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교육관에 관한 고찰 - 일본 근대 교육의 태동으로서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 =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 of Kaibara Ekiken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s an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in Japa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9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view of Kaibara Ekiken, one of confucian scholars in edo period and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educational history as an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focusing the "Wazoku dojikun". “Wazoku dojikun”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comprehensive education book in Japan, and it can be said to be an educational book that present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not an approach from the educational thought aspect.
      The Kaibara Ekiken essentially regards humanity equally, and recognizes the dignity of humanity. His purpose of education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who are all kinds of spirits. Volume 3 of "Wazoku dojikun" presents a universal teaching method tailored to the child's growth process. In addition, as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group that emphasizes useful science of Kaibara Ekiken is well shown. The view of the education of the shellfish origin that appears in
      Kaibara Ekike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ey words: equality, universality, and practic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view of Kaibara Ekiken, one of confucian scholars in edo period and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educational history as an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focusing the "Wazoku dojikun". “Wazok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view of Kaibara Ekiken, one of confucian scholars in edo period and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educational history as an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focusing the "Wazoku dojikun". “Wazoku dojikun”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comprehensive education book in Japan, and it can be said to be an educational book that present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not an approach from the educational thought aspect.
      The Kaibara Ekiken essentially regards humanity equally, and recognizes the dignity of humanity. His purpose of education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who are all kinds of spirits. Volume 3 of "Wazoku dojikun" presents a universal teaching method tailored to the child's growth process. In addition, as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group that emphasizes useful science of Kaibara Ekiken is well shown. The view of the education of the shellfish origin that appears in
      Kaibara Ekike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ey words: equality, universality, and practic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근세 대표적 유학자 중 하나인 가이바라 에키켄의 『와조쿠 도지쿤』을 대상으로 에키켄의 교육관을 살펴보고 근대 교육관의 태동으로서의 교육사적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와조쿠 도지쿤』은 일본 최초의 종합 교육서로서 교육에 대한 사상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라기보다는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 교육서이다.
      에키켄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평등시하고 인간성의 존엄을 인정하고 있으며, 그가 생각하는 교육의 목적은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서 존재의 의의를 찾는 것이었다. 『와조쿠 도지쿤』의 권3에는 아동의 성장 과정에 맞춘 보편적인 교육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교육해야 할 내용과 관련해서는 자신과 타인에게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에키켄의 유용지학을 중시하는 학문관이 잘 드러나 있다. 『와조쿠 도지쿤』에서 엿볼 수 있는 에키켄의 교육관은 평등성, 보편성, 실용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근세 대표적 유학자 중 하나인 가이바라 에키켄의 『와조쿠 도지쿤』을 대상으로 에키켄의 교육관을 살펴보고 근대 교육관의 태동으로서의 교육사적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

      본고는 근세 대표적 유학자 중 하나인 가이바라 에키켄의 『와조쿠 도지쿤』을 대상으로 에키켄의 교육관을 살펴보고 근대 교육관의 태동으로서의 교육사적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와조쿠 도지쿤』은 일본 최초의 종합 교육서로서 교육에 대한 사상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라기보다는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 교육서이다.
      에키켄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평등시하고 인간성의 존엄을 인정하고 있으며, 그가 생각하는 교육의 목적은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서 존재의 의의를 찾는 것이었다. 『와조쿠 도지쿤』의 권3에는 아동의 성장 과정에 맞춘 보편적인 교육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교육해야 할 내용과 관련해서는 자신과 타인에게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에키켄의 유용지학을 중시하는 학문관이 잘 드러나 있다. 『와조쿠 도지쿤』에서 엿볼 수 있는 에키켄의 교육관은 평등성, 보편성, 실용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辻本雅史, "「学び」の復権一模倣と習熟" 角川書店 1999

      2 빌헬름 딜타이, "딜타이 교육학 선집" 지만지 2018

      3 梅村佳代, "近世民衆の手習いと往来物" 梓出版社 2002

      4 杉本勲, "近世日本の學術: 實學の展開を中心に" 法政大学出版局 1982

      5 杉本勲, "近世実学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62

      6 木村政伸, "近世地域教育史の研究" 思文閣出版 2006

      7 横山俊夫, "貝原益軒一天地和楽の文明学" 平凡社 1995

      8 江森一郎, "貝原益軒の教育観-学習法的教育観" 45 (45): 24-33, 1978

      9 土山忠, "貝原益軒の保育観(二)" 68 (68): 59-, 1969

      10 山中芳和, "貝原益軒における「民生日用」に資する学問と教育論の展開(1) -格物窮理の工夫と有用の学-" 136 (136): 124-, 2007

      1 辻本雅史, "「学び」の復権一模倣と習熟" 角川書店 1999

      2 빌헬름 딜타이, "딜타이 교육학 선집" 지만지 2018

      3 梅村佳代, "近世民衆の手習いと往来物" 梓出版社 2002

      4 杉本勲, "近世日本の學術: 實學の展開を中心に" 法政大学出版局 1982

      5 杉本勲, "近世実学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62

      6 木村政伸, "近世地域教育史の研究" 思文閣出版 2006

      7 横山俊夫, "貝原益軒一天地和楽の文明学" 平凡社 1995

      8 江森一郎, "貝原益軒の教育観-学習法的教育観" 45 (45): 24-33, 1978

      9 土山忠, "貝原益軒の保育観(二)" 68 (68): 59-, 1969

      10 山中芳和, "貝原益軒における「民生日用」に資する学問と教育論の展開(1) -格物窮理の工夫と有用の学-" 136 (136): 124-, 2007

      11 外山福男, "藩学寺子屋教育と現代教育" 帝国地方行政学会 1933

      12 添田晴雄, "菅原伝授手習鑑" 和泉書院 2009

      13 島田徹心, "益軒養生訓の現代性" 人文書院 1931

      14 貝原益軒, "益軒全集 巻之三" 益軒全集刊行會 1910

      15 貝原益軒, "益軒全集 巻之七" 益軒全集刊行會 1910

      16 貝原益軒, "益軒全集 巻之一" 益軒全集刊行會 1910

      17 三宅米吉, "益軒ノ教育法" 金港堂 1889

      18 倉地克直, "江戸文化をよむ" 吉川弘文館 2006

      19 春山作樹, "日本教育史論" 国土社 1979

      20 山本正身, "日本教育史:教育の「今」を歴史から考える"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4

      21 尾形裕康, "日本敎育史" 敎育出版社 1995

      22 子安宣邦, "日本思想史辞典" ぺりかん社 2001

      23 任夢渓, "文化交渉3" 関西大学大学院東アジア文化研究科 2014

      24 石川謙, "寺子屋―庶民教育機関" 至文堂 1960

      25 山住正己, "子育の書1" 平凡社 1976

      26 関口富左, "女子教育における裁縫の教育史的研究: 江戸時代における女子教育と裁縫習得の実態" 32 (32): 375-, 1981

      27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慶長見聞集」"

      28 江森一郎, "「勉強」時代の幕あけ子供と教師の近世史" 平凡社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98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