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한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비저장식 데이터 제공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n­storage data recording system and non­storage data providing method by smart QR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8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mart QR code recording system and a method of non­storage data delivery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data into a form of URL information by encrypting it and encoding the URL information into a QR code so that the QR code can be written and decrypted in a medium without storing the original dat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presented by the prior art study and the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is built on the online administration server. The data input signal matching secret code is stored in DB, the QR code generation command converts input data from the password DB to the password information combined into the subordinate locator of the admin server's domain name, URL code. Therefore, the smart QR method of data management (recording and providing) indicates that there are no limitations in the ease and space of use or obstacles to capacity u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mart QR code recording system and a method of non­storage data delivery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data into a form of URL information by encrypting it and encoding the URL information into a QR code so 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mart QR code recording system and a method of non­storage data delivery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data into a form of URL information by encrypting it and encoding the URL information into a QR code so that the QR code can be written and decrypted in a medium without storing the original dat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presented by the prior art study and the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is built on the online administration server. The data input signal matching secret code is stored in DB, the QR code generation command converts input data from the password DB to the password information combined into the subordinate locator of the admin server's domain name, URL code. Therefore, the smart QR method of data management (recording and providing) indicates that there are no limitations in the ease and space of use or obstacles to capacity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 형식으로 변형하고, URL정보를 QR코드로 인코딩함으로써 원 데이터의 저장없이 QR코드를 매개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한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비저장식 데이터 제공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기술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차별성을 두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으며 분석결과, 온라인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입력 신호별 매칭 암호가 저장된 암호DB, QR코드 생성 명령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암호DB에서 매칭되는 암호정보로 치환하여 관리서버 도메인네임의 하위 로케이터로 결합시킨 URL정보로 변환시키고, URL정보를 QR코드로 인코딩하는 코드 생성부, 그리고 URL접속신호 수신에 따라, URL정보를 입력데이터로 변환 제공하는 암호 해독부를 포함하는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마트한 QR방식의 데이터관리방식(기록과 제공)은 사용의 편리성과 공간의 제약이나 용량사용의 장애가 없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 형식으로 변형하고, URL정보를 QR코드로 인코딩함으로써 원 데이터의 저장없이 QR코드를 매개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독할 수 ...

      본 논문은 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 형식으로 변형하고, URL정보를 QR코드로 인코딩함으로써 원 데이터의 저장없이 QR코드를 매개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한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비저장식 데이터 제공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기술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차별성을 두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으며 분석결과, 온라인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입력 신호별 매칭 암호가 저장된 암호DB, QR코드 생성 명령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암호DB에서 매칭되는 암호정보로 치환하여 관리서버 도메인네임의 하위 로케이터로 결합시킨 URL정보로 변환시키고, URL정보를 QR코드로 인코딩하는 코드 생성부, 그리고 URL접속신호 수신에 따라, URL정보를 입력데이터로 변환 제공하는 암호 해독부를 포함하는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마트한 QR방식의 데이터관리방식(기록과 제공)은 사용의 편리성과 공간의 제약이나 용량사용의 장애가 없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남, "클라우드 환경에서 헬스케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암호화 기법"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63-69, 2018

      2 신동희, "인터랙티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QR코드 이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6-86, 2013

      3 박지예, "웹 서비스를 위한 QR 코드 기반 상호 인증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9 (39): 207-215, 2014

      4 김응철, "스마트 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221-226, 2017

      5 강희라,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81-286, 2018

      6 이연경, "네 방향 스캔 방법을 이용한 QR코드 파인더 인식" 한국정보통신학회 16 (16): 1187-1192, 2012

      7 박소랑, "공간 빅데이터와 범죄통계자료를 이용한 범죄취약지 추출"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161-171, 2018

      8 J. S. Kim, "Usability Study of QR Code Scanning Function using Smartphone Camera" 1037-1040, 2013

      9 J. K. Jeo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data using the URL"

      10 이미숙, "QR코드를 이용한 종이지도의 활용도 증대방안 연구 - 종이지도용 QR코드 사용의사 및 정보제공 수요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77-90, 2012

      1 조성남, "클라우드 환경에서 헬스케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암호화 기법"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63-69, 2018

      2 신동희, "인터랙티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QR코드 이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6-86, 2013

      3 박지예, "웹 서비스를 위한 QR 코드 기반 상호 인증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9 (39): 207-215, 2014

      4 김응철, "스마트 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221-226, 2017

      5 강희라,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81-286, 2018

      6 이연경, "네 방향 스캔 방법을 이용한 QR코드 파인더 인식" 한국정보통신학회 16 (16): 1187-1192, 2012

      7 박소랑, "공간 빅데이터와 범죄통계자료를 이용한 범죄취약지 추출"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161-171, 2018

      8 J. S. Kim, "Usability Study of QR Code Scanning Function using Smartphone Camera" 1037-1040, 2013

      9 J. K. Jeo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data using the URL"

      10 이미숙, "QR코드를 이용한 종이지도의 활용도 증대방안 연구 - 종이지도용 QR코드 사용의사 및 정보제공 수요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77-90, 2012

      11 이정현, "QR 코드와 지문인식을 이용한 고령 환자의 응급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135-141, 2017

      12 W. K. Lee, "Product showing QR code, and sales method of QR cod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13 E. Y. Oh, "Nonstorage data recording system and nonstorage data providing method by QR code"

      14 M. K. Kim, "Information transferring system by QR code and information supplying method by bluetooth transter of QR code"

      15 S. J. Lee, "Inform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for QR code combined with global object identifi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융합정보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