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 Jinul(知訥) and Mind Study of Enlighte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5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체계를 살펴보아 지금까지 분석되지 못했던 핵심들을 짚어내고 현대 마음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지눌에 의하면 깨달음과 마음공...

      본 연구는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체계를 살펴보아 지금까지 분석되지 못했던 핵심들을 짚어내고 현대 마음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지눌에 의하면 깨달음과 마음공부는 선후의 문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마음공부의 시작은 자신의 본래 성품이 고요하면서도 신령스럽게 아는 지혜임을 자각하는데서 비롯되고, 이 깨달음으로 점차 닦아 나가는 것이므로 깨달음이 곧 마음공부의 시작이고 마음공부가 깨달음의 완성이 된다. 지눌의 돈오점수는 돈수적 닦음을 통해본성에 계합하고 뭇 생명을 위하는 광도군품(廣度群品)의 점수가 수반되는 것이므로 그의 마음공부는 원수(圓修).원점(圓漸)으로 칭할 수 있다. 지눌이 말하는 깨달음이란 단순한 언어적 이해가 아니라 신심(身心) 전회(轉回)의 깨달음으로서 명증적인 것이자 심신일원적 성격을 띠며 선교일치적 면모를 보여준다. 선과 교, 삼학의 정(定)과 혜(慧)뿐만이 아니라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융섭, 그리고 돈오돈수와 돈오점수가 교묘한 결합을 이루는 선오후수(先悟後修)의 원점(圓漸).원수(圓修) 수행체계는 한국 마음공부 전통의 근간을 이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nul says that “when enlightenment first be carried out, the true training is possible.” Enlightenment and training is not being separated as a matter of first and later. In other words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comes from the awareness that ...

      Jinul says that “when enlightenment first be carried out, the true training is possible.” Enlightenment and training is not being separated as a matter of first and later. In other words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comes from the awareness that one``s own nature is essentially wisdom and spiritual. Because we can go forward gradual training by enlightenment, this enlightenment is soon training and the training after enlightenment is the upcoming completion. There are enlightenment that two kinds of Hae-oh(解悟, sudden enlightenment) and Jeung-oh(證悟, ultimate enlightenment). Jinul(知訥)’s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s to reconcile with nature by “sudden training(頓修)” and to integrate the “sudden training” and “altruistic training”(廣度群 品). It can be referred to as Wonsu(圓修).WonJeom(圓漸). Haeoh(解悟) is not simple verbal understanding but embodied enlightenment to get in the routine body. It integrates mind with body, and also it shows the nature of oneness and the matching of Dogma and Zen(禪敎一致). Also it shows not only the integration of concentration and complete knowledge but also cultivating both concentration and complete knowledge(定慧雙修) of Jaseong(自性) and Susang(隨相). The integrative nature achieves his thoughtful features. This will give the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modern education and mind study. At the same time it will implicitly give rise to the direction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진, "한국의 사상가 10人지눌"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2

      2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도서출판 혜안 2009

      3 김방룡, "지눌의 진심직설에 나타난 수행론" 한국종교사학회 6 : 1996

      4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3 : 151-188, 2010

      5 정혜정, "지눌과 동학의 수심체계 비교" 보조사상연구원 14 : 2000

      6 임승택,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보조사상연구원 35 : 581-637, 2011

      7 김광민, "불교 수행이론에 비추어 본 교과의 의미" 한국도덕교육학회 16 (16): 43-64, 2005

      8 김호성, "보조의 이문정혜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한국불교학회 14 : 1989

      9 김성구, "보조국사집 외" 동국대학교부설 동국역경원 1995

      10 김호성, "돈오점수의 새로운 해석:돈오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15 : 1990

      1 이덕진, "한국의 사상가 10人지눌"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2

      2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도서출판 혜안 2009

      3 김방룡, "지눌의 진심직설에 나타난 수행론" 한국종교사학회 6 : 1996

      4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3 : 151-188, 2010

      5 정혜정, "지눌과 동학의 수심체계 비교" 보조사상연구원 14 : 2000

      6 임승택,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보조사상연구원 35 : 581-637, 2011

      7 김광민, "불교 수행이론에 비추어 본 교과의 의미" 한국도덕교육학회 16 (16): 43-64, 2005

      8 김호성, "보조의 이문정혜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한국불교학회 14 : 1989

      9 김성구, "보조국사집 외" 동국대학교부설 동국역경원 1995

      10 김호성, "돈오점수의 새로운 해석:돈오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15 : 1990

      11 임승택,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인도철학회 (31) : 85-114, 2011

      12 최현각, "깨달음에 대한 禪的一考"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36 : 1999

      13 강건기,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4 동국대학교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韓國佛敎全書 4" 동국대학교출판부 1982

      15 정영식, "薦福承古, 覺範慧洪 그리고 普照智訥의 三玄門 해석" 한국불교학회 (54) : 5-34, 2009

      16 정성본, "禪의 수행과 깨달음의 내용" 한국불교학회 (42) : 1-40, 2005

      17 최연식, "知訥 禪思想의 思想史的 검토" 국학연구원 (144) : 145-167,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