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민주화연구실의 공동 연구 작업에서 비롯됐다. 민주화연구실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 이데올로기, 즉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8648
-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은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민주화연구실의 공동 연구 작업에서 비롯됐다. 민주화연구실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 이데올로기, 즉 ...
이 책은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민주화연구실의 공동 연구 작업에서 비롯됐다. 민주화연구실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 이데올로기, 즉 자유주의, 사회주의, 보수주의의 역할과 의미를 검토하고 그것이 영국, 독일, 프랑스로 대표되는 유럽의 경험과 어떤 차이와 공통점이 있는지 검토하려고 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우선 현대사회의 중요 이데올로기에 대한 개관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겨 그 공통적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재로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번역 원본으로는 Terence Ball and Richard Dagger, Political Ideologies and the Democratic Ideal, 5th ed., (Pearson/Longman, 2004)을 사용하였다.
이 책의 1장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반적 개념을 설명하고 집필 방향을 서술한다. 2장은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의 역사를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 추적하고, 그것이 중세를 거치며 망각 혹은 폄하된 과정, 17세기 공화주의 전통과 결합하며 18세기에 부활하는 경로를 역사적으로 검토하며 현대 민주주의의 세 가지 개념을 지적하고 있다.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인민민주주의가 근대 세계에서 민주주의적 이상에 대한 주요 시각이라고 보는 저자들은 각 이데올로기들의 형성, 발전, 변화, 문제의식의 변용을 이러한 민주주의적 이상의 평가, 포섭 혹은 배제라는 측면과 관련하여 3장부터 서술하고 있다.
3장부터 7장까지는 이데올로기의 갈등과 투쟁이라는 측면에 주목하면서 자유주의, 보수주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파시즘의 등장과 그 이념적 특징을 설명, 평가, 지향, 강령이라는 이데올로기의 제 기능 속에서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8장과 9장에서는 현재 크게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해방 이데올로기와 녹색정치를 검토함으로써 현실에서 살아 숨쉬며 부단히 자신을 생산, 재생산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의 생명력과 변용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10장에서는 종교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검토하는데, 특히 오늘날 중요한 문제로 대두한 이슬람권 분쟁의 해결방안에 대해 개괄적이지만 유용한 서술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자유주의의 승리라는 이름 아래 제기된 '이데올로기의 종언'이 아무 근거도 없는 독단이라는 것, 세계는 오히려 전보다 더 날카롭고 넓은 이데올로기적 갈등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