 55 : 620-625, 2000

      22 Mayer, K. U.,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social inequalities in old age, In The Berlin Aging study: Aging from 70 to 100" Cambridge Univ. Press 227-255, 1999

      23 Torres, S., "Relaional values and idears regarding 'successful aging'" 33 (33): 417-432, 2002

      24 Baltes, P. B.,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s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Successful Ag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5 Lawton, M., "Lawton's PGC morale scale" Polisher Research Institut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1987

      26 Kunzman, U., "Is age-related stability of subjective well-being a paradox?: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Berlin aging study" 15 : 511-526, 2000

      27 Penninx, B. W. J. H., "Explo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n physical disability: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9 : 1346-1352, 1999

      28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 54 (54): 1063-1070, 1988

      29 Seelbach, W. C., "Correlates of aged parent's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realizations" 27 (27): 341-350, 1978

      30 Merluzzi, "Assessment of self-efficacy and coping with canc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 Behavior inventory" 16 : 163-170, 1997

      31 Williamon, G. M., "Aging and coping : The activity solution, In Coping with stress: Effective people and processes" Oxford Univ. Press 240-258, 2001

      32 박군석,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terme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elders in Korea" 2005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002

      34 "120701 기준, http://cafe.naver.com/hallymaging/의 해당 목 록에서 관련 자료 확인 가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 한국건강심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2 2.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