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매미과(科) 노랫소리가 청소년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icadas' Song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69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icadas' song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in adolescents. As a basic coulee, the experiment to set up 'Acceptable & Unacceptable' was performed. As a further coulee, five kinds of the cicadas' songs heard frequently were analyzed and adjectives expressing the feeling to cicadas' songs were factor-analyzed,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auditory sensations were analyz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Cryptotympana atrata's song, the Meimuna opalifera's song and the traffic noise are similar in the degree of disturbing the meditation but they are less disturbing than the white noise. The experiment for adjectives expressing was performed, because it is possible that cicadas' songs affect adolescents as a noise. Cicadas' songs can be expressed with three kinds of factors. First factor is [Annoyance], second factor is [Strength] and third factor is [Rhythm]. The first factor dominates in the songs of the Cryptotympana atrata and the Platypleura kaempferi who generate steady sound, and the third factor dominates in the songs of the Meimuna opalifera, the Leptosemia takanonis and the Oncotympana fuscata who generate fluctuating sounds. The loudness of sound didn't affect on the third factor but the emotional values of the fist and the second factors ar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loudnes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factor associated with noise showed that the annoyance of adolescents is increased in the order of white noise - the Platypleura kaempferi - the Cryptotympana atrata, if the loudness of sounds are generated equally.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icadas' song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in adolescents. As a basic coulee, the experiment to set up 'Acceptable & Unacceptable' was performed. As a further coulee, five kinds of the ci...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icadas' song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in adolescents. As a basic coulee, the experiment to set up 'Acceptable & Unacceptable' was performed. As a further coulee, five kinds of the cicadas' songs heard frequently were analyzed and adjectives expressing the feeling to cicadas' songs were factor-analyzed,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auditory sensations were analyz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Cryptotympana atrata's song, the Meimuna opalifera's song and the traffic noise are similar in the degree of disturbing the meditation but they are less disturbing than the white noise. The experiment for adjectives expressing was performed, because it is possible that cicadas' songs affect adolescents as a noise. Cicadas' songs can be expressed with three kinds of factors. First factor is [Annoyance], second factor is [Strength] and third factor is [Rhythm]. The first factor dominates in the songs of the Cryptotympana atrata and the Platypleura kaempferi who generate steady sound, and the third factor dominates in the songs of the Meimuna opalifera, the Leptosemia takanonis and the Oncotympana fuscata who generate fluctuating sounds. The loudness of sound didn't affect on the third factor but the emotional values of the fist and the second factors ar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loudnes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factor associated with noise showed that the annoyance of adolescents is increased in the order of white noise - the Platypleura kaempferi - the Cryptotympana atrata, if the loudness of sounds are generated equ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매미의 노랫소리가 청소년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초 과정으로 상하한치 설정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심화 과정으로 흔히 듣는 5종의 매미 노랫소리에 대한 느낌이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화되었고, 청감실험을 통해 나타난 심리적 반응이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상하한치 설정 실험에서는 말매미와 애매미의 노랫소리, 도로교통소음이 명상을 방해하는 정도는 서로 비슷하나, 백색소음보다는 덜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미 노랫소리가 청소년들에게 소음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형용사 유형화 실험이 수행되었다. 매미 노랫소리는 3가지 요인에 의해 표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1요인은 [불쾌감]이며 제 2요인은 [강렬함]이고 제 3요인은 [리듬감]이다. 정상음을 내는 말매미와 털매미의 노랫소리는 제 1요인이, 변동음을 내는 애매미, 소요산매미, 참매미의 노랫소리는 제 3요인이 가장 크게 지배하였다. 소리의 크기에 대해 제 3요인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제 1, 2요인의 감성값은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알았다. 소음과 관련하여 제 1요인을 분석한 결과, 같은 크기의 소리일 때 불쾌감은 백색소음 - 애매미 - 말매미 순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매미의 노랫소리가 청소년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초 과정으로 상하한치 설정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심화 과정으로 흔히 듣는 5종의 매미...

      본 연구는 매미의 노랫소리가 청소년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초 과정으로 상하한치 설정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심화 과정으로 흔히 듣는 5종의 매미 노랫소리에 대한 느낌이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화되었고, 청감실험을 통해 나타난 심리적 반응이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상하한치 설정 실험에서는 말매미와 애매미의 노랫소리, 도로교통소음이 명상을 방해하는 정도는 서로 비슷하나, 백색소음보다는 덜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미 노랫소리가 청소년들에게 소음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형용사 유형화 실험이 수행되었다. 매미 노랫소리는 3가지 요인에 의해 표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1요인은 [불쾌감]이며 제 2요인은 [강렬함]이고 제 3요인은 [리듬감]이다. 정상음을 내는 말매미와 털매미의 노랫소리는 제 1요인이, 변동음을 내는 애매미, 소요산매미, 참매미의 노랫소리는 제 3요인이 가장 크게 지배하였다. 소리의 크기에 대해 제 3요인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제 1, 2요인의 감성값은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알았다. 소음과 관련하여 제 1요인을 분석한 결과, 같은 크기의 소리일 때 불쾌감은 백색소음 - 애매미 - 말매미 순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당 음향성능 평가를 위한 어휘조사 및 주관적 반응"

      2 "생활공간 음 환경의 감성 평가 및 관련 DB 개발 과학기술부 특정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3-,

      3 "생활 공간음 환경의 감성 평가 지표 개발" 121 19-126,

      4 "매미의 울음소리에 관하여" 4 : 5-8, 2003

      5 "매미의 소음과 그 해결 방안은?" 2 : 1-4, 2001

      6 "매미박사 이영준의 우리 매미 탐구" 지오북 44-93, 205

      7 "말매미의 진동막 비대칭 운동 및 복부에서의 공명 조건" 26 (26): 2007

      1 "성당 음향성능 평가를 위한 어휘조사 및 주관적 반응"

      2 "생활공간 음 환경의 감성 평가 및 관련 DB 개발 과학기술부 특정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3-,

      3 "생활 공간음 환경의 감성 평가 지표 개발" 121 19-126,

      4 "매미의 울음소리에 관하여" 4 : 5-8, 2003

      5 "매미의 소음과 그 해결 방안은?" 2 : 1-4, 2001

      6 "매미박사 이영준의 우리 매미 탐구" 지오북 44-93, 205

      7 "말매미의 진동막 비대칭 운동 및 복부에서의 공명 조건" 26 (26):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8 0.39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