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단계Ⅰ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들에 관한 철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7076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단계Ⅰ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들에 관한 철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단계Ⅰ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들에 관한 철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할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Ⅱ에서는 개발한 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이 높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부모-자녀 간 애착,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단계 Ⅰ: 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 개발 및 탐색적 요인분석>
먼저 아동발달 및 임상심리 이론들과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아동기 심리적 안녕의 개념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측정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분석한 후, 아동 임상 및 발달심리 전문가 2인과 내용타당도를 검토할 것이다. 내용타당도 검토 과정을 거쳐 몇 개의 하위 차원과 영역으로 구성된 문항시안을 구성할 것이다.
본 조사에 앞서, 본 연구의 대상 중 하한연령인 만 9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절한지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아동들로 하여금 질문지에 응답하게 한 후,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표현이 모호한 문항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 아동들의 반응을 기록할 것이다. 문항-총점 간 상관(item-total correlation) 결과와 문항이해와 관련한 아동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각 문항을 적절하게 수정할 것이다. 수정된 문항들을 전문가 2인과 더불어 다시 한번 내용타당도를 검토한 후, 최종적인 본 조사 질문지를 작성할 것이다.
본 조사는 만 9-12세, 즉 초등학교 3-6학년 남녀 아동 학년별 약 80명씩 총3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할 것이다. 질문지는 응답자들이 각 문항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고 중간값에 표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점 척도로 제작할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에 의해 내적 일치도를 산출할 것이며,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고 그 하위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an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요인분석을 통해 묶여진 각 요인들이 동질적인 문항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할 예정이다.
<단계 Ⅱ: 확인적 요인분석 및 집단간 비교>
초등학교 3-6학년, 학년별 약 80명씩 총 320명 및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연구에 사용될 도구는 다음과 같다. 아동용 질문지로는, 단계Ⅰ에서 개발된 '한국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와 부모 및 또래에 대한 애착 척도 개정판(IPPA-R; Armsden, McCauley, Greenberg, Burke, & Mitchell, 1991) 중 부모에 대한 애착척도가 사용될 것이다. 부모용 질문지로는,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와 결혼만족도 질문지(K-MSI; 권정혜․채규만, 1999),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질문지(Crnic & Greenberg, 1990), 가족 상호작용 유형 질문지(Olson, Portner, Lavee, 1985)가 사용될 것이다.
본 조사에 앞서 서울 시내 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본 연구의 대상 중 하한 연령인 만 9세에 적합하도록 질문지 문항의 표현과 분량을 수정할 예정이다. 본 조사는 서울 시내 2개구 소재 초등학교 2곳에서 3-6학년 학년별 각 한 학급씩 총 8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자가 담임교사의 도움을 얻어 각 학급에서 직접 배부․실시할 것이며, 부모 질문지는 아동을 통해 집으로 보내어 추후 회수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Ⅰ에서 개발한 한국아동의 심리적 안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사의 AMOS Program을 이용할 것이다. AMOS는 Analysis of MOment Structure의 약자로 구조 방정식 모형과 경로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아동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구조모형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기 심리적 안녕에 대한 영향요인들로서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부모 양육스트레스, 가족간 상호작용유형, 가족의 SES 등의 각 변인들이 아동기 심리적 안녕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안녕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아동집단(상위 25%)과 낮은 점수를 획득한 아동집단(하위 25%), 그리고 인구학적 조사에서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안녕척도 점수를 획득한 아동집단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