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부분에서 분절 요소 및 초분절 요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험 및 분석이 진행될 것이다. 분절 요소로는 VOT, 비주기파 소음, 묵음 구간, 모음 구간, f0, 포만트 특징, 포만트 전이구간, 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1843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발화 부분에서 분절 요소 및 초분절 요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험 및 분석이 진행될 것이다. 분절 요소로는 VOT, 비주기파 소음, 묵음 구간, 모음 구간, f0, 포만트 특징, 포만트 전이구간, 강...
발화 부분에서 분절 요소 및 초분절 요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험 및 분석이 진행될 것이다. 분절 요소로는 VOT, 비주기파 소음, 묵음 구간, 모음 구간, f0, 포만트 특징, 포만트 전이구간, 강도, 비음 특성드이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각 집단별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를 할 것이다. 초분절 요소로 강세, 강도, f0 전이등이 검토되고, 구 및 문장 단위, 단락 단위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발화 특징들을 잡을것이다.
인지 영역에서는 ‘자음 판별’실험과 ‘신호 강인도’실험을 시행한 후 각 집단별로 차이점과 공통적인 인지모형을 구축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그리고, 차이가 발견된다면 이 차이는 음향 신호에 기인한 것인지, 혹은 변수에 기인한 것인지를 정밀 조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자음 판별’실험에서 각 집단 공통적으로 강약환경과 약강환경의 정인지율이 서로 달랐다면 조음 위치별, 집단별로 나누어 조사될 것이다. 이어서 각 집단의 음성 인지형태를 보여주는 ‘신호강인도’결과가 분석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환경별로 공통적인 유형이 존재하는지, 혹은 차이점이 존재하는 지가 집중적으로 연구될 것이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일부 환경에서 공통적인 인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예를 들어, 강약 환경에서는 ‘선행모음구간 >> 폐쇄구간 >> VOT >> 후행모음구간’순으로 유/무성 인식에 의존을 하며, 약강 환경에서는 ‘VOT >> 후행모음구간 >> 폐쇄구간 >> 선행모음구간’순으로 의존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강세를 받는 구간에 신호 강인도가 주어지며, 이 강인도는 배경언어, 청취능력, 연령에 관계없이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는지는 아직도 알수가 없다. 이는 이런 유형의 연구가 계속 필요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