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칭의론에 나타난 환대의 윤리 = The Ethics of the Other Implied in Paul’s Justification by Fai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2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바울의 칭의론에는 유대교의 율법과 로마제국의 법과 같은 기존법의 기능과 구조로는 하나님의 정의를 수행할 수 없다는 생각이 내재 되어 있다. 바울이 생각한 하나님의 정의(dikaiosyne theou)...

      바울의 칭의론에는 유대교의 율법과 로마제국의 법과 같은 기존법의 기능과 구조로는 하나님의 정의를 수행할 수 없다는 생각이 내재 되어 있다. 바울이 생각한 하나님의 정의(dikaiosyne theou)는 기존의 법체계를 해체하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유대율법에 의해 수용될 수 없는 이방인과 로마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없는 노예와 여성들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의(義)는, 무법적 정의(justice outside the law)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정의는 법을 준수한 댓가가 아니라, 법을 초월한 하나님의 선물(gift)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하나님의 정의는 자격 없는 인간들을 향한 무조건적 환대(unconditional hospitality)를 위한 윤리적 근간이다. 바울이 처음 칭의론을 언급하는 상황이, 바로 이러한 환대의 자리가 파괴된 안디옥 교회의 식탁교제라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갈 2:11-14). 이 때문에 이방인의 환대문제는 칭의론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환대의 윤리와 타자의 윤리를 강조한 데리다와 레비나스의 철학적 통찰은, 이방인에 대한 혐오와 배제를 부추기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윤리적 성찰을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lights of Derrida’s ethics of hospitality an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Levinas as well. New Perspectives on Paul pointed out that Paul’s J...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lights of Derrida’s ethics of hospitality an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Levinas as well. New Perspectives on Paul pointed out that Paul’s Justification could not be understood as a timeless answer to the plights and pains of the introspective conscience of the West. They agree that the justification was designed by Paul to defense the right of Gentile Christians who were a minority in Pauline ekklesia.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overlooked the anti-Roman propaganda implied in Paul’s justification. In recent years, some scholars such as Crossan, Horsely, and Wright have insisted that Paul’s gospel should be aimed against Roman imperial ideology. According to their argument, Paul proclaimed that the Roman Emperor is not lord and savior of all, because Jesus is. On basis of this insight, I try to examine the ethical meaning of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Derrida’s ethic of hospitality. My argument is that both Derrida and Paul are indispensable guides to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The central concern of the justification is with the question of justice that must be thought outside of the law on the basis of the gift of God. I suggest that Paul’s thinking about the righteousness of God outside of Mosaic law is clarified by reading Derrida on such themes as justice and law, gift and hospitali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Paul’s justification emerges shortly after saying to the Antioch accident. It shows that the table fellowship is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why Paul says the Justification.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God, Paul emphasizes unconditional hospitality to the Gentile Christians. According to Levinas, Messiah appears with a face of Others. Paul met the Christ in the form of the Other on the road to Damascus. In this respect, Paul’s ethical exhortation can be described as being driven by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s, who is emerged as the gentiles, slaves, and woman. I hope that the ethics of others of Levinas will give a new ethical insight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ethical problems which Korean society faces tod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크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2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바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3 마커스 J 보그,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 교연구소 2010

      4 슬라보이 지젝, "죽은 신을 위하여" 도서출판 길 2007

      5 리처드 호슬리, "제국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기독교연구소 2014

      6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7 알랭 바디우, "사도바울" 새물결 2008

      8 자크 데리다, "법의 힘" 문학과 지성사 2004

      9 도미니크 핀켈데, "바울의 정치적 종말론" 도서출판 B 2015

      10 야콥 타우베스, "바울의 정치신학" 그린비 2012

      1 자크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2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바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3 마커스 J 보그,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 교연구소 2010

      4 슬라보이 지젝, "죽은 신을 위하여" 도서출판 길 2007

      5 리처드 호슬리, "제국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기독교연구소 2014

      6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7 알랭 바디우, "사도바울" 새물결 2008

      8 자크 데리다, "법의 힘" 문학과 지성사 2004

      9 도미니크 핀켈데, "바울의 정치적 종말론" 도서출판 B 2015

      10 야콥 타우베스, "바울의 정치신학" 그린비 2012

      11 톰 라이트, "바울의 복음을 말하다" 에클레시아북스 2011

      12 서중석, "바울서신해석" 대한기독교서회 1998

      13 김성민, "바울과 현대철학" 새물결플러스 2018

      14 리차드 홀슬리, "바울과 로마제국"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15 김재성, "바울 새로 보기" 한국신학연구소 2000

      16 톰 라이트, "바울" 죠이선교회 2012

      17 테드 W. 제닝스, "무법적 정의: 바울의 메시아 정치" 도서출판 길 2018

      18 정승우, "로마서의 예수와 바울" 이레서원 2008

      19 박원빈, "레비나스와 기독교" 북코리아 2011

      20 테드 W. 제닝스, "데리다를 읽는다/바울을 생각한다" 그린비 2014

      21 조르조 아감벤, "남겨진 시간" 코나투스 2008

      22 스캇 맥나이트, "가이사의 나라, 예수의 나라" IVP 2017

      23 Levinas, Emmanuel, "Totality and infinity: An Essay on Exteriority, translated by Alphonso Lingis" Duquesne University Press 1969

      24 Georgi, Dieter, "Theocracy in Paul's Praxis and Theology" Augsburg Fortress 1991

      25 M. Reasoner, "The Strong and the Weak: Romans 14.1-15.13 in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6 Forman, Mark, "The Politics of Inheritance in Rom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7 Stanley, D. Christopher, "The Colonized Apostle: Paul Through Postcolonial Eyes" Fortress Press 2011

      28 Elliott, Neil, "The Arrogance of Nations: Reading Romans in the Shadow of Empire" Fortress Press 2008

      29 Badiou, Alain, "Saint Paul: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30 Odell-Scott, David W, "Reading Romans With Contemporary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T & T Clark International 2007

      31 Stegemann, Ekkehard, "Reading Paul in Context: Explorations in Identity Formation" T & T Clark 2010

      32 Sanders, E. P., "Paul,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Fortress Press 1983

      33 Watson, F., "Paul, Judaism and the Gentit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4 Harrison, James R., "Paul and the Imperial Authorities at Thessalonica and Rome" Mohr Siebeck 2011

      35 Horsley, Richard A., "Paul and Politics" Trinity Press 2000

      36 Sanders, E. P.,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ion of Patterns of Religion" SCM Press 1977

      37 Stendahl, K., "Paul Among Jews and Gentiles" SCM Press 1976

      38 Sanders, E. P., "Paul"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39 Dunn, J. D. F., "Jesus, Paul and the Law. Studies in Mark and Galatians" John Knox Press 1990

      40 Neyrey, J. H., "Christ Is Community" Michael Glazier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7 0.76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