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가 우연한 사고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망령이 드러난 민낯임을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러한 논지를 전개하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7048
2016
-
세월호 ; 신자유주의 ; 경제정책 ; 권력 ; 경쟁원리 ; 신학의 과제 ; Sewol-Ferry disaster ; Neoliberalism ; economic politics ; political power ; principle of competetion ; task of theology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7-4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가 우연한 사고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망령이 드러난 민낯임을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러한 논지를 전개하기...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가 우연한 사고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망령이 드러난 민낯임을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러한 논지를 전개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바, 그 핵심은 신자유주의가 단순히 경제이념이나 경제원리가 아니라, 경제정책임을 밝히는데 있다. 세월호 참사는 신자유주의에 직면한 기독교 신학이 해야 할 일을 밝혀준다. 오늘날 고통과 눈물의 현장을 신학의 현장으로 이해하고, 그 고통과 눈물의 원인을 밝혀 하나님의 치유를 선포하는 것을 신학의 과제라고 이해한다면, 신자유주의의 문제는 신학이 외면할 수 없는 중심 주제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neoliberalism. The Sewol disaster 2014.4.16. reveals the nature of the neoliberalism which controls the whole society in Korea. Neoliberalism is not merely economic theory(ism), but the economic policy which ...
This thesis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neoliberalism. The Sewol disaster 2014.4.16. reveals the nature of the neoliberalism which controls the whole society in Korea. Neoliberalism is not merely economic theory(ism), but the economic policy which is initiated by government. The free market, deregulation, small government etc. are merely the propaganda of government to hide the brutal face of the neoliberalism. Instead of direct regulation neoliberalism uses the competitive strategy to control the society efficiently. Theology should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ety. If the main cause of the problems lies in the neoliberalism, we theologians should study and try to reform the unjust neoliberal system of contemporary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수사와 엘람: 이란 남서부의 국가형성의 지리·경제적 배경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횟수와 평가인증 유용성 평가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유아의 의사소통 및 개인-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어머니 양육스타일을 매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