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al of this study enlightened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 unit of the negation particle “an” in Korean, which builds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is not an “independent morpheme” but a “dependent morpheme”. Up until now,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38110
2014
-
단형 부정문 ; 부정소 “안” ; 부사 “아니” ; 의존 형태소 ; 접사 ; 어기 ; 용언형 어근 ; short-form negation ; negation particle “an” ; adverb “ani” ; dependent morpheme ; affix ; base ; verbal root
800
KCI등재
학술저널
153-184(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enlightened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 unit of the negation particle “an” in Korean, which builds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is not an “independent morpheme” but a “dependent morpheme”. Up until now, p...
The goal of this study enlightened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 unit of the negation particle “an” in Korean, which builds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is not an “independent morpheme” but a “dependent morpheme”. Up until now, previous studies including many grammar textbooks or dictionaries have define “an” as a word and so it belongs to the part-of-speech “adverbs” in Korea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explain (i)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n” and (ii)the reason why certain verbs cannot combine with “an” and cannot create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Thus, this study pointed out the main reason why previous studies cannot explain these two things is that they categorized “an” as an independent word and regarded it as an adverb in Korean. This study intended to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n” as a dependent morpheme. Firstly, in modern Korean, “an” behaves differently from an adverb “ani”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al form of “an”. Secondly, some characteristics of “an” does not match with those of adverbs in Korean. Based on the fact that “an” is an independent morpheme in Korean,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the base of “an” and finally found that the base of “an” was “verbal root”. As the fact that “an” is an independent morpheme and its base is a verbal root, the study can explain why many verbs cannot combine with “an” and cannot build the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in Korean.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정수, "{좀}의 기능과 문법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8) : 77-100, 2001
2 남기심, "현대국어통사론" 태학사 2001
3 이지영,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2008
4 박상수, "한국어 부정 요소 ‘아니하-’와 ‘아니’의 변화에 대한 통시적 분석" 언어과학회 58 (58): 71-92, 2011
5 이한규, "한국어 담화표지어 ‘아니’의 의미" 현대문법학회 67 (67): 145-171, 2012
6 안주호, "한국어 교실에서의 {네, 아니}의 사용 양상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8 : 147-173, 2013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9 최형강, "파생용언에서의 어근 분리와 부정소 삽입" 한국어학회 39 : 365-395, 2008
10 정희창, "준말의 단어 형성 문제" 반교어문학회 21 (21): 107-118, 2006
1 목정수, "{좀}의 기능과 문법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8) : 77-100, 2001
2 남기심, "현대국어통사론" 태학사 2001
3 이지영,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2008
4 박상수, "한국어 부정 요소 ‘아니하-’와 ‘아니’의 변화에 대한 통시적 분석" 언어과학회 58 (58): 71-92, 2011
5 이한규, "한국어 담화표지어 ‘아니’의 의미" 현대문법학회 67 (67): 145-171, 2012
6 안주호, "한국어 교실에서의 {네, 아니}의 사용 양상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8 : 147-173, 2013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9 최형강, "파생용언에서의 어근 분리와 부정소 삽입" 한국어학회 39 : 365-395, 2008
10 정희창, "준말의 단어 형성 문제" 반교어문학회 21 (21): 107-118, 2006
11 구종남, "용언의 단형부정 제약과 형태, 의미, 화용론" 한국언어문학학회 31 : 1-21, 1993
12 박정규, "부정 부사 ‘안(아니)’의 접사적 성격에 대하여" 국제어문학회 17 : 3-28, 1996
13 박재희,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는 ‘안’의 문법 범주에 관하여" 우리말학회 31 (31): 111-142, 2012
14 허철구, "국어의 어기분리 현상과 경계인식" 배달말학회 28 (28): 57-91, 2001
15 서정수, "국어구문론연구" 탑출판사 1983
16 박정규, "국어 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보고사 2003
17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3-어휘 범주의 통사와 의미" 태학사 1998
18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27, 2008
19 최형강, "‘형성소’와 ‘어근’ 개념의 재고를 통한 ‘어근 분리 현상’의 해석" 국어학회 56 (56): 33-61, 2009
20 Tallerman, M, "Understanding Syntax" Routledge 1998
21 Bak, J-H, "The light verb construction in Korean" U of Toronto 2011
22 Kim, J-B, "The grammar of negation" CSLI 2000
23 Bak, J-H, "Japanese/Korean linguistics V19" CSLI 267-281, 2011
24 Ahn, H-D., "Japanese/Korean linguistics V1" CSLI 221-237, 1990
25 Adger, D, "Core syntax"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젊은 그들』의 역사 내러티브 전략과 민족 담론의 양상
김현승 시의 윤리성에 대한 재고 - 견고한 양심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