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진호, "한국교육에 있어서 탈교과서주의적 경향성 분석" 16 (16): 245-276, 1998
2 김세영,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으로 본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특성"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0 (10): 91-117, 2016
3 박선미,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51-267, 2010
4 김영석,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13, 2007
5 설규주,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69-291, 2012
6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7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8 김왕근, "교과서의 발전방향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중심으로-" 40 : 27-32, 2002
9 김만곤,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 :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상 연구를 위한 제언" 33 : 309-331, 2000
10 이화성, "교과서 다양성 구현, 현실과 개선 방안" 교육과정 평가원 199-201, 2010
1 고진호, "한국교육에 있어서 탈교과서주의적 경향성 분석" 16 (16): 245-276, 1998
2 김세영,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으로 본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특성"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0 (10): 91-117, 2016
3 박선미,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51-267, 2010
4 김영석,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13, 2007
5 설규주,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69-291, 2012
6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7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8 김왕근, "교과서의 발전방향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중심으로-" 40 : 27-32, 2002
9 김만곤,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 :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상 연구를 위한 제언" 33 : 309-331, 2000
10 이화성, "교과서 다양성 구현, 현실과 개선 방안" 교육과정 평가원 199-201, 2010
11 이정우,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른 교과서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9-185, 2010
12 Newmann, F. M., "Can Depth Replace coverage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69 (69): 345-348, 1988
13 박은아, "<통합사회>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연수 요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53-78, 2018
1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15 김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내재된 ‘통합’의 의미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0) : 55-83, 2016
16 옥일남,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49-7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