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영구임대아파트 리모델링을 통한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계획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0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cause most of permanent rental housings in Korea were constructed more than 20 years ago, they are actually in need of renovation. Also high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are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who are fragile in the social, financial...

      Because most of permanent rental housings in Korea were constructed more than 20 years ago, they are actually in need of renovation. Also high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are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who are fragile in the social, financial, and physical aspect. It is inconvenient and dangerous for them to continuously live in such a deteriorated environment. But they want to live as long as possible in their old residences until they are severely ill or they die. Introducing communal living home for the aged into these existing permanent rental housings will be a way to provide Aging in Place to these seniors. This study has surveyed related laws, previous studies and advanced cases in foreign countries to propose a type of communal living homes for the aged in permanent rental housing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communal living home for the aged with a concrete plan on roof top and the first floor of a representative permanent rental housing block. From this study, we tries to relieve 3 major problems of seniors such as alienation, poverty, and disease. This can be an option for realizing Aging in Place by residing seniors within the existing complex and forming sustainabl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리모델링을 위한 대상지 선정 및 현황분석
      • 4.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계획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리모델링을 위한 대상지 선정 및 현황분석
      • 4.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계획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택관리공단 수원우만3아파트 페이지"

      2 "우만종합사회복지관"

      3 김효정,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을 위한 노인공동생활주거 도입방안 연구" 4 (4): 3-6, 2013

      4 김효정,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고령자의 단위세대 개선요구 조사 연구 - 수원시 우만 주공 3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9 (19): 51-59, 2013

      5 이혜진, "독거노인을 위한 코하우징의 주거평면특징에 관한연구" 33 (33): 51-51, 2013

      6 김은미, "도심 노인전용주거를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방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박인숙, "노후 영구임대주택단지의 리모델링을 위한 옥외공간 재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중계1단지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223-230, 2011

      8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동 및 복지서비스 공급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263-270, 2012

      9 이재훈, "노인용 코하우징을 위한 영구임대아파트 리모델링계획안" 25 (25): 107-107, 2013

      10 최재필, "공공임대주택의 평면확장 리모델링 계획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3-10, 2009

      1 "주택관리공단 수원우만3아파트 페이지"

      2 "우만종합사회복지관"

      3 김효정, "영구임대주택 리모델링을 위한 노인공동생활주거 도입방안 연구" 4 (4): 3-6, 2013

      4 김효정,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고령자의 단위세대 개선요구 조사 연구 - 수원시 우만 주공 3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9 (19): 51-59, 2013

      5 이혜진, "독거노인을 위한 코하우징의 주거평면특징에 관한연구" 33 (33): 51-51, 2013

      6 김은미, "도심 노인전용주거를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방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박인숙, "노후 영구임대주택단지의 리모델링을 위한 옥외공간 재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중계1단지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223-230, 2011

      8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동 및 복지서비스 공급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263-270, 2012

      9 이재훈, "노인용 코하우징을 위한 영구임대아파트 리모델링계획안" 25 (25): 107-107, 2013

      10 최재필, "공공임대주택의 평면확장 리모델링 계획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3-10, 2009

      11 서울시복지재단 노인정책센터, "고령친화도시 기반조성" 2-2, 2011

      12 김현진, "고령자용 소규모 그룹홈의 생활환경 실태" 한국주거학회 19 (19): 21-29, 2008

      13 Victor A. Regnier, "Assisted living housing for the elderly" John Wiley & Sons 161-165, 1994

      14 보건복지부, "2013 노인복지시설현황" 2013

      15 통계청, "2010 인구총조사 사회조사부문"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