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선형 파괴역학에 근거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보정계수식 제안 = Correction Factors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ased on Nonlinear Fracture Mechan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2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전의 연구에서, 표준형 및 비표준형 원주형 공시체의 크기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시한 바 있지만, 콘크리트 공시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도수준의 변화에 따른 파괴메카니즘의 차이를 함께 고려할 수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시체의 직경과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 및 콘크리트의 강도수준을 고려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및 통계적 해석을 수행하였고, 새로운 크기효과식에 사용되는 실험상수를 기존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큰크리트의 강도수준에 대한 함수로 정식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크기효과 모델식에 의해 구해진 강도보정계수는 다양한 크기 및 강도수준에 대하여 기존의 실험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전의 연구에서, 표준형 및 비표준형 원주형 공시체의 크기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시한 바 있지만, 콘크리트 공시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도수준의 변화에 ...

      이전의 연구에서, 표준형 및 비표준형 원주형 공시체의 크기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시한 바 있지만, 콘크리트 공시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도수준의 변화에 따른 파괴메카니즘의 차이를 함께 고려할 수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시체의 직경과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 및 콘크리트의 강도수준을 고려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및 통계적 해석을 수행하였고, 새로운 크기효과식에 사용되는 실험상수를 기존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큰크리트의 강도수준에 대한 함수로 정식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크기효과 모델식에 의해 구해진 강도보정계수는 다양한 크기 및 강도수준에 대하여 기존의 실험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revious paper, model equations that is to predict the size effect of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and non-standard cylindrical specimen was proposed. However, theses equations did not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fracturing mechanism which depends on bot geometry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
      In this paper, a model to predict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with respect to diameters, the height-to-diameter ratios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s of concrete, is proposed.
      For this purpoe, theoretical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xperimental constants used in the model of new size effect are formulated in terms of strength levels of concrete based on existing experimental data. The strength correction factors of concrete cylinder obtained from newly developed model of size effect proposed in this paper is in a good agreement with existing test data for various size of specimens and strength level of concrete.
      번역하기

      In previous paper, model equations that is to predict the size effect of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and non-standard cylindrical specimen was proposed. However, theses equations did not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fracturing mechanism which dep...

      In previous paper, model equations that is to predict the size effect of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and non-standard cylindrical specimen was proposed. However, theses equations did not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fracturing mechanism which depends on bot geometry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
      In this paper, a model to predict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with respect to diameters, the height-to-diameter ratios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s of concrete, is proposed.
      For this purpoe, theoretical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xperimental constants used in the model of new size effect are formulated in terms of strength levels of concrete based on existing experimental data. The strength correction factors of concrete cylinder obtained from newly developed model of size effect proposed in this paper is in a good agreement with existing test data for various size of specimens and strength level of concre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