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임특수교사를 개인 차원에서 임파워먼트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셀프-임파워먼트 개념을 강조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셀프-임파워먼트 전략을 개발한 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임특수교사를 개인 차원에서 임파워먼트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셀프-임파워먼트 개념을 강조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셀프-임파워먼트 전략을 개발한 후 ...
본 연구에서는 초임특수교사를 개인 차원에서 임파워먼트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셀프-임파워먼트 개념을 강조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셀프-임파워먼트 전략을 개발한 후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임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개발한 셀프-임파워먼트 증진 전략을 10회기에 걸쳐 적용하고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셀프-임파워먼트 증진 전략을 사용한 초임 특수교사들은 10회기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략이 장애학생을 지도하고 교직생활에 적응을 잘 해야 하는 초임 특수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특수교사들을 위한 재교육이나 현직 연수의 기회가 제한적인 현실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셀프-임파워먼트 증진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된다면 이들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e self-empowerment strategies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es through experience them.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self-empowerment, It examines effects of the strategies on 6 novice spec...
This study is to develope self-empowerment strategies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es through experience them.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self-empowerment, It examines effects of the strategies on 6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applying the strategies and analysing i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otal empowerment and its sub-factors, goal oriented awareness, efficacy, self-determination, job satisfaction between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10 intervention session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is strategies be helpful for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empowerment. It is meaningful to prove utility if the strategies in special education situation with limited training or growing opportunit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정, "특수학교 교사의 효능감 관련변인 분석"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강영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05-320, 2005
3 황순영, "특수교사 임파워먼트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23-239, 2007
4 황순영, "초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5 황순영, "초임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237-250, 2005
6 안정옥, "초등 학교 통합 학급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내·외적 변인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김인숙,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에서 임파워먼트 실천은 가능한가?"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34-61, 2002
8 최명민,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Saleebey, D, "The strength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 extension and autions" 41 : 296-305, 1996
10 Rust, F. O, "The first year of teaching: It's not what they expected" 10 (10): 205-217, 1994
1 김혜정, "특수학교 교사의 효능감 관련변인 분석"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강영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05-320, 2005
3 황순영, "특수교사 임파워먼트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23-239, 2007
4 황순영, "초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5 황순영, "초임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237-250, 2005
6 안정옥, "초등 학교 통합 학급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내·외적 변인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김인숙,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에서 임파워먼트 실천은 가능한가?"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34-61, 2002
8 최명민,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Saleebey, D, "The strength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 extension and autions" 41 : 296-305, 1996
10 Rust, F. O, "The first year of teaching: It's not what they expected" 10 (10): 205-217, 1994
11 Ping-Yu Wang, "The examination of six dimensions of teacher empowerment for taiwan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4-218, 2005
12 Gibson, S,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86 (86): 173-184, 1985
13 Hulling-Austin, L,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internships,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535-548, 1990
14 Heck, R. H, "Teacher empower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reform" 3 (3): 10-19, 1995
15 Huberman, M, "Teacher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mastery, In Rethinking teacher development" OISE Press 121-142, 1992
16 Cherniss, C, "Teacher Empowerment. Consult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Program in Schools" 8 (8): 135-152, 1997
17 Lioyd, S. R, "Self-Empowerment" Kogan Page 1992
18 Short, P. M, "Restructuring schools through empowerment: Facilitating the process" 1 (1): 5-25, 1991
19 Conderman, G, "Reflections from Beginning Special Educators" 33 (33): 16-21, 2000
20 Kagan, D. M,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62 (62): 129-167, 1992
21 Staples, L. H, "Powerful Ideas and empowerment" 14 (14): 582-591, 1990
22 Vonk, J. H. C,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Development of a knowledge base for mentors"
23 Jobling. A, "I nerver imagined I'd have to teach these children" 32 (32): 5-25, 2004
24 Feinman, S, "Helping novice learn to teach" 52 (52): 17-30, 2001
25 Paster. J, "Empowerment: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4 (4): 5-7, 1996
26 Vonk, J. H. C, "Conceptualizing the mentoring of beginning teeachers"
27 Vonk, J. H. C, "Conceptualizing no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base for supervisory interventions"
28 Rosemary. O, "A model for school social work facilitation of teacher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18 (18): 45-52, 1996
29 Rice, E. M, "A decade of teacher empowerment: An empirical analysis of teacher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32 (32): 43-58, 1994
30 Maeroff, G. I, "A blueprint for empowering teachers" 69 (69): 472-477, 1998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교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멀티미디어 앵커드 프로그램 효과 분석
안구운동추적기법을 활용한 읽기장애 연구의 도입과 전망: 국내 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9 | 1.565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