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에 대한 논문을 학계 최초로 발표한 바 있는 고형진 교수가 백석 연구 이십오 년여 만에 펴낸 '정본' 백석 시집. 1935년부터 1948년까지 백석이 발표한 모든 작품을 검토해 백석 시의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9570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백석 시에 대한 논문을 학계 최초로 발표한 바 있는 고형진 교수가 백석 연구 이십오 년여 만에 펴낸 '정본' 백석 시집. 1935년부터 1948년까지 백석이 발표한 모든 작품을 검토해 백석 시의 정...
백석 시에 대한 논문을 학계 최초로 발표한 바 있는 고형진 교수가 백석 연구 이십오 년여 만에 펴낸 '정본' 백석 시집. 1935년부터 1948년까지 백석이 발표한 모든 작품을 검토해 백석 시의 정본을 확립하고, 발표 당시의 표기를 살린 원본을 별도로 수록하였다. 백석 시의 감상과 분석을 어렵게 하는 평안 방언과 조어를 상세히 풀이했으며, 그가 남긴 아름다운 토속어와 방언을 최대한 살려내고 있다.
백석 시에서는 방언과 고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언과 고어는 살리고 맞춤법 규정에 위배된 표기와 오ㆍ탈자를 자로잡은 정본이 요구되었다. 고형진 교수는 이 책을 엮으면서 백석 시 원본의 언어를 자세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백석 시의 올바른 감상에 도움을 줄 정본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원본의 배열은 작품의 발표 순서를 따랐으며, 정본은 시집 <사슴>을 중심으로 한 작품들을 1부로, 그후의 작품들을 2,3부로 나누어 엮었다.
책에 수록된 원본은 영인본이 아닌 실제 발표된 지면의 작품들을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 책의 크기에 맞춰 편집 행태만 조정했다. 백석의 유일한 시집인 <사슴>은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본을 참고했으며, 서로 표기가 다른 부분에는 설명을 붙였다. 또한, 백석 시의 낱말풀이는 선행 연구를 종합하고 관련 자료들을 폭넓게 참고해 그 성과를 반영했다. 부록으로 백석 시에 대한 해설, 원본의 언어에 대한 분석 및 정본 표기 원칙, 작품 및 각가 연보와 참고문헌 등을 수록했다. <양장제본>
(http://www.riss.kr.ca.skku.edu:8080/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281577eae2cd727dffe0bdc3ef48d419#redirect)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책머리에 = 5 일러두기 = 14 제1부 사슴 정주성(定州城) = 17 산지(山地) = 18 주막(酒幕) = 20 비 = 21 나와 지렝이 = 22 여우난골족(族) = 23 통영(統營) = 27 흰밤 = 28 고야(古夜) = 29 가즈랑 집 = 32 ...
목차 책머리에 = 5 일러두기 = 14 제1부 사슴 정주성(定州城) = 17 산지(山地) = 18 주막(酒幕) = 20 비 = 21 나와 지렝이 = 22 여우난골족(族) = 23 통영(統營) = 27 흰밤 = 28 고야(古夜) = 29 가즈랑 집 = 32 고방 = 35 모닥불 = 37 오리 망아지 토끼 = 38 초동일(初冬日) = 40 하답(夏畓) = 41 적경(寂境) = 42 미명계(未明界) = 43 성외(城外) = 44 추일산조(秋日山朝) = 45 광원(曠原) = 46 청시(靑시) = 47 산(山)비 = 48 쓸쓸한 길 = 49 자류(자榴) = 50 머루밤 = 51 여승(女僧) = 52 수라(修羅) = 54 노루 = 56 절간의 소 이야기 = 57 오금덩이라는 곳 = 58 시기(시崎)의 바다 = 60 창의문외(彰義門外) = 61 정문촌(旌門村) = 62 여우난골 = 63 삼방(三防) = 64 제2부 함주시초(咸州詩抄) 통영(統營) = 67 오리 = 70 연자간 = 72 황일(黃日) = 74 탕약(湯藥) = 75 이두국주가도(伊豆國湊街道) = 76 창원도(昌原道)-남행시초(南行詩抄) 1 = 77 통영(統營)-남행시초(南行詩抄) 2 = 78 고성가도(固城街道)-남행시초(南行詩抄) 3 = 79 삼천포(三千浦)-남행시초(南行詩抄) 4 = 80 함주시초(咸州詩抄) = 81 북관(北關) 노루 고사(古寺) 선우사(膳友辭) 산곡(山谷) 바다 = 89 추야일경(秋夜一景) = 91 산중음(山中吟) = 92 산숙(山宿) 향악(饗樂) 야반(夜半) 백화(白樺)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95 석양(夕陽) = 97 고향(故鄕) = 98 절망(絶望) = 99 개 = 100 외갓집 = 101 내가 생각하는 것은 = 102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 104 물닭의 소리 = 105 삼호(三湖) 물계리(物界里) 대산동(大山洞) 남향(南鄕) 야우소회(夜雨小懷) 꼴두기 가무래기의 낙(樂) = 112 멧새 소리 = 113 박각시 오는 저녁 = 114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 = 115 동뇨부(童尿賦) = 118 안동(安東) = 120 함남도안(咸南道安) = 122 구장로(球場路)-서행시초(西行詩抄) 1 = 124 북신(北新)-서행시초(西行詩抄) 2 = 126 팔원(八院)-서행시초(西行詩抄) 3 = 127 월림(月林)장-서행시초(西行詩抄) 4 = 129 목구(木具) = 131 제3부 흰 바람벽이 있어 수박씨, 호박씨 = 135 북방(北方)에서-정현웅(鄭玄雄)에게 = 137 허준(許俊) = 140 『호박꽃 초롱』 서시(序詩) = 143 귀농(歸農) = 145 국수 = 148 흰 바람벽이 있어 = 151 촌에서 온 아이 = 154 조당(操塘)에서 = 156 두보(杜甫)나 이백(李白) 같이 = 158 산(山) = 160 적막강산 = 162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 164 칠월(七月) 백중 = 166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 169 원본 定州城 = 175 山地 = 177 酒幕 = 178 비 = 180 나와 지렝이 = 181 여우난곬族 = 182 統營 = 187 힌밤 = 188 古夜 = 189 가즈랑집 = 193 고방 = 195 모닥불 = 196 오리 망아지 토끼 = 197 初冬日 = 198 夏畓 = 199 寂境 = 200 未明界 = 201 城外 = 202 秋日山朝 = 203 曠原 = 204 靑시 = 205 山비 = 206 쓸쓸한 길 = 207 자榴 = 208 머루밤 = 209 女僧 = 210 修羅 = 211 노루 = 212 절간의소이야기 = 213 오금덩이라는곧 = 214 시崎의 바다 = 215 彰義門外 = 216 旌門村 = 217 여우난곬 = 218 三防 = 219 統營 = 220 오리 = 222 연자ㅅ간 = 224 黃日 = 225 湯藥 = 226 伊豆國湊街道 = 227 南行詩抄(一) 昌原道 = 228 南行詩抄(二) 統營 = 229 南行詩抄(三) 固城街道 = 230 南行詩抄(四) 三千浦 = 232 咸州詩抄 = 233 北關 노루 古寺 膳友辭 山谷 바다 = 238 秋夜一景 = 239 山中吟 = 240 山宿 饗樂 夜半 白樺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 242 夕陽 = 243 故鄕 = 244 絶望 = 245 개 = 246 외가집 = 247 내가생각하는 것은 = 248 내가이렇게외면하고 = 249 물닭의소리 = 250 三湖 物界里 大山洞 南鄕 夜雨小懷 꼴두기 가무래기의 樂 = 254 멧새소리 = 255 박각시 오는 저녁 = 256 넘언집 범같은 노큰마니 = 257 童尿賦 = 259 安東 = 260 咸南道安 = 261 西行詩抄(一) 球場路 = 262 西行詩抄(二) 北新 = 263 西行詩抄(三) 八院 = 264 西行詩抄(四) 月林장 = 265 木具 = 266 수박씨, 호박씨 = 267 北方에서-鄭玄雄에게 = 268 許俊 = 270 「호박꽃 초롱」 序詩 = 272 歸農 = 273 국수 = 275 힌 바람벽이 있어 = 277 촌에서 온 아이 = 279 操塘에서 = 280 杜甫나李白같이 = 282 山 = 284 적막강산 = 285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 286 七月백중 = 287 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 289 백석의 시세계와 시사적 의의 / 고형진 = 291 백석 시 원본의 언어와 표기법, 그리고 정본의 원칙 / 고형진 = 310 백석 시 작품 연보 = 341 백석 연보 = 345 낱말풀이 참고서지 = 347
(http://www.riss.kr.ca.skku.edu:8080/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281577eae2cd727dffe0bdc3ef48d419#redirect)