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국민성” 양성 교육 연구: 일본어, 수신과, 공민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Education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Empire (1910-1945): Focused on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5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도를 채택하고 있던 일본에서와 달리, 조선총독부는 이들 과목의 교과서만은 직접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과서 정책을 도입한 배경과 ‘국민성’ 양성 과목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식민지 중등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당시 중등교육은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 실업학교 등 각기 성격을 달리하는 복선형 체제였다. 핵심과목은 ‘충량한 국민’ 혹은 ‘건전한 국민’ 양성을 표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지만, 각 학교용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구체적인 인재상은 서로 달랐다. 또한 동일한 교과목이라 하더라도 제국 일본에서와 식민지 조선에서의 교육내용은 동일하지 않았다. 이들 학교 및 조선과 일본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식민지 지배정책의 모순으로 인해 각 교과에 투영된 식민지 중등교육의 목표는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웠다. 특히 공민과 도입 과정에서 식민지 교육의 모순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정치.경제.사회생활에서 자치적인 공민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민과 교육은 어떠한 정치적 권리도 주어지지 않은 조선의 상황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다. 결국 공민과 교육은 조선인에 대해 권리는 배제한 채 의무와 헌신만을 강요하는 가족주의적 국가관 주입과 도덕교육의 강화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공민과의 도입 과정은 ‘국민성’ 양성 교육의 모순성, 즉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교육이 갖는 모순성과 무능력이 배태한 폭력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agreement of Koreans, the colonial authorities made the curriculum of so-called spiritual edu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agreement of Koreans, the colonial authorities made the curriculum of so-called spiritual education including morality, Japanese language and citoyen subject. The textbooks of these subjects were intended to discipline Korean students to internalize the obedience willingly. However,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as frequently confronted by the resistance movement of Korean students. These strained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Korean students gave traits unique to the colonial education.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education policy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spiritual education. For instance, the citoyen subject was a citizenship curriculum to boost mature civic awareness in Japan where universal suffrage was in effect. In colonial Korea, however, everything was different to Koreans who were not given any political rights. Consequently, the citoyen subject was designed to merely function to make sense the obligation duty and loyalty of Koreans to the Japanese Empire. In other words, the colonial education was never the same one in the imperial Japan even though the assimilation principle was claimed to stand for ethnic indiscrimination officially. Thus, the absurdity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stemmed from the contradic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itself, which was so violent to Koreans as well as illogic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丸山眞男,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한길사 1997

      2 宮田節子, "조선민중과 ‘황민화’ 정책" 일조각 1997

      3 서기재, "일본 근대의 ‘수양’이라는 <장치>와 조선총독부 <실업학교수신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65-286, 2006

      4 尹建次, "일본 : 그 국가, 민족, 국민" 일월서각 1997

      5 인고구십년사 편찬위원회, "인고구십년사" 1985

      6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6 (16): 145-174, 2015

      7 김순전, "보통학교국어독본(번역본)" 제이앤씨 2009

      8 "동아일보"

      9 김우봉, "근대 일본의 국민적 모범인물상 창출과정 :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의 모범인물화" 전남대학교 2008

      10 김종식, "공민교육을 통한 근대 일본 국민상의 모색 ― 1924년 실업보습학교의 「공민과」 성립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14) : 225-258, 2011

      1 丸山眞男,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한길사 1997

      2 宮田節子, "조선민중과 ‘황민화’ 정책" 일조각 1997

      3 서기재, "일본 근대의 ‘수양’이라는 <장치>와 조선총독부 <실업학교수신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65-286, 2006

      4 尹建次, "일본 : 그 국가, 민족, 국민" 일월서각 1997

      5 인고구십년사 편찬위원회, "인고구십년사" 1985

      6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6 (16): 145-174, 2015

      7 김순전, "보통학교국어독본(번역본)" 제이앤씨 2009

      8 "동아일보"

      9 김우봉, "근대 일본의 국민적 모범인물상 창출과정 :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의 모범인물화" 전남대학교 2008

      10 김종식, "공민교육을 통한 근대 일본 국민상의 모색 ― 1924년 실업보습학교의 「공민과」 성립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14) : 225-258, 2011

      11 朝鮮總督府, "高等普通學校修身書卷1〜5(1923, 1924)"

      12 朝鮮總督府, "高等國語讀本卷1〜8(1912〜1914)"

      13 朝鮮總督府, "認可敎科用圖書一覽(1932, 1933)"

      14 朝鮮總督府, "現行敎科書編纂の方針"

      15 鎌塚扶, "現今敎育の弊を敍し其の改善點に論及す" 朝鮮敎育會 1931

      16 古澤常次, "本校公民科指導精神と其の取扱方" 朝鮮敎育會 1933

      17 朝鮮總督府, "本府發行敎科敎科用圖書一覽(1937,1939)"

      18 "朝鮮諸學校一覽"

      19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編纂敎科用圖書槪要"

      20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編纂敎科書槪要"

      21 "朝鮮總督府統計年報"

      22 "朝鮮總督府官報"

      23 松月秀雄, "朝鮮實業公民科提要上·下卷" 朝鮮印刷 1934

      24 鎌塚扶, "朝鮮に於ける公民科要目に就て" 朝鮮敎育會 1933

      25 김순전, "普通學校國語讀本(原文)" 제이앤씨 2010

      26 馬居政幸, "日本における公民敎育の成立と展開"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1 : 1995

      27 朝鮮總督府, "旣認可敎科用圖書一覽"

      28 湯原元一, "新制實業修身教本: 教授参考書" 東京開成館 1928

      29 湯原元一, "新制實業修身教本: 敎授參考書" 東京開成館 1925

      30 湯原元一, "新制實業修身教本" 東京開成館 1922

      31 松月秀雄, "敎科目としての公民科" 朝鮮初等敎育硏究會 1933

      32 朝鮮總督府, "敎科用圖書一覽(1912, 1915)"

      33 大山諹一, "我校に於ける公民科敎授細目" 朝鮮敎育會 1932

      34 朝鮮總督府, "實業學校國語讀本卷1〜3(1918, 1920)"

      35 竹內泰宗, "國家主義に立脚せる公民敎育" 朝鮮初等敎育硏究會 1933

      36 大瀬甚太郎, "公民科教本教授資料卷上·下" 東京開成館 1932

      37 大瀬甚太郎, "公民科教本教授資料卷上, 下" 東京開成館 1932

      38 中村止戈男, "修身科及公民科の指導原理" 朝鮮敎育會 1933

      39 朝鮮總督府, "中等公民(1942, 1943)"

      40 世界敎育史硏究會, "世界敎育史大系24: 中等敎育史Ⅰ" 講談社 1974

      41 김종식, "1930년 전후 중학교 공민과의 정치교육 성립과정-중의원의원선거혁정심의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35) : 105-126, 2012

      42 김순전, "(조선총독부)초등학교 수신서" 제이앤씨 2005

      43 朝鮮總督府, "(高等普通學校)修身敎科書卷1〜4(1918〜1922)"

      44 八束周吉, "(朝鮮)公民敎科書上·下卷" 帝國地方行政學會朝鮮本部 1931

      45 朝鮮總督府, "(中等敎育)女子公民科敎科書(1934, 1938)"

      46 朝鮮總督府, "(中等敎育)公民科敎科書(1934, 193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