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및 한·중 간의 영유권 갈등에서 지방정부의 역할과 활용방안 = Role of Local Government and its Application on Foreign Policies in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8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cerning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Japan and China tend to rely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ies. Although a territorial dispute is related to sovereignty and diplomacy of a central government, there are new non governmental actors such as the journalism, civil societies, and local governments.
      Despite the dedicated efforts by South Korean governments, it is hard to consider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an efficient policy approach to reinforce its effective occupation on Ieo-Do and Dok-Do as well. On the contrary to South Korean case, Japan and China has utilized their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with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take an effective measurement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on territorial sovereignty.
      This research will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Ieo-Do with Pursianinen’s model for the local government as an instrument of a rational state.
      번역하기

      Concerning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Japan and China tend to rely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ies. Although a territorial dispute is related to sovereignty and diplomacy of a central government, there are new non governme...

      Concerning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Japan and China tend to rely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ies. Although a territorial dispute is related to sovereignty and diplomacy of a central government, there are new non governmental actors such as the journalism, civil societies, and local governments.
      Despite the dedicated efforts by South Korean governments, it is hard to consider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an efficient policy approach to reinforce its effective occupation on Ieo-Do and Dok-Do as well. On the contrary to South Korean case, Japan and China has utilized their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with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take an effective measurement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on territorial sovereignty.
      This research will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Ieo-Do with Pursianinen’s model for the local government as an instrument of a rational st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일본과 중국의 지방정부의 역할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전개되는 영유권 분쟁에 있어서 주권과 외교에 관련한 사안이니 만큼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언론, 시민단체,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것도 현재의 추세이다.
      영유권문제와 관련한 한국 중앙정부의 ‘조용한 외교’ 전략은 국익을 확대하고 보전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에 반해 일본과 중국은 지방정부의 역할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중앙정부가 직접 표명하기 어려운 정책적 대안을 표명하거나 중앙정부가 직접 수행하기는 어렵지만 영토주권 확보에 유리한 정책수단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고도의 정치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영유권 분쟁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부여하는 푸시아니넨 (Pursianinen)의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도와 이어도 문제에 대해 한국정부의 정책방안을 다양화하도록 제안한다.
      번역하기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일본과 중국의 지방정부의 역할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전개되는 영유권 분쟁에 있어서 주권과 외교에 관련한 사안이니 만큼 중앙정...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일본과 중국의 지방정부의 역할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전개되는 영유권 분쟁에 있어서 주권과 외교에 관련한 사안이니 만큼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언론, 시민단체,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것도 현재의 추세이다.
      영유권문제와 관련한 한국 중앙정부의 ‘조용한 외교’ 전략은 국익을 확대하고 보전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에 반해 일본과 중국은 지방정부의 역할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중앙정부가 직접 표명하기 어려운 정책적 대안을 표명하거나 중앙정부가 직접 수행하기는 어렵지만 영토주권 확보에 유리한 정책수단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고도의 정치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영유권 분쟁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부여하는 푸시아니넨 (Pursianinen)의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도와 이어도 문제에 대해 한국정부의 정책방안을 다양화하도록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학, "해양영토분쟁과 독도영유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17-241, 2010

      2 이하나,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332-347, 2011

      3 이성우, "한일관계에 있어서 협력과 분쟁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일본학회 0 (0): 525-538, 2006

      4 박선미,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 - 우리나라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3-36, 2010

      5 "중앙일보"

      6 "중국해양신식망(중국 국가해양국 공식 인터넷 사이트)"

      7 서상문, "중국의 해양작전권 안에 들어간 이어도, 우리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2012

      8 최운도, "일본의 독도 영유권주장에 있어서의 전략 분석" 현대일본학회 (40) : 323-349, 2014

      9 고충석, "이어도에 대한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과 대응 필요성: 중국의 언론보도 (2006-2008) 내용분석" 16 (16): 2013

      10 김태영, "이어도 및 해양과학기지의 법적 지위" 과학기술법연구원 18 (18): 37-86, 2012

      1 최병학, "해양영토분쟁과 독도영유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17-241, 2010

      2 이하나,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332-347, 2011

      3 이성우, "한일관계에 있어서 협력과 분쟁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일본학회 0 (0): 525-538, 2006

      4 박선미,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 - 우리나라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3-36, 2010

      5 "중앙일보"

      6 "중국해양신식망(중국 국가해양국 공식 인터넷 사이트)"

      7 서상문, "중국의 해양작전권 안에 들어간 이어도, 우리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2012

      8 최운도, "일본의 독도 영유권주장에 있어서의 전략 분석" 현대일본학회 (40) : 323-349, 2014

      9 고충석, "이어도에 대한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과 대응 필요성: 중국의 언론보도 (2006-2008) 내용분석" 16 (16): 2013

      10 김태영, "이어도 및 해양과학기지의 법적 지위" 과학기술법연구원 18 (18): 37-86, 2012

      11 고성윤, "이어도 문제의 핵심 쟁점 분석 및 대응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1492) : 2013

      12 주민욱, "이어도 논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한국의 대응방안 연구 - 중국어 자료에 나타난 주요쟁점들을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52) : 329-362, 2016

      13 김종연, "외국의 해외지명 결정 관련 조직 현황에 대한 연구- 영토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387-398, 2008

      14 이성우, "영토분쟁의 과학적 이해와 이성적 대응" 2014

      15 김재은, "영토로서 지속가능한 섬과 해양관련 정책" 도서문화연구원 (41) : 305-327, 2013

      16 김종남, "영토 수호를 위한 독도교육의 방향 연구" 31 (31): 2013

      17 김민정, "영토 교육에 관한 지리교과서의 비교 연구" (30) : 2013

      18 "연합뉴스"

      19 "스포츠경향"

      20 정철호, "미‘재균형 정책’의 딜레마와 한국안보전략 대응방향" 2014

      21 제성훈, "러시아 대외정책 결정 및 수행과정에서 지방의 역할: 남쿠 릴열도 영유권 논쟁 사례를 중심으로" 9 (9): 2016

      22 손기섭, "동북아 해양영토분쟁의 현재화 분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4 (34): 317-346, 2013

      23 최홍배,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 32 (32): 321-350, 2010

      24 정갑용,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권원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 2005

      25 김태기, "독도분쟁의 쟁점과 전망; 독도분쟁과 한국의 국가 전략" 4 (4): 2006

      26 고봉준, "독도․이어도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복합 대응"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89-214, 2013

      27 "대구일보"

      28 "뉴시스"

      29 "뉴스천지"

      30 "‘이어도’ 편"

      31 Pursiainen, Christer, "Russian Regions and Regionalism" Routledge 2003

      32 Mochizuki, Takashi, "Japan Plans to Buy Islands in Dispute" The Wall Street Journal

      33 Schuman, H. Michael, "Dateline Main Street: Courts versus Local Foreign Policies" (86) : 1992

      34 Newman, David., "Boundaries, Territory and Post-modernity" Frank Ca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3 0.60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