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Gregorian Chant의 반복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Gregorian Ch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50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음악의 始初는 初期 기독교 聖歌(chant)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中에서도, 특히 그레고리안 챤트(Gregorian chant)는 現存하는 곡들의 量과 質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chant들을 능가한다.
      Gregorian chant의 구조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반복개념은 동일성과 다양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음악예술에서 동일성을 달성하는 중요한 技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本 論文은 「음악형식의 系譜」를 찾는 연구의 일환으로 Gregorian chant의 반복구조를 연구하고 이들을 정리하여 그 이후의 세속 노래들에서 보이는 반복구조의 근원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Grgorian chant의 반복구조들은 1) 章節型(strophic), 2) 론도型(rondo), 3) 韻律型(musical rhyme), 4) 2部分型, 5) 3部分型 및 6) 기타 반복으로 분류되어 Liber Usalis에서 택한 악보들을 토대로 고찰되었다.
      번역하기

      서양음악의 始初는 初期 기독교 聖歌(chant)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中에서도, 특히 그레고리안 챤트(Gregorian chant)는 現存하는 곡들의 量과 質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chant들을 능가한다. Gre...

      서양음악의 始初는 初期 기독교 聖歌(chant)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中에서도, 특히 그레고리안 챤트(Gregorian chant)는 現存하는 곡들의 量과 質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chant들을 능가한다.
      Gregorian chant의 구조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반복개념은 동일성과 다양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음악예술에서 동일성을 달성하는 중요한 技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本 論文은 「음악형식의 系譜」를 찾는 연구의 일환으로 Gregorian chant의 반복구조를 연구하고 이들을 정리하여 그 이후의 세속 노래들에서 보이는 반복구조의 근원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Grgorian chant의 반복구조들은 1) 章節型(strophic), 2) 론도型(rondo), 3) 韻律型(musical rhyme), 4) 2部分型, 5) 3部分型 및 6) 기타 반복으로 분류되어 Liber Usalis에서 택한 악보들을 토대로 고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rigin of the Western music is found in the plain chants of the early Christian era. Among the early plain chants, the Gregorian is the most important cha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structure of Gregorian chant shows many repetition. And the repet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in music which strives to achieve a harmony between unity and variety.
      As one of the series of a study pursuing "the genealogical tree of musical forms," this paper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repeat structures of the Gregorian chant. This will help to trace the source of the many repetitions appearing in secular songs of the middle ages.
      The repeat structures of the Gregorian chant is devided into 1) strophic, 2) rondo, 3) musical rhyme, 4) two-part, 5) three-part, and 6) others.
      The music used in this paper is selected from Liber Usalis Tournai: Desclee & Co., 1958(No. 800).



      번역하기

      The origin of the Western music is found in the plain chants of the early Christian era. Among the early plain chants, the Gregorian is the most important cha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structure of Gregorian chant shows many repetition...

      The origin of the Western music is found in the plain chants of the early Christian era. Among the early plain chants, the Gregorian is the most important cha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structure of Gregorian chant shows many repetition. And the repet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in music which strives to achieve a harmony between unity and variety.
      As one of the series of a study pursuing "the genealogical tree of musical forms," this paper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repeat structures of the Gregorian chant. This will help to trace the source of the many repetitions appearing in secular songs of the middle ages.
      The repeat structures of the Gregorian chant is devided into 1) strophic, 2) rondo, 3) musical rhyme, 4) two-part, 5) three-part, and 6) others.
      The music used in this paper is selected from Liber Usalis Tournai: Desclee & Co., 1958(No. 80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 Ⅱ. Gregorian Chant의 種類
      • A. 예배식 朗誦(Liturgical Recitative)
      • B. 시편 朗誦(Psalmody)
      • C. 미사의 일상부
      • Ⅰ. 序 論
      • Ⅱ. Gregorian Chant의 種類
      • A. 예배식 朗誦(Liturgical Recitative)
      • B. 시편 朗誦(Psalmody)
      • C. 미사의 일상부
      • D. 찬송가(Hymn)
      • Ⅲ. Gregorian Chant의 반복 구조
      • A. 章節型(Strophic)
      • B. 론도型(Rondo)
      • C. 韻律型(Musical Rhyme)
      • D. 二部分型
      • E. 三部分型
      • F. 기타 반복型
      • Ⅳ. 結 論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